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분석 감상문] Boys Don`t Cry를 보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본문내용

사회의 동성애자에 대한 편견에 의해 Brandon이 희생된 것처럼 우리 주위에서도 이반(異般)에게 가하는 집단적 편견의 희생자는 항상 존재한다.
3. 결론
'미쳤다'와 '정상이다'의 애매한 경계를 명확하게 정의할 수 있는 잣대는 무엇일까? 완벽한 절대자가 아닌 사람의 기준으로 자신과 같은 성적 취향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이유로 다른 사람을 '당신은 정상이 아닙니다' 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을 것이다. 사람은 이것 아니면 저것이라고 규정지을 수 없는 불완전한 존재이기에 개성을 갖고있고 그로 인해 항상 혼란스러운 법이다. 다시 말해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사회의 제도화된 틀에 갇힌 여성과 남성에 대한 편견은 인간의 이기적 본성에 의해 발생한 진실의 왜곡에 지나지 않는다. 신이 이 땅 위로 재림하여 공명정대한 잣대로 판단 내리기 전에 절대 진리란 어느 곳에도 존재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왜 소년은 울지 않아야 되고, 소녀는 울어도 되는가? 남녀차별 그리고 각종 성적 취향에 대한 차별에 이르기까지 모든 차별의 시작은 '무엇은 무엇과 다르다'에서 나온다. 특히 남녀차별은 그 구분의 근거가 다분히 성기 중심적이며, 또 별로 고차원적이지도 못한 기준 때문에 여성성과 남성성에 대한 스테레오타입이 제도적으로 형성된다는 것은 상당히 씁쓸한 일이다. 게다가 한술 더 떠서 성기 중심적 사랑에서 벗어나는 이들에 대한 각종 경멸과 정신적 폭력들이 행해진다. 과연 누가 '남자는 여자를, 여자는 남자를 사랑해야 한다'라는 원칙을 세운 것일까? 사랑에 원칙이 있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
사회에서 정한 불합리한 원칙 때문에 똑같은 인간이면서도 편견의 벽에 부딪혀 자유를 누릴 수 없다는 것은 분명 비극적인 일일 것이다. Boys Don`t Cry를 보고 할리우드 영화 속에서는 그렇게도 밝게 빛나는 자유의 여신상의 횃불이 실생활 속에서는 그저 가식 일뿐임을 실감할 수 있었다. Boys Don`t Cry는 다수가 소수를 억압하는 불합리성에 대해 생각하게 해주었으며 이것 아니면 저것을 강요하고 인간의 다양성을 말살시키는 강제성과 폐쇄성에 대한 두려움도 일깨워주었다. 그러한 다양성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려는 노력의 선행은 우리도 모르게 길들여진 우리 안의 선입견과 편견을 깨는 데서 시작할 것이다. '남자는 태어나서 세 번 운다.' 같은 말은 더 이상 듣고 싶지 않다. 그것은 단지 인간의 자율적인 사고를 억압하는 하나의 기제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12.08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76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