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미술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미술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회화

3. 산수화
(1) 북송화. 남송화의 성립
(2) 북송의 산수화단
(3) 남송의 원체 산수화
(4) 재야화파인 남종화

4. 화조화

5. 인물화와 풍속화

6. 선기도 . 조사도 . 백묘도

7. 서예
(1) 실용성과 예술성의 분화
(2) 인쇄에 따른 서의 변화
(3) 법첩의 시작
(4) 서도의 혁신
(5) 시대적인 환경
(6) 왕실의 서도 취미
(7) 남송의 서풍

8. 공예
(1) 성격
(2) 생활 양식의 변화
(3) 종이
(4) 칠기의 장식
(5) 도자기

9. 참고자료

본문내용

은 굽기 전의 유연한 점토위에 자유롭게 새긴 것이다. 후대의 것 보다 정교한 형태들은 도자기 형판으로 찍어낸 것이다.그릇들은 엎어져 구워졌기 때문에 그릇 가장자리에는 유약이 닿지 않아 동이나 은으로 테를 둘렀다. 중국의 감식가들은 이를 순백의 백정과, 단정하고 섬세한 분정, 갈색의 자정과 거칠게 칠한 황갈색의 토정으로 구별하고 있다.최근 20년간의 광범위한 조사와 발굴의 결과, 가마는 다르지만 그 특질은 한결같이 같은 형태의 도자기가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요에서 여러 형태의 도자기가 제작되었다는 것도 분명해 졌다. 송대 이후의 감식가들은 여요나 균요, 우후천청자라고 불리는 전설적인 자요와 같은 북송의 고전적인 자기류에 정요도 포함시키고 있다. 모든 송대의 자기들 중에서 가장 희귀한 여요는 누르스름하거나 혹은 주황색 바탕에 엷은 자주색을 띤 청록색 유약이 칠해있고 그 겉 표면은 운모와 같은 균열이 가있다. 형태는 주로 대접이나 붓닦개, 물병들로서 아주 단순하며 유약의 성질과도 잘 조화되는 것들이다. 여주는 서안의 북부 동천현의 커다란 공장과 함께 중요한 몇몇 요업 중심지 중의 하나이다. 여기서는 조각을 하거나 틀에 박아서 만든 꽃무늬가 많이 장식된데다 광택이 나지 않는 녹색 유약을 바른 북방청자를 만들었다. 여요의 자기와 가장 깊은 관계를 갖고 있는 것은 유명한 균요의 자기가 있다. 그 산지는 균주와 여주 뿐만 아니라 근처의 학벽, 안양과 자주 등의 요업 중심지에서도 만들어졌다. 균요 중에서 가장 훌륭한 것으로는 궁정에서 쓰는 것들이기 때문에 관균이라고도 부른다. 그릇은 여요의 것보다 훨씬 무겁지만 엷은 자주색을 띤 푸른색의 유약이 칠해져있는 표면은 수많은 기포로 꽉 차 있어서 매혹적인 부드러움과 따스함을 느끼게 한다.
자주요란 북 중국에서 만들어지는 석기를 총칭한 것으로서 그림을 그린 뒤에 유약을 바르거나 채색된 백토를 깍아 내거나 선각으로 무늬를 넣어 장식하였다. 유약을 칠하기 전에 그림을 그리는 이 기법은 당대의 하남성에서 시험적으로 만들어 내었었지만 송대의 자주의 도공들은 이 기법을 사용하여 잘 만들어 내었다. 자연스러운 형태와 대담한 필선을 보여주는 자주요는 친근감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내에서는 이를 민예에 가깝다 하여 지식인들의 관심을 끌지 못했었다. 최근의 발굴과 연구에 의하면 북중국의 장식 석기라고 불러야 하는 이 자주요는 사천에 걸친 넓은 지역에서 만들어졌다는 사실이 분명해졌다.
송말 이전에 하남성의 팔촌이나 산서성의 팔의, 산동성의 덕주 등에 있었던 북 중국의 도공들은 유약을 바른 위에다 그림을 그리는 혁신적인 기법을 개발하였다. 그들이 만든 매혹적인 대접이나 접시들은 크림색 유약 위에 토마토같은 붉은색과 녹색, 노란색을 써서 가볍게 그린 꽃이나 새들로 장식돼 있다. 이러한 것들은 명대에 널리 유행했던 법랑 기법의 예로서 가장 최초가 된다.
