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고전 무용. 한국문화사
김혜정이명진. (2003) 한국무용사의 이해. 형설출판사 1. 한국 무용의 특징 및 분류
2. 춘앵전(春鶯囀)의 소개
3. 춘앵전의 형식
4. 춘앵전의 반주음악
5. 춘앵전(春鶯囀)무보
6. 춘앵전의 의의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2.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뒤로 물러난다.
二十八拍 꽃으로 만든 주렴이 늘어지듯이 좌우로 대수(擡袖)하여 두 팔을 뒤로 내리며 여민다.(後拂)
二十九拍 몸이 파도를 치듯이 좌우로 한 번씩 돈다.
三十拍 신선이 다리를 건너가듯이 좌우로 크게 한 번씩 돈다.
三十一拍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2.07.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무보에 관한 고찰 / 전민아, 2001년
궁중검무와 각 지역 검무의 비교분석 / 정수연, 2000년
이매방류 광주검무와 진주검무에 관한 비교 연구 / 백경우, 2000년
날매북춤에 관한 연구 / 박재희, 2001년
www.empas.com
검색
www.naver.com
검색 1. 전통무용과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4.10.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무보를 토대로 이루어진다면 그 희곡이나 무보의 저작자가 그 연극저작물의 저작자가 되며, 연출자나 안무가를 포함한 스텝 및 배우 또는 무용수들은 실연자가 된다. 하지만 즉흥적으로 이루어진 무용이나 판토마임 같은 무언극의 경우에는
|
- 페이지 7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6.12.0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무보법이라 하다.
말에서 말하길 담에는 보법이 없다고 말했다.
且老痰은 凝滯 膠固하니, 非暫用溫藥하면, 引導면, 必有拒格之患이오,
차노담은 응체 교고하니 비잠용온약하면 인도면 필유거격지환이오.
노담은 응체하고 아교처럼 견고하니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2.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