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앵전에 대해 조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한국 무용의 특징 및 분류

2. 춘앵전(春鶯囀)의 소개

3. 춘앵전의 형식

4. 춘앵전의 반주음악

5. 춘앵전(春鶯囀)무보

6. 춘앵전의 의의

본문내용

장단에 두 팔을 뒤로 뿌린다. 호기있게 뿌린다.
19. 박을 치면 한 팔씩 앞으로 민다. 이수고저와 같다.
20. 박을 치면 웃는다. 이를 드러내고 웃는 것이 아니라 살짝 엷은 미소를 지어야 한다.
21. 박을 치면 뒤로 두 팔을 여미고 한 발씩 들고 솟아뛴다.
22. 박을 치면 물러나 자리 끝에 와서 선다.
23. 박을 치면 두 팔을 벌리고 드나든다. 팔을 흔들고 드나든다. 걸음을 따라 좌우의 소매에 고저가 생긴다.
24. 박을 치면 좌우로 한 번씩 뿌리고 돈다.
25. 박을 치면 한 팔씩 앞으로 얹고 번수는 이수고저와 같다.
26. 박을 치면 이수고저로써 드나든다.
27. 박을 치면 한 가운데서 두 팔을 뒤로 뿌린다.
28. 박을 치면 두 팔을 여미고 수수무 한다.
29. 박을 치면 뒷짐진 채 뒤로 3장단 물러났다가 앞으로 3장단 나갔다 하며 드나든다.
30. 박을 치면 한 팔씩 어깨에 멘다.
31. 박을 치면 두 팔을 벌리고 좌우로 한 번씩 돈다.
32. 박을 치면 두 팔을 벌리고 좌우로 세 번 돈다.
33. 박을 치면 두 팔을 앞으로 여민다.
34. 박을 치면 두 팔을 벌리고 뒷걸음쳐 나온다.
35. 박을 치면 음악이 그친다.
6. 춘앵전의 의의
춘앵전은 많은 무용의 종류 가운데 독무로서 그 기교가 세련되어 전통무용으로서의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어 전승시킬 가치가 매우 높다고 하겠다.
♧ 참고문헌
성경린. (1974) 한국의 무용. 세종대왕기념사업회
김매자. (1995) 한국 무용사. 삼신각
리봉옥. (1996) 조선 고전 무용. 한국문화사
김혜정이명진. (2003) 한국무용사의 이해. 형설출판사

키워드

춘앵전,   조사,   의의,   한국무용,   소개,   형식,   반주음악,   무보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12.07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74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