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자이전-기억방조시대(記憶幇助時代 ; memory stage)
(1) 결승(結繩)
(2) 서계(書契)
(3) 회화(繪畵)
2. 고대 상형문자 대표적 7종
(1) 설형문자(楔形文字)
(2) 성각문자(聖刻文字)
(3) 한자(漢字)
(3) 표음문자(表音文字)
(1) 결승(結繩)
(2) 서계(書契)
(3) 회화(繪畵)
2. 고대 상형문자 대표적 7종
(1) 설형문자(楔形文字)
(2) 성각문자(聖刻文字)
(3) 한자(漢字)
(3) 표음문자(表音文字)
본문내용
을 보고 즉시 알 수 있을 정도로 구체성을 띠고 있었다.
2.3. 한자(漢字)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한자는 소위 갑골문자(甲骨文字)라고 하는 것이다. 이 갑골문자는 분명히 회화문자에서 발전해 가는 과정을 보여 주는 좋은 자료라고 하겠으나, 그러한 갑골문자 속에서도 벌써 회화문자로 인정하기 어려운 것들이 들어있다. 이것은 현존하는 한자의 전부가 대상물을 직접 상형한 것만이 아니라는 것을 알려 준다고 하겠다. 사실 모든 한자의 하나 하나가 구조적으로 대상물을 직접 상형함으로써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제일차적으로는 구체적으로나 추상적으로나 상형화할 수 있는 소수의 한정된 형태만을 부호화하고, 다음 제이단계로는 언어기호와 연결시켜서 보다 많은 복합적인 구조를 이루게 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3. 표음문자(表音文字)
한자와 같이 한 단어가 한 자형으로 표기되는 것을 표의문자(表意文字)라고 하는 데 대하여 각 단어의 음성형태를 각각 분석적으로 나타내는 것을 표음문자라고 한다. 그 대표적인 문자가 바로 우리의 <한글>이다.
우리의 <한글>은 영어와 같이 자음과 모음을 갖춘 음소문자이지마는 그 실제의 표기는 음절표기를 함으로써 음절문자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2.3. 한자(漢字)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한자는 소위 갑골문자(甲骨文字)라고 하는 것이다. 이 갑골문자는 분명히 회화문자에서 발전해 가는 과정을 보여 주는 좋은 자료라고 하겠으나, 그러한 갑골문자 속에서도 벌써 회화문자로 인정하기 어려운 것들이 들어있다. 이것은 현존하는 한자의 전부가 대상물을 직접 상형한 것만이 아니라는 것을 알려 준다고 하겠다. 사실 모든 한자의 하나 하나가 구조적으로 대상물을 직접 상형함으로써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제일차적으로는 구체적으로나 추상적으로나 상형화할 수 있는 소수의 한정된 형태만을 부호화하고, 다음 제이단계로는 언어기호와 연결시켜서 보다 많은 복합적인 구조를 이루게 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3. 표음문자(表音文字)
한자와 같이 한 단어가 한 자형으로 표기되는 것을 표의문자(表意文字)라고 하는 데 대하여 각 단어의 음성형태를 각각 분석적으로 나타내는 것을 표음문자라고 한다. 그 대표적인 문자가 바로 우리의 <한글>이다.
우리의 <한글>은 영어와 같이 자음과 모음을 갖춘 음소문자이지마는 그 실제의 표기는 음절표기를 함으로써 음절문자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