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의 노인복지의 허와 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프랑스의 노인복지의 허와 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1-1. FRANCE 노인 인구 구조

2. FRANCE의 노인 복지 정책
2-1. 연금제도


2-2. 의료제도

2-3. 재가복지 서비스
2-4. 여가 활동 활성화

2-5. 주거 시설의 문제
2-6. 노인 단체들의 노력

3. FRANCE 노인 복지의 문제점

3-1. 연금 문제
3-2. 가정 내에서의 노인 문제
4. 맺는 말

본문내용

하고, 또 개인주의적 성향이 강한 사람들이 프랑스 국민이지만 이것은 실로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모순적인 이야기 같지만, 노인을 보호해주는 시설들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노인들은 사랑에 목마를 것이다. 그들에게는 따뜻한 밥과 쉴 곳이 필요하지만 그에 못지 않게 가족들의 배려와 관심이 필요하다. 프랑스의 한 여론조사 기관(CREDOC)에 따르면 거주지를 소유한 60세이상 인구의 3분의 1이 점차적으로 소외와 고독감으로 인해 고통받고 있다고 한다. 또한 이들의 연령,성별,또는 경제적 수준보다 더 중요한 심리적 고충의 요인은 가족구성원과의 연대감이나 개인의 신체적 건강상태로 나타난다고 한다. 이들 노인중 3분의 2가 혼자 살거나 무자녀 또는 자녀로부터 소식이 없는 경우라고 하니 이들이 느낄 고립감, 소외감등을 알만하다. 국가는 이들로 하여금 자원봉사에 참여하게 하는 등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동질감 회복을 유도함으로써 이 문제에 대처해야 할 것이다.
4. 맺는 말
이상에서 살펴본 바에 따르면, 프랑스의 노인 복지 제도가 분명 그 제도적 완성도면에서는 충분히 질 높은 제도라는 점은 인정할 만 하다. 그러나 시몬 드 보부아르가 <노년>이라는 책에서 밝혔듯이 노인문제는 더이상 경제적, 제도적 관점에서만 접근해서는 안된다. 이것은 문화적으로 인식해야 하는 문제인 것이다. 산업혁명이후 노인들은 마치 생산성이 떨어진 기계를 패물취급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다루어져 왔으나, 이제는 이들을 위한 문화적 역할이 절실히 필요하다. 노인 복지를 위한 제도적인 것들은 젊었을 때는 직접적으로 와닿지 않는 것들이다. 더 쉽게 일반인들의 눈에 확 들어올 수 있는 노인에 대한, 노인을 위한 TV프로그램이나 행사들이 많이 생겨나야 한다. 정부와 모든 언론매체들이 중심이 되어 국민들에게 노인을 자꾸 '부각' 시켜줘야 한다. 나의 개인적인 소견이지만, 프랑스 국민들에게 우리 한국의 전통 사상인 유교사상 중 가족주의적 의식에 대한 부분도 알려주는 것도 효과가 있을 것 같다. 이미 우리나라에서도 많이 잊혀져 가고 있는 것이 유교사상이지만, 과거의 한국에서는 웃어른을 공경하고 가부장을 중심으로 가족 구성원들이 가정내에서 똘똘 뭉치는 것이 전반적인 분위기였다. 물론 예전의 전통 유교윤리는 현대 프랑스 사회에 절대 적합하지 않지만, 어른을 공경하는 것이 바로 미래의 자신을 공경하는것이라는 의식을 깨우쳐 주는데 있어서 이러한 유교적 논리는 충분히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노인을 단순히 능력과 효율이 떨어진 거추장스러운 기계라는 생각에서, 긴세월 동안 쌓아온 경험의 총체이자 우리 자신의 미래의 모습이라는 것을 모든 사람들이 의식하고, 그들을 마음속으로부터 공경할 수 있게 될 때 진정한 노인을 위한 복지가 완성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5. 자료의 출처 (본문 2의 대부분과 3의 일부분)
임춘식, 고령화 사회의 위기 유풍출판사, 2001
고정자, 노인복지학개론 형설출판사
www.france.co.kr
http://www.kappd.or.kr
르 몽드(96. 6. 18. 9면)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11.30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61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