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칼빈의 구원론
1) 생애
2) 구원론의 배경
3) 구원론
2. 웨슬리의 구원론
1) 생애
2) 구원론의 배경
3) 구원론
3. 칼빈과 웨슬리의 구원 비교
1) 칼빈과 알미니우스의 5대강령 비교
2) 칼빈과 웨슬리의 공통점
3) 칼빈과 웨슬리의 차이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칼빈의 구원론
1) 생애
2) 구원론의 배경
3) 구원론
2. 웨슬리의 구원론
1) 생애
2) 구원론의 배경
3) 구원론
3. 칼빈과 웨슬리의 구원 비교
1) 칼빈과 알미니우스의 5대강령 비교
2) 칼빈과 웨슬리의 공통점
3) 칼빈과 웨슬리의 차이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만인구원론 중 어느 것을 따라야 하느냐는 그 결론을 맺어야 할 입장에 이르게 되었다. 여기에서 인류가 전부 동일한 운명을 가지고 창조된 것이 아니어서 혹자는 영생을 얻기로 작정되었고, 혹자는 멸망되기로 작정되었으며 이렇게 그 목적으로 창조된 것으로 구원 문제에 있어서도 역시 생명 아니면 사망으로 예정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렇다면 하나님은 인간을 멸망시키고, 사망하게 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으시다는 말이 되지 않는가? 그러나 그와 같은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하나님의 무조건적인 선택을 말하는 바, 하나님의 주권적 역사와 그 결정을 이해하는데는 도움이 되지만 하나님의 불공평한 역사를 설명하기는 어렵게 된다. 또한 알미니안주의자들의 주장 가운데 \'조건적 선택\'에서 선택의 근거로 삼은 믿음은 하나님이 죄인에게 주시는 것이 아니라 오직 인간의 의지의 결과일 뿐이라고 말한다.
물론 웨슬리 자신이 그의 구원관은 알미니안적이라고 말한 일이 있지만 이 점은 다르다. 웨슬리는 그 믿음을 인간 의지의 결과로 본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선물로 보았다. 그러므로 인간의 구원을 인간적 조건에서 오는 것처럼 보는 알미니안주의는 부당한 것이다.
믿음으로 응답하는 인간의 응답에서 명심해야 할 중요한 사실은 그 주도권이 바로 인간 속에 임하신 하나님의 선행적 은총에 있다는 점이다. 칼빈의 예정론과 웨슬리의 만인구원론 간에 해결의 열쇠는 하나님의 주권이 인정되어야 하되 응답하는 인간의 협력도 무시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도 웨슬리가 주장하는 선행적 은총이 강조되어 하나님의 은혜에 인간은 응답하며, 하나님의 주권적 역사도 역시 성취된다는 점이 밝혀져야 한다.
결과적으로 바람직한 구원론은 예수님을 믿는 모든 만민은 구원받을 수 있다는 의미에서 웨슬리의 만인구원론으로 할 수 있을 것이며, 그것이 그리스도인들의 온전한 구원의 삶을 제시하는 것이라 하겠다.
Ⅳ. 참고문헌
이강천. 「거듭난 생명」서울: 성광문화사, 1982.
이양호. 「칼빈 생애와 사상」서울: 한국 신학 연구소, 1997.
이정전. 「세계 장로교회의 신앙과 역사 이야기」 서울 : 도서출판 예루살렘, 1992.
손병호. 「장로교회의 역사」서울:도서출판 그리인, 1993.
이성주. 「칼빈신학과 웨슬리 신학」경기도: 도서출판 잠언, 2002.
김명혁. \"종교개혁의 역사적 배경.\" 「신학지남」 176호 (1977.7): 40~41.
전희주. \"루터와 칼빈의 구원론 비교연구.\" 역사신학석사학위논문, 감리교신학대학원, 1996.
이성주. 「성결교회 신학」서울: 문서선교 성지원, 2004.
김우영. \"칼빈과 웨슬레의 있어서 구원관의 비교연구.\" 조직신학석사학위논문, 감리교신학대학원, 1975.
Cannon, William R. The Theology of John Wesley. 조종남역.「요한웨슬리 신학」서울: 감리교교육국, 1993.
Yocum, Dale M. Study in Wesleyanism & Calvinism. 손택구역. 「웨슬레신학과 칼빈신학의 비교」 서울 : 보이스사, 1998
물론 웨슬리 자신이 그의 구원관은 알미니안적이라고 말한 일이 있지만 이 점은 다르다. 웨슬리는 그 믿음을 인간 의지의 결과로 본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선물로 보았다. 그러므로 인간의 구원을 인간적 조건에서 오는 것처럼 보는 알미니안주의는 부당한 것이다.
믿음으로 응답하는 인간의 응답에서 명심해야 할 중요한 사실은 그 주도권이 바로 인간 속에 임하신 하나님의 선행적 은총에 있다는 점이다. 칼빈의 예정론과 웨슬리의 만인구원론 간에 해결의 열쇠는 하나님의 주권이 인정되어야 하되 응답하는 인간의 협력도 무시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도 웨슬리가 주장하는 선행적 은총이 강조되어 하나님의 은혜에 인간은 응답하며, 하나님의 주권적 역사도 역시 성취된다는 점이 밝혀져야 한다.
결과적으로 바람직한 구원론은 예수님을 믿는 모든 만민은 구원받을 수 있다는 의미에서 웨슬리의 만인구원론으로 할 수 있을 것이며, 그것이 그리스도인들의 온전한 구원의 삶을 제시하는 것이라 하겠다.
Ⅳ. 참고문헌
이강천. 「거듭난 생명」서울: 성광문화사, 1982.
이양호. 「칼빈 생애와 사상」서울: 한국 신학 연구소, 1997.
이정전. 「세계 장로교회의 신앙과 역사 이야기」 서울 : 도서출판 예루살렘, 1992.
손병호. 「장로교회의 역사」서울:도서출판 그리인, 1993.
이성주. 「칼빈신학과 웨슬리 신학」경기도: 도서출판 잠언, 2002.
김명혁. \"종교개혁의 역사적 배경.\" 「신학지남」 176호 (1977.7): 40~41.
전희주. \"루터와 칼빈의 구원론 비교연구.\" 역사신학석사학위논문, 감리교신학대학원, 1996.
이성주. 「성결교회 신학」서울: 문서선교 성지원, 2004.
김우영. \"칼빈과 웨슬레의 있어서 구원관의 비교연구.\" 조직신학석사학위논문, 감리교신학대학원, 1975.
Cannon, William R. The Theology of John Wesley. 조종남역.「요한웨슬리 신학」서울: 감리교교육국, 1993.
Yocum, Dale M. Study in Wesleyanism & Calvinism. 손택구역. 「웨슬레신학과 칼빈신학의 비교」 서울 : 보이스사,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