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소화기계 침입 전염병
1) 장티푸스 (typhoid fever)
2) 콜레라 (cholera)
3) 세균성 이질 (bacillary dysentery)
4)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대장균O157)
5)폴리오 (급성회백수염; poliomyelitis)
6)파라티푸스 (paratyphoid fever)
Ⅱ 호흡기계 침입 전염병
1) 디프테리아 (diphtheria)
2) 백일해 (whooping cough)
3) 홍역 (measles)
4) 유행성이하선염(볼거리; mumps)
5) 풍진 (rubella, german measles)
Ⅲ 절지동물 매개 전염병
1) 페스트
2) 발진티푸스 (epidemic typhus)
3) 말라리아 (malaria)
4) 유행성 일본뇌염 (Japanese B. encephalitis)
5) 신 증후군 출혈열 (epidemic hemorrhagic fever)
6) 쯔쯔가무시병
Ⅳ 동물 매개 전염병
1) 공수병 (rabies)
2) 탄저 (anthrax)
3) 렙토스피라증 (leptospirosis)
Ⅴ 만성 전염병
1) 결핵 (tuberculosis)
2) 한센병 (leprosy)
3) 성병
4) 트라코마 (trachoma)
5) 간염 (hepatitis virus A.B.C)
6)후천성 면역결핍증(AIDS)
1) 장티푸스 (typhoid fever)
2) 콜레라 (cholera)
3) 세균성 이질 (bacillary dysentery)
4)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대장균O157)
5)폴리오 (급성회백수염; poliomyelitis)
6)파라티푸스 (paratyphoid fever)
Ⅱ 호흡기계 침입 전염병
1) 디프테리아 (diphtheria)
2) 백일해 (whooping cough)
3) 홍역 (measles)
4) 유행성이하선염(볼거리; mumps)
5) 풍진 (rubella, german measles)
Ⅲ 절지동물 매개 전염병
1) 페스트
2) 발진티푸스 (epidemic typhus)
3) 말라리아 (malaria)
4) 유행성 일본뇌염 (Japanese B. encephalitis)
5) 신 증후군 출혈열 (epidemic hemorrhagic fever)
6) 쯔쯔가무시병
Ⅳ 동물 매개 전염병
1) 공수병 (rabies)
2) 탄저 (anthrax)
3) 렙토스피라증 (leptospirosis)
Ⅴ 만성 전염병
1) 결핵 (tuberculosis)
2) 한센병 (leprosy)
3) 성병
4) 트라코마 (trachoma)
5) 간염 (hepatitis virus A.B.C)
6)후천성 면역결핍증(AIDS)
본문내용
성은 강하지만 잘 회복되는 졸류이고, B형은 제2군 전 염병으로 수혈이나 오염된 주사기 및 모체로부터 수직감염이 잘 되기 때문에 혈청성간염이라 하는데 만성화되는 경우가 많다. C형은 수혈시나 조직감염이 가능한 것으로 비교적 경미한 증상을 나타내거나 무증상적 경과를 나타낸다
④감수성 및 면역성 : 감수성은 전반적으로 높으며, 예방저봉으로 면역이 가능하다.
⑤예방대책 : 예방접종 방법으로 효력이 있고, 백신 접종에 대한 능동적방법이 많이 개발되었으나, 수혈관리나 물을 끓여 먹는 등 전파 경로 차단이 중요하다.
6)후천성 면역결핍증(AIDS)
①병원체 : HIV(human immunodeficient virus)
②병원소 : 환자
③전파 : 환자와의 성적 접촉, 환자혈액 및 혈액제제의 수혈, 환자와 주사기 공동 사용, 감염모로부터 출생한 신생아에게 수직감염된다.
④잠복기간 : 일반적으로 1~6주지만 수년간 이라는 보고도 있으며, 감염 후 2~3개월이면항체 양성반응이 나타난다.
⑤증상 : AIDS 감염증 1단계는 급성간염기로 발열, 관절통, 복통 등의 증상이 있는 단계이고, 2단계는 면역기능이 떨어지기 시작하는 단계이며, 3단계는 면역체계가 파괴되는 단계이고, 4단계는 면역기능이 상실되어 각종 질병이 발생되는 단계이다.
⑥관리대책: 적극적인 보건교육을 실시하여야 하는 사회적 질병으로 국내 전파보다도 외국여행자를 통한 전파관리나 헌혈 및 공혈액에 대한 HIV 검사 등 혈액관리 등이 중요하다.특히 환자의 조기발견체제의 구축 및 전파방지대책 강구가 필요하며, 국내 유입방지를 위한 해외정보를 신속하게 확보하는 일과 발생 국가의 혈액제제 수입시 철저한 검사가 필요하다.
