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Girls를 통해서 바라본 여성 페미니즘의 모순 ;성적 정체성이 결여된 사회적 성공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작품에 관하여)

2. 본론 (등장 인물들을 통한 성 정체성 결여 비판)

3. 결론

본문내용

이어지고 있음을 우리에게 알려주는 것 같다. 이 극 속에서 나오는 여성들이 자신에게 부여된 여성으로서의 삶을 인정한 상태에서 성공을 했더라면 의미가 클뻔했으나 상당히 이 부분은 미진해 있어 결국 작품 속에서 알 수 있는 것은 여성은 그들의 성 정체성을 상당부분 포기해야만 남성이 가지는 사회적 역할이나 지위 속에 오를 수 있다라고 표현하고 있다. 이 글을 읽는 독자가 적어도 여성독자가 무언가를 느끼고 자각해야 할 것이 있다면 바로 그것은 사회로부터 오는 수많은 Signal중에서 자신의 여성 정체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잘 순응,동화해서 받아들일 때 결국 일시적이고 단면적인 남성 사회로의 동화가 이루어 질것이라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극이 상당히 우리에게 타당성을 가지고 다가오는 것은 바로 동시대의 등장인물이 아닌 시간의 흐름이 깨지지 않는 설정을 통해서 우리에게 변하지 않는 그리고 앞으로도 변하지 않을 것 같은 여성의 사회로부터의 불합리적 대우를 말한다는 것이다.
결국 주장하고 싶은 논지는 다음과 같다. 페미니즘은 없다. 하지만 사회적 억압이나 불평등적 요소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페미니즘은 있다. 그러기에 여성들은 그들만의 세상에서 생각하는 것에서 벗어나 수세기 동안에 이어진 사회적 계층구조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싸워나가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그 계층제의 상위부분에 남성이 많이 위치하고 있다 해서 자신들의 적을 잘못 판단하는 오류를 범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내가 생각한 페미니즘이 앞으로 무엇을 염두해 두어야 하나에 대해서 정리를 하면서 글을 끝낼까 한다.
첫째 : 생물학적 성을 사회적 성이 대체해서는 안되며 그 또한 억압이다.
둘째 : 실제로 남성이 손에 가진 것은 하나의 기표이지 현실이 아니다.
셋째 : 평등을 생각할 때 동일성의 개념이 아닌 적합성의 개념을 가지고 사고한다.
넷째 : 모성은 수치스럽거나 부끄러운 것이 아니라 인간에게 존재하는 아름다움이다.
다섯째 : 닫힌 사회에서 억압 받아왔다면 앞으로의 사회는 여성이 주체가 되어 열린 사회로
만든다.
여섯째 : 페미니즘은 여성들에게 알림의 역할을 해야지 선동을 해서는 안 된다.
일곱째 : 남성과 여성의 이분법적 사고는 필요하지만 결국 그것은 인간으로 수렴해야 한다.
* 참고서적
l 페미니즘의 이론과 정치, 장미경, 문화과학사
l 카릴 처칠 희곡집, 이지훈, 평민사
l 신 교육 사회학 탐구, 권이종, 교육과학사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12.13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83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