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본 론
1. 데이(day)문화의 유래
2. 데이(day)문화의 현황
3. 데이문화의 대안
3. 결 론
참고문헌
2. 본 론
1. 데이(day)문화의 유래
2. 데이(day)문화의 현황
3. 데이문화의 대안
3.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다.
-얼마 전 농촌진흥청 농촌생활연구소가 서울 강남지역 중·고생 300여명을 대상으로 칠월칠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적 있다. 그 결과 칠월칠석을 우리 고유의 기념일로 정하자는 의견이 전체의 61%를 차지하였으며 학생들은 스스로 이 날의 이름을 정해보는 등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칠월칠석 뿐 아니라 연인들의 기념일이 될만한 우리나라 고유의 풍습도 찾아보면 많이 있다. 보름날 밤에 처녀들이 밤을 새워 탑을 도는 것으로 세 번만 눈이 맞으면 결실을 맺을 수 있다는 「탑돌이」의식도 있고 또한 정월대보름에는 서로의 건강을 빌며 부럼을 깨물고 쥐불놀이, 달맞이 등으로 흥겨움을 더할 수 있다. 이러한 우리 고유의 명절을 자세히 알고 현대식으로 개발하면 서구에서 들어온 발렌타인 데이(day)보다 더 나은 기념일로써의 발전이 가능할 것이다.
기념일이란 서로의 무언가를 기념하며 함께 즐거워하여야 하는 것인데 14라는 숫자에 연연하여 생각 없이 유행을 따르는 것은 아닐까? 생각을 바꾸면 틀을 깰 수 있다. 데이(day)문화는 연인들 사이의 마음의 표현이다. 상업성에 휘말려 그 순수성을 잃지 않도록 스스로 먼저 틀을 깨는 시도를 해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3. 결 론
다분히 감각적이고 이성에 관심 많은 요즘의 십대들은 데이(day)문화 생산자들의 집중포격 대상이 되고 있다. 데이(day)문화로 인한 N세대의 정신적 육체적 피해는 현재 심각한 수준에까지 이르렀다. N세대 데이(day)문화가 N세대들의 과소비를 부추긴다는 비판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N세대들이 '데이(day)' 때마다 이성친구에게 줄 선물로 투자하는 돈은 평균 2, 3만원 많게는 십만원까지 이른다고 한다. 매달 있는 포틴스 데이(매달 14일의 기념일)와 신종 기념일, 사귄 지 며칠 되는 날까지 생각한다면 결코 만만치 않은 돈이다. 돈의 액수보다 더 큰 문제는 그들에게 물질적 사랑관을 심어주고, 또 지나치게 이성교제 쪽으로만 집중하게 한다는 점이다. N세대 데이(day)문화는 자축하는 문화이다. 단순히 물질적으로 보상하고 그 대가로 얻어지는 가치들에 길들여지는 N세대들이 이러한 현상들로 심화되어 가는 물질적 세계관을 벗어나기 위한 근본적인 대안이 무엇일까?
우선, 지나친 상업화를 경계하고 데이(day)의 의미를 살린 문화를 수용자들이 직접 생산자가 되어 각자의 개성에 맞게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일단의 신드롬 같은, 개성을 허용하지 않는 사회의 집단체면의 영향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봐야 할 것이며, 각자 주체적으로 문화를 생산하고 향유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문을 통해 살펴보았던 데이(day)문화의 문제점을 자각하고 대안을 실현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 참고자료
1. 인터넷 사이트
- N세대 데이문화 따라잡기 http://www.hongkus.pe.kr/Education/nwootary/contents/p10.html
2. 도서
- 대중문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백선기, 커뮤니케이션북스
- 대중 문화의 패러다임, 원용진, 한나래
-얼마 전 농촌진흥청 농촌생활연구소가 서울 강남지역 중·고생 300여명을 대상으로 칠월칠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적 있다. 그 결과 칠월칠석을 우리 고유의 기념일로 정하자는 의견이 전체의 61%를 차지하였으며 학생들은 스스로 이 날의 이름을 정해보는 등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칠월칠석 뿐 아니라 연인들의 기념일이 될만한 우리나라 고유의 풍습도 찾아보면 많이 있다. 보름날 밤에 처녀들이 밤을 새워 탑을 도는 것으로 세 번만 눈이 맞으면 결실을 맺을 수 있다는 「탑돌이」의식도 있고 또한 정월대보름에는 서로의 건강을 빌며 부럼을 깨물고 쥐불놀이, 달맞이 등으로 흥겨움을 더할 수 있다. 이러한 우리 고유의 명절을 자세히 알고 현대식으로 개발하면 서구에서 들어온 발렌타인 데이(day)보다 더 나은 기념일로써의 발전이 가능할 것이다.