목차
Ⅰ 소화기계 침입 전염병
1) 장티푸스 (typhoid fever)
2) 콜레라 (cholera)
3) 세균성 이질 (bacillary dysentery)
4)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대장균O157)
5)폴리오 (급성회백수염; poliomyelitis)
6)파라티푸스 (paratyphoid fever)
Ⅱ 호흡기계 침입 전염병
1) 디프테리아 (diphtheria)
2) 백일해 (whooping cough)
3) 홍역 (measles)
4) 유행성이하선염(볼거리; mumps)
5) 풍진 (rubella, german measles)
Ⅲ 절지동물 매개 전염병
1) 페스트
2) 발진티푸스 (epidemic typhus)
3) 말라리아 (malaria)
4) 유행성 일본뇌염 (Japanese B. encephalitis)
5) 신 증후군 출혈열 (epidemic hemorrhagic fever)
6) 쯔쯔가무시병
Ⅳ 동물 매개 전염병
1) 공수병 (rabies)
2) 탄저 (anthrax)
3) 렙토스피라증 (leptospirosis)
Ⅴ 만성 전염병
1) 결핵 (tuberculosis)
2) 한센병 (leprosy)
3) 성병
4) 트라코마 (trachoma)
5) 간염 (hepatitis virus A.B.C)
6)후천성 면역결핍증(AIDS)
④감수성 및 면역성 : 감수성은 전반적으로 높으며, 예방저봉으로 면역이 가능하다.
⑤예방대책 : 예방접종 방법으로 효력이 있고, 백신 접종에 대한 능동적방법이 많이 개발되었으나, 수혈관리나 물을 끓여 먹는 등 전파 경로 차단이 중요하다.
6)후천성 면역결핍증(AIDS)
①병원체 : HIV(human immunodeficient virus)
②병원소 : 환자
③전파 : 환자와의 성적 접촉, 환자혈액 및 혈액제제의 수혈, 환자와 주사기 공동 사용, 감염모로부터 출생한 신생아에게 수직감염된다.
④잠복기간 : 일반적으로 1~6주지만 수년간 이라는 보고도 있으며, 감염 후 2~3개월이면항체 양성반응이 나타난다.
⑤증상 : AIDS 감염증 1단계는 급성간염기로 발열, 관절통, 복통 등의 증상이 있는 단계이고, 2단계는 면역기능이 떨어지기 시작하는 단계이며, 3단계는 면역체계가 파괴되는 단계이고, 4단계는 면역기능이 상실되어 각종 질병이 발생되는 단계이다.
⑥관리대책: 적극적인 보건교육을 실시하여야 하는 사회적 질병으로 국내 전파보다도 외국여행자를 통한 전파관리나 헌혈 및 공혈액에 대한 HIV 검사 등 혈액관리 등이 중요하다.특히 환자의 조기발견체제의 구축 및 전파방지대책 강구가 필요하며, 국내 유입방지를 위한 해외정보를 신속하게 확보하는 일과 발생 국가의 혈액제제 수입시 철저한 검사가 필요하다.
목차
Ⅰ 소화기계 침입 전염병
1) 장티푸스 (typhoid fever)
2) 콜레라 (cholera)
3) 세균성 이질 (bacillary dysentery)
4)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대장균O157)
5)폴리오 (급성회백수염; poliomyelitis)
6)파라티푸스 (paratyphoid fever)
Ⅱ 호흡기계 침입 전염병
1) 디프테리아 (diphtheria)
2) 백일해 (whooping cough)
3) 홍역 (measles)
4) 유행성이하선염(볼거리; mumps)
5) 풍진 (rubella, german measles)
Ⅲ 절지동물 매개 전염병
1) 페스트
2) 발진티푸스 (epidemic typhus)
3) 말라리아 (malaria)
4) 유행성 일본뇌염 (Japanese B. encephalitis)
5) 신 증후군 출혈열 (epidemic hemorrhagic fever)
6) 쯔쯔가무시병
Ⅳ 동물 매개 전염병
1) 공수병 (rabies)
2) 탄저 (anthrax)
3) 렙토스피라증 (leptospirosis)
Ⅴ 만성 전염병
1) 결핵 (tuberculosis)
2) 한센병 (leprosy)
3) 성병
4) 트라코마 (trachoma)
5) 간염 (hepatitis virus A.B.C)
6)후천성 면역결핍증(A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