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머리말
◎ 본 론
1. 차의 기원 및 전래
2. 차의 효능
3. 중국, 일본의 다도
4. 차의 종류
5. 실제로 차마시기
◎ 맺음말
◎ 본 론
1. 차의 기원 및 전래
2. 차의 효능
3. 중국, 일본의 다도
4. 차의 종류
5. 실제로 차마시기
◎ 맺음말
본문내용
알게 되었다. 다도가 동양인들의 예의범절에 많은 영향을 끼쳤지만, 의식주가 서구화 되어버린 현재 다도를 즐기는 사람이 극히 일부분에 불과한 실정이다. 커피나 탄산음료를 일상의 필수 음료로 하는 사람의 수가 늘었고 자극적인 맛을 좋아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래서 보고서의 마지막은 차의 맛을 즐겨볼 수 있도록 차를 우리고, 마시는 방법을 추가하였다. "How was it possible to make through the woods, and see nothing worthy of note?" (두 눈을 멀쩡하게 뜬 사람들은 왜 이 아름다운 숲을 거닐면서 아무 것도 보고, 느끼지 못했다고 하는가?) 헬렌 켈러의 말이다. 이 구절은 다도의 세계, 차 생활의 세계에서도 적용되는 것 같다. 눈에 보이는 것(화려한 다도구나 엄격한 격식 등) 보다는 참 맛을 느끼는 다도의 정신세계로의 탐문의 길이 더욱 중요함을 깨달아야 할 것이다. 바로 그것이 다도에 이르는 길이자, 자신의 차 생활이 깊어지게 되는 것이라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이 보고서를 토대로 각자의 기호에 맞는 차의 맛과 향을 찾아내어 더욱 윤택하고 멋스런 茶생활을 즐겨보기를 권하면서 이 보고서를 끝맺으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