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국무용의 기원
2. 한국무용의 특징
3. 한국무용의 종류
4. 한국 무용의 호흡법
5. 한국 춤의 기본 발동작
6. 춘앵전(궁중무용)
2. 한국무용의 특징
3. 한국무용의 종류
4. 한국 무용의 호흡법
5. 한국 춤의 기본 발동작
6. 춘앵전(궁중무용)
본문내용
다.
⒟ 둘째 박을 다시 ‘두우울’로 나누어 ‘두’에 호흡을 서서히 내쉬며 솟구쳤던 몸을 내리기 시작한다.
⒠ ‘우’에 몸이 더 내려와서 내밀었던 발이 바닥에 닿기 시작한다.
⒡ ‘울’에는 호흡을 완전히 내쉬고 단전의 기운을 풀어 주며 몸을 편안히 하는데, 내밀었던 발을 바닥에 대고, 반대쪽 발은 뒤축이 들려진 상태가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반대쪽 발도 사용하여 한 장단이 이루어진다.
6. 춘앵전(궁중무용)
‘연감유함’에 의하면, 당나라 고종이 이른 아침에 멀리서 들려오는 꾀꼬리 우는 소리를 듣고 백명달에게 춘앵전을 작곡하라고 명했다 한다. 이러한 내용을 조선조 순조때 효명세자가 순종 숙황후 보령 40세를 경축하기 위하여 이름을 빌려 지은 향악 정재이다. 이 춤은 화문석위에서 진퇴 회선을 하며 추었다.
⒟ 둘째 박을 다시 ‘두우울’로 나누어 ‘두’에 호흡을 서서히 내쉬며 솟구쳤던 몸을 내리기 시작한다.
⒠ ‘우’에 몸이 더 내려와서 내밀었던 발이 바닥에 닿기 시작한다.
⒡ ‘울’에는 호흡을 완전히 내쉬고 단전의 기운을 풀어 주며 몸을 편안히 하는데, 내밀었던 발을 바닥에 대고, 반대쪽 발은 뒤축이 들려진 상태가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반대쪽 발도 사용하여 한 장단이 이루어진다.
6. 춘앵전(궁중무용)
‘연감유함’에 의하면, 당나라 고종이 이른 아침에 멀리서 들려오는 꾀꼬리 우는 소리를 듣고 백명달에게 춘앵전을 작곡하라고 명했다 한다. 이러한 내용을 조선조 순조때 효명세자가 순종 숙황후 보령 40세를 경축하기 위하여 이름을 빌려 지은 향악 정재이다. 이 춤은 화문석위에서 진퇴 회선을 하며 추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