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훈민정음의 기원
Ⅱ. 훈민정음의 제자원리
Ⅲ. 훈민정음의 초 ․ 중 ․ 종성체계
Ⅱ. 훈민정음의 제자원리
Ⅲ. 훈민정음의 초 ․ 중 ․ 종성체계
본문내용
합으로 만들어졌다. 음가의 측면에서 보면 ㅣ와의 합성으로 볼 수 있다.
이 합성에 있어 ‘ㅗ’와 ‘ㅜ’ ‘ㅏ’ ‘ㅓ’ 등의 자형상의 대립이 주목되는데, 이것은 ‘ㅗ’와 ‘ㅏ’는 陽이요, ‘ㅜ’와‘ㅓ’는 陰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당시의 학자들이 국어의 모음조화 체계를 제자에 반영했음을 보여준다.
그 밖의 중성글자들은 이들 11자를 합용하여 쓰인다. 해례 중성해에 二字合用字라 하여 ㅓ ㅢ ㅚ ㅐ ㅟ ㅔ ㆉ ㅒ ㆌ ㅕ (이상 1자 중성과의 상합), ㅙ ㅞ ㆈ ㆋ (이상 2자 중성과의 상합)를 제시하고 있다. 이 가운데 ㆉ ㆊ ㆈ ㆊ는 문헌에서 용례를 볼 수 없다.
4. 종성체계
훈민정음에서 종성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이 3가지의 규정을 마련하고 있다.
ㄱ. 終聲復用初聲
ㄴ. 初聲合用則竝書 終聲同
ㄷ. 然 ㄱ ㆁ ㄷ ㄴ ㅂ ㅁ ㅅ ㄹ 八字可足用也
종성에는 초성글자를 다시 사용한다. 초성을 합쳐 쓰려면 병서한다. 종성의 경우도 이와 같이 병서한다. ‘終聲復用初聲’은 초성, 중성, 종성 증에서 종성글자는 따로 만들지 아니하고 초성글자를 그대로 쓴다는 규정이다. 훈민정음 제자해에서는 이렇게 초성과 종성이 같은 글자를 쓰는 것을 다음과 같이 陰陽循環의 원리로 설명하고 있다.
‘初聲合用則竝書 終聲同’이라고 한 것은 초성에서와 같이 종성에서도 병서자가 쓰인다는 말이다. 초성에서 합용병서 ‘ㅼ, ㅶ, ㅴ, ㅵ’등이 쓰이는 것과 같이 종성에서도 합용병서 ‘,ㄱㅅ,’등이 쓰인다는 뜻이다.
‘然 ㄱ ㆁ ㄷ ㄴ ㅂ ㅁ ㅅ ㄹ 八字可足用也’의 규정은 앞의 ‘終聲復用初聲’규정은 모든 초성자를 다 종성에 쓸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8개의 종성(ㄱ ㆁ ㄷ ㄴ ㅂ ㅁ ㅅ ㄹ)만으로도 가히 쓸 수 있다는 구체적인 사용 규정으로 파악된다. <용비어천가>나 <월인천강지곡>과 같은 극히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문헌은 이 팔종성만으로 표기한 사례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결국 훈민정음의 종성은 이상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ㄱ. 終聲復用初聲 ㄴ. 初聲合用則竝書 終聲同 ㄷ. 然 ㄱ ㆁ ㄷ ㄴ ㅂ ㅁ ㅅ ㄹ 八字可足用也 등 3가지의 규정에 따라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
◆ 참 고 문 헌 ◆
1. 김무림(2004), 「국어의 역사」, 한국문화사
2. 박창원(2005) ,「훈민정음」,신구문화사.
3. 박동규(1998) , 「국어연구사」, 전주대학교출판사.
4. 신상순, 이돈주, 이환묵 편(1988),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이 합성에 있어 ‘ㅗ’와 ‘ㅜ’ ‘ㅏ’ ‘ㅓ’ 등의 자형상의 대립이 주목되는데, 이것은 ‘ㅗ’와 ‘ㅏ’는 陽이요, ‘ㅜ’와‘ㅓ’는 陰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당시의 학자들이 국어의 모음조화 체계를 제자에 반영했음을 보여준다.
