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분석과 정원관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직무분석
Ⅲ. 정원관리
Ⅳ. 결론

본문내용

③ labor distribution
④ 인건비 비율
. micro 방법 : 부문별 정원을 상향적으로 합산하여 총 정원을 산정
base : 사무량 측정, 積土방식
. macro방법 : 기업의 지불능력을 고려. 총 정원의 산정
할당방식 (인건비산정)
. 미시적 산정인원 : 총작업량 / 1인당 표준작업량
. 거시적 산정인원 : 적정인건비 / 1인당 인건비
. 경제적인 노동력으로 효과적인 경영활동의 수행
일정한 노동량의 투입으로 그 성과의 극대화
일정한 성과의 산출이 필요한 노동량의 극소화
. 소수정예주의 고능률 고임금
: 소수 양의 문제
: 정예 질의문제
3. 정원산정의 절차
1) 거시적 인원 산정 (위에서 아래로 그림 참조)
부가가치 분석에 의한 목표인원의 책정방법이다.
① "이 만큼의 사람으로 이 만큼의 일을 (더)해 내겠다"고 하는 「경영이 요구 하는 인력」으로 기업의 지불 능력 관점에서 총인건비를 기준으로 선정되며
부가가치와 노무비에 다른 적정인원 산출방법이다.
② 종업원 수 =
1인당평균임금over인건비총액
총소용인원수 =
부가가치액 노동분배율
1인당 인건비
인건비총액 = 부가가치액 노동분배율
부가가치액 = 매출액 부가가치율
노동분배율 =
인건비over부가가치세
부가가치 = 당기순이익+인건비+금융비용+임차료+조세공과금+감가상각비
노동분배율 : 부가가치에서 차지하는 인건비의 비율
③ 방법
손익분기점 분석
노동생산성 분서
노동분배율 분석
인건비 비율
2) 미시적 인원 산정 (아래에서 위로 그림 참조)
① "이 만큼 일(직무)이 있기 때문에 당연히 이 만큼의 사람이 필요하다"는 것 으로 「현장이 요구하는 인력」으로 현장에서 직무단위별 업무량 파악에 의 해서 산정 되며,
② 직무단위별 소요인원 수의 결정 =
총작업(업무)량 over 1인당표준작업량
③ "어떤 수요"가 "어느 직무"에서 얼마나 요청되는가를 파악
'수요방식'에 따른 세분화 : 배치수요, 예비수요, 신수요, 보충수요
연속수요, 불연속수요, 긴급수요, 보통수요
'직무범위'에 따른 세분화 : 계층별 수요, 직능별 수요,
직접부문별 수요, 간접부문별 수요
④ 방법
직무분석
시간연구
작업 샘플링
성과분석
관리범위 분석
3) 미시적 산정인원(직장 사무실이 요구하는 인원)과 거시적 산정인원(경영이 요구 하는 인원)의 GAP 항상 차이가 있다.
. 인원조정의 방법 :
① 양자의 평균치 - 미온적, 안좋다
② 사람 이외의 적극적 대책 - 합리화 대책
ⅰ) 조직통합 대책 : 조직간소화, 동태화, 권한책임의 명확화와 위양
ⅱ) 업무간소화 대책 : 작업개선(불필요, 중복, 번잡작업)
사무개선(사무공정개선, 사무처리방법 개선, 장표류 개선)
ⅲ) 사무기계화 대책 : OA기기의 도입
ⅳ) 성력설비투자 대책
ⅴ) 외주 외부 위탁대책
ⅵ) 인력활용 대책
4. 인원 조정과 과잉 인력의 관리
1) 인원조정의 방법
① 양자의 평균치 - 미온적, 안좋다
② 사람 이외의 적극적 대책 - 합리화 대책
ⅰ) 조직통합 대책 : 조직간소화, 동태화, 권한책임의 명확화와 위양
ⅱ) 업무간소화 대책 : 작업개선(불필요, 중복, 번잡작업)
사무개선(사무공정개선, 사무처리방법 개선, 장표류 개선)
ⅲ) 사무기계화 대책 : OA기기의 도입
ⅳ) 성력설비투자 대책
ⅴ) 외주 외부 위탁대책
ⅵ) 인력활용 대책
2) 과잉 인력의 관리
배치관리 :
채용의 억제 : 성장기업, 설비기구의 확대까지의 예비인력
단순 정형직무(사무직), 미숙련 업무(생산직)에서 가능
3) 인력활용대책
대 책
내 용
① 화이트 칼라
. 한 부서 1인자 상태
블루칼라
. 다능공의 상태
② 노동밀도의 강화
. 時단위체제 分단위체제
③ 고용형태 다선화
. 임시직, 파트타이머 활용
④ 근무형태 복선화
. 교대근무, 시차근무제, 임시공, 일일고용, 외주공
⑤ 남자 일의 여자화
Ⅳ. 결론
◈ 직무분석
1) 절 차
① 예비단계 (분석목적 결정, 주관부서 설치, 분석자 선정, 예비조사 )
② 실시단계 (직무분석표작성, 직무정보수집, 직무정보분석)
③ 평가단계
2) 방 법
① 관찰법
② 면접법
③ 질문지법
④ 경험법
⑤ 실험법
⑥ 종합법
◈ Job descriptions
. 수행되는 과업의 1∼2쪽의 요약
. 직무의 what(내용) how(방법) why(중요성과 의미)
◈ Job specification
. worker's qualification의 요약
채용 , 직무평가에 많이 이용
◈ Job evaluation
. 조직내의 직무의 상대적 가치를 결정하는 과정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relative worth of jobs within the org)
① 직무와 직무의 비교평가
② JA 직무기술서, 직무명세서를 기초로 작성
③ 임금격차의 합리적 결정 직무급제도
◈ Job evaluation의 요소
① responsibility
② skill
③ effort
④ working condition
◈ 정원산정 방법
(1) 미시적 정원산정 방법
① 직무분석에 의한 방법
② 시간연구에 의한 방법(Time study) - F.W. Taylor
③ 워크 샘플링에 의한 방법
④ PAS(Performance Analysis System)에 의한 방법
⑤ SOM(Span of Management : 관리폭)에 의한 방법
⑥ LRC(Linear Responsibility Charts : 선형책임도)에 의한 방법
(2) 거시적 정원산정 방법
① 손익분기점분석에 의한 방법
② 노동생산성에 의한 정원산정
③ 노동분배율에 의한 정원산정
④ 인건비비율에 의한 정원산정
조보상 외, 「(현대) 인적자원관리」, 서울 : 무역경영사, 2002.
한국노동연구원, 「21세기형 인적자원관리」, 서울 : 명경사, 2000.
김동배 외, 고용유연화와 인적자원관리 과제, 서울 : 한국노동연구원, 2004.
박경문 외, 「신인적자원관리론」, 서울 : 무역경영사, 2001.
김종재 외, 「인적자원관리 : 이론과 실제」, 서울 : 법문사, 2001.
홍용기, 「인적자원관리」, 서울 : 형설출판사, 2002.
박혜남, 「인적자원관리론」, 서울 : 청목출판사, 2000.
  • 가격1,4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4.12.14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86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