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5세대 영화와 중국회화의 미학적 배경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 5세대 영화와 중국회화의 미학적 배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가군의 영화에서 모든 작품에 공통적으로 도교적 요소가 드러나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사회주의 국가에서의 예술이라는 점을 인식할 때, 어쩌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화면의 구성요소, 즉 '여백'에 해당하는 빈 공간의 상징성이나 색채, 구도에서 도교의 흔적은 잠정적인 모습으로, 혹은 구체화된 언어로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그것은 이미 그들의 영화언어가 논리와 이론에 익숙한 사회주의 리얼리즘과의 결별을 원하고 있다는 사실을 반영하는 부분이기도 하지만, 그것보다 앞서 인정해야 할 부분은 그들 개개인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있는 전통의 미학이 새로운 형태의 언어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즉, 제 5세대 영화인들은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시간과 공간에 대한 그들만의 시간으로 그들 자신의 세계관을 담은 영화언어를 만들어 내었던 것이다.
제 5세대가 자신들의 영상미학의 표현수단을 자신들의 전통회화에서 빌려온 것은 그들이 의도했을 수도 있고, 그들 내면에 흐르고 있던 무의식에서 비롯된 것 있다. 하지만 그들의 영화 속에 녹아있는 중국 전통미술의 형식적 특성과 전통적 사상은, 영화라는 언어로 표현하려고 했던 그들의 사상을 보다 쉽게 영화 속에서 되살아날 수 있었던 것은, 대상물의 사실적 묘사에 중점을 두었던 서구의 고전 미술에 비해, 이미지의 재해석과 세계관의 반영이라는 고차원적인 측면에서의 중국회화의 방법론에 근거를 두고 있다. 중국의 전통회화가 감상자 나름대로의 감정과 느낌에 따라 재해석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것은 영화가 창작되고 전달, 감상, 분석되는 시스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제 5세대의 영화언어와 중국 전통미술의 관계는 단순히 그 작품들의 시각적 특성과 회화의 표현방식을 연결시키는 데서 끝나지 않는다. 제 5세대 영화의 시각적 표현과 중국 전통회화의 표현기법의 공통점을 찾는 것은, 바로 장르적인 공통점이나 방법론적 공통점으로부터 제 5세대 영화 속에 드러나는 사상을 가까이 이해하려는 데 있다. 그들이, 그들의 영화 속에서 발현한 전통사상의 새로운 재현은 모든 영화인들은 '전통'속에서 가장 신선한 영화언어를 찾아낸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그들의 전통 사상이 서양의 영화구조를 모방하기에 급급했던 중국영화의 후손들로 하여금 오늘날 자기 민족 고유의 전통예술인 회화의 표현 양식 속에서 가장 선진적인 영화언어를 찾아내고, 중국영화의 미학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리게 한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12.10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79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