기념일이란 서로의 무언가를 기념하며 함께 즐거워하여야 하는 것인데 14라는 숫자에 연연하여 생각 없이 유행을 따르는 것은 아닐까? 생각을 바꾸면 틀을 깰 수 있다. 데이(day)문화는 연인들 사이의 마음의 표현이다. 상업성에 휘말려 그 순수성을 잃지 않도록 스스로 먼저 틀을 깨는 시도를 해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3. 결 론
다분히 감각적이고 이성에 관심 많은 요즘의 십대들은 데이(day)문화 생산자들의 집중포격 대상이 되고 있다. 데이(day)문화로 인한 N세대의 정신적 육체적 피해는 현재 심각한 수준에까지 이르렀다. N세대 데이(day)문화가 N세대들의 과소비를 부추긴다는 비판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N세대들이 '데이(day)' 때마다 이성친구에게 줄 선물로 투자하는 돈은 평균 2, 3만원 많게는 십만원까지 이른다고 한다. 매달 있는 포틴스 데이(매달 14일의 기념일)와 신종 기념일, 사귄 지 며칠 되는 날까지 생각한다면 결코 만만치 않은 돈이다. 돈의 액수보다 더 큰 문제는 그들에게 물질적 사랑관을 심어주고, 또 지나치게 이성교제 쪽으로만 집중하게 한다는 점이다. N세대 데이(day)문화는 자축하는 문화이다. 단순히 물질적으로 보상하고 그 대가로 얻어지는 가치들에 길들여지는 N세대들이 이러한 현상들로 심화되어 가는 물질적 세계관을 벗어나기 위한 근본적인 대안이 무엇일까?
우선, 지나친 상업화를 경계하고 데이(day)의 의미를 살린 문화를 수용자들이 직접 생산자가 되어 각자의 개성에 맞게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일단의 신드롬 같은, 개성을 허용하지 않는 사회의 집단체면의 영향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봐야 할 것이며, 각자 주체적으로 문화를 생산하고 향유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문을 통해 살펴보았던 데이(day)문화의 문제점을 자각하고 대안을 실현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 참고자료
1. 인터넷 사이트
- N세대 데이문화 따라잡기 http://www.hongkus.pe.kr/Education/nwootary/contents/p10.html
2. 도서
- 대중문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백선기, 커뮤니케이션북스
- 대중 문화의 패러다임, 원용진, 한나래
추천자료
원조교제 (성매매 청소년문제 미혼모 )
『코미디에서 드러나는 여성상』-봉숭아 학당을 중심으로-
전통문화인 한글에 대한 이해와 그 쓰임에 대한 교육적 활용
[마케팅] 플라워 로데(꽃집) 마케팅 전략
The Global Village 지구촌(地球村)
페레로 로쉐의 블루오션 - 초콜릿의 프리미엄 브랜드 마케팅 전략
한국의 집단주의
[벤처창업론]초콜릿카페 창업계획서 (A+리포트)
[마케팅원론] Hmall 마케팅 전략 분석 ['A+레포트']
현대의 세시풍속에 관하여
(언어의이해 공통D)인간언어의 특징을 동물(곤충)의 언어와 비교제시하고 기호학이 어떤 학문...
10장+일상생활의+구조
[한국문화사] 패스트푸드의 역사, 햄버거와 맥도날드 그리고 맥잡, 패스트푸드의 문제점, 패...
「애플 (Apple)」 기업의 사명과 비전, 철학과 경영전략, 시장의 환경분석, 기업문화, 경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