그 밖의 중성글자들은 이들 11자를 합용하여 쓰인다. 해례 중성해에 二字合用字라 하여 ㅓ ㅢ ㅚ ㅐ ㅟ ㅔ ㆉ ㅒ ㆌ ㅕ (이상 1자 중성과의 상합), ㅙ ㅞ ㆈ ㆋ (이상 2자 중성과의 상합)를 제시하고 있다. 이 가운데 ㆉ ㆊ ㆈ ㆊ는 문헌에서 용례를 볼 수 없다.
4. 종성체계
훈민정음에서 종성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이 3가지의 규정을 마련하고 있다.
ㄱ. 終聲復用初聲
ㄴ. 初聲合用則竝書 終聲同
ㄷ. 然 ㄱ ㆁ ㄷ ㄴ ㅂ ㅁ ㅅ ㄹ 八字可足用也
종성에는 초성글자를 다시 사용한다. 초성을 합쳐 쓰려면 병서한다. 종성의 경우도 이와 같이 병서한다. ‘終聲復用初聲’은 초성, 중성, 종성 증에서 종성글자는 따로 만들지 아니하고 초성글자를 그대로 쓴다는 규정이다. 훈민정음 제자해에서는 이렇게 초성과 종성이 같은 글자를 쓰는 것을 다음과 같이 陰陽循環의 원리로 설명하고 있다.
‘初聲合用則竝書 終聲同’이라고 한 것은 초성에서와 같이 종성에서도 병서자가 쓰인다는 말이다. 초성에서 합용병서 ‘ㅼ, ㅶ, ㅴ, ㅵ’등이 쓰이는 것과 같이 종성에서도 합용병서 ‘,ㄱㅅ,’등이 쓰인다는 뜻이다.
‘然 ㄱ ㆁ ㄷ ㄴ ㅂ ㅁ ㅅ ㄹ 八字可足用也’의 규정은 앞의 ‘終聲復用初聲’규정은 모든 초성자를 다 종성에 쓸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8개의 종성(ㄱ ㆁ ㄷ ㄴ ㅂ ㅁ ㅅ ㄹ)만으로도 가히 쓸 수 있다는 구체적인 사용 규정으로 파악된다. <용비어천가>나 <월인천강지곡>과 같은 극히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문헌은 이 팔종성만으로 표기한 사례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결국 훈민정음의 종성은 이상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ㄱ. 終聲復用初聲 ㄴ. 初聲合用則竝書 終聲同 ㄷ. 然 ㄱ ㆁ ㄷ ㄴ ㅂ ㅁ ㅅ ㄹ 八字可足用也 등 3가지의 규정에 따라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
◆ 참 고 문 헌 ◆
1. 김무림(2004), 「국어의 역사」, 한국문화사
2. 박창원(2005) ,「훈민정음」,신구문화사.
3. 박동규(1998) , 「국어연구사」, 전주대학교출판사.
4. 신상순, 이돈주, 이환묵 편(1988),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추천자료
훈민정음의 새안목
아래아의 소실과 모음조화의 파괴
소쉬르의 언어학과 이원적 대립
음운론 - 아래아의 소실과 모음조화의 붕괴
한글창제, 무엇 때문이었을까
고려시대 순경음 비읍(ㅸ)의 존재 여부
한글맞춤법원리
한글의 과학적 생성원리와 역사
[방통대 전학과 1학년 언어의 이해 E형] 문자의 유형과 특성을 설명하시오.
(언어의이해 A) 한글의 창제에 원리 대해 간략히 기술하시오
[방통대 중어중문학과 1학년 언어의 이해 E형] 문자의 유형과 특성을 설명.
한국어학개론)한국어의 자음과 모음의 체계를 설명하고 이중에서 다른 언어를 모국어를 가지...
한국어 음운론)훈민정음해례본의 자모체계와 한글맞춤법의 자모체계를 비교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