<남송요> 남송의 도공들은 내요(궁정용 자기)라고 불리는 청자를 만들었는데, 섬세하고도 순수한 기형과 맑고 빛나는 유약은 특히 유명하였다.남방관요는 바탕이 어두운 색으로 된 청자인데 때때로 유약보다 얇으며 이 유약은 여러 겹으로 칠해져 있고 불투명한 유리질로 되었다. 때로는 불규칙한 균열이 있고 색채는 엷은 청록색에서 비둘기빛 나는 회색까지 있다. 이러한 청자는 남송의 궁정용품에 알맞도록 고요하면서도 신중하여 궁정품의 우아한 맛을 지니고 있다. 항주의 관요와 절강성 남부의 용천요에서 만든 청자 중에서 가장 우수한 청자를 엄격하게 구별할 필요는 없다. 항주의 궁정에 속한 가마에서는 짙은 바탕의 자기 외에도 밝은 색의 자기가 만들어졌다. 용천요에서도 회백색 바탕으로된 것 이외에 약간은 짙은색으로 된 그릇도 만들어졌다. 용천요에서 만든 가장 훌륭한 청자는 궁정에 공급하였으니 관요라고 불려질 수 있을 것이다. 아마도 송대의 모든 도자 중에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청자일 것이다. 이것은 여러곳의 가마에서 만들어졌으나 용천요에서 만들어진 것이 가장 훌륭하며 이는 간접적으로 월기의 영햐을 받은 것이다. 밝은 회색 바탕의 용천요는 가마속에서 구워질 때 노출된 부분은 노르스름하고 철분을 함유한 매끄러운 유약이 초록색부터 취록색까지의 색깔을 나타낸다. 이는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때로는 잘다잔 균열이 있기도 하다. 이러한 균열은 원래 구워진 그릇이 나와서 식을 때 그릇의 태토보다 그 위에 발랐던 유약이 빨리 수축되기 때문에 생기는 우연한 결과이다. 이러한 장식적인 효과를 위하여 가요 형태의 청자에서는 보다 조밀한 균열이 생기게하는 방법도 개발하였다. 용천요에는 여러 가지 형태의 자기가 있으나 대부분은 순수한 도자기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가끔 고대 청동기의 기형을 모방한 삼족정 이나 사족정 형태의 향로가 만들어졌다. 이러한 사실은 그 당시의 골동 취미를 나타내 주고 있다. 당시는 또한 중국 궁정 예술이 발달하기 시작했던 때였으며 이러한 풍조는 점점 고조되어 교양있는 사람들의 기호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절강성에서 만들어진 청자의 발전에 대한 자취는 연대가 있는 작품을 통해 보면 명조에까지 이른다. 명대에 와서는 그릇이 무겁게 느껴지고 유약은 유리질이 많아져서 더욱 선명한 녹색을 띄며 형태도 더욱 거대해졌다. 그리하여 남송이후 청자는 둥국의 수출품중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경덕진에서 서쪽으로 수마일 떨어진 곳에 있는 석호만의 당대 가마에서 미약하게 시작된 그 전통은 송대 자기의 생동적인 형태와 세련된 장식을 완전하게 조화시켰다. 여기에는 차주전자, 꽃병, 고배, 찻잔 등이 있으며 때로는 유약을 바르기 전의 얇은 점토에 믿기 어려울 정도로 가볍게 선조나 판박이로 용, 꽃, 새들이 장식돼 있고 구연부에는 나무잎 모양으로된 테를 두르고 있다. 송대에 이미 남부 중국의 많은 가마에서 청백자가 모방되었고 여기서 만들어진 대부분이 동남 아시아나 인도네시아 군도에 수출되었다. 때문에 이 지역의 고고학적인 유적지에서 청백자나 자기가 나타나서 그 지역의 연대를 알 수 있는 가장 확실한 근거가 되고 있다.
9. 참고자료
중국 회화사 삼천년, 양신, 학고재
동양회화이론서, 갈로, 미진사
동양미술사, 김청강, 을유

추천자료

  • 가격1,4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8.12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91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