목차
1.Esterg형 국소마취제
2.Amide형 국소마취제
3.국소마취제의 독성과 예방 및 치료
2.Amide형 국소마취제
3.국소마취제의 독성과 예방 및 치료
본문내용
법
-국소마취제의 주사를 중지하고 산소를 투여하면서 환자를 안심시킨다. 약물이 빨리 재분포되어 혈액 내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인데, 총량을 투여한 후 중추 신경계의 흥분이 서서히 나타나면 얼마간 국소마취제의 혈중농도가 더 올라갈 위험이 있다. 늦게 경미한 증상을 보인 환자는 산소와 소량을 thiopental, benzodiazepine같은 항경련제로 치료 할 수 있다.
-심하고 지속적인 증세를 보이는 환자는 실제로 발작을 일으킨 환자에 준해서 치료한다. 국소마취제의 전신적인 독작용에 의해 발작이나 호흡정지가 발생하면 기도를 유지하고 충분한 환기를 해야한다. 환자의 환기가 불충분한 경우 20~40mg의 succinylcholine을 투여한 후 oral airway, 기관내삽관으로 보조환기를 시작한다.
-국소마취제의 주사를 중지하고 산소를 투여하면서 환자를 안심시킨다. 약물이 빨리 재분포되어 혈액 내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인데, 총량을 투여한 후 중추 신경계의 흥분이 서서히 나타나면 얼마간 국소마취제의 혈중농도가 더 올라갈 위험이 있다. 늦게 경미한 증상을 보인 환자는 산소와 소량을 thiopental, benzodiazepine같은 항경련제로 치료 할 수 있다.
-심하고 지속적인 증세를 보이는 환자는 실제로 발작을 일으킨 환자에 준해서 치료한다. 국소마취제의 전신적인 독작용에 의해 발작이나 호흡정지가 발생하면 기도를 유지하고 충분한 환기를 해야한다. 환자의 환기가 불충분한 경우 20~40mg의 succinylcholine을 투여한 후 oral airway, 기관내삽관으로 보조환기를 시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