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달러 과거의 정책과 영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하고 있었지만, 달러 가치 하락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 문제는 오히려 심화되고 있었고, 역사적 최저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던 금리는 상승반전되고 있었다.
미국이 달러화 안정을 위해 금리를 올리는 와중에 독일, 일본등에서 금리를 따라 올리기 시작한 순간 미국 주식시장은 정신적 공황을 맞이하게 된다.(1987년 증시 대폭락의 원인으로 파생상품의 확대와 프로그램 매매에 따른 부작용 등, 여러가지 원인들이 거론되지만 이는 폭락의 과정을 기술한 것이고, 증시 폭락의 직접적 원인은 금리인상이 아닌가 하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또한 현재의 상황이 루브르 합의 직전의 1987년의 상황과 같다면 미국 경제는 앞으로 험난한 가시밭길이 예정되어 있다고 보아야 한다.(1989년 ~ 1991년까지의 시기는 부실채권이 증가하고 부동산관련 금융기관들이 파산하는 등 미국 경제가 어려웠던 시기였다. 그런데 2004년 미국에서도 사상 유례가 없는 저금리로 인해 부동산 버블이 형성되고 있다. 우연의 일치인가?)
<그림5.> 달러화의 가치 조정과정, "랜드마크투신운용, 김일구 운용본부장"
위 차트를 보면, 달러화의 가치하락 수준은 이미 1987년의 수준에 근접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작년 이후 달러화는 유로화에 대해 이미 50%의 평가절하를 경험하였기에 1987년 당시 독일 마르크화나 일본 엔화의 평가절하 수치와 비슷한 수준이나, 일본 엔화나 한국 원화에 대해서는 20% 이하의 절하에 불과하였고, 중국 위안화에 대해서는 아직도 평가절하가 일어나지 않은 상태이기에, 달러화의 평가절하 수준이 1987년과 유사하다고 말하기에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국제 원유가와 원자재 가격의 상승, 금값의 상승 등 다른 요인들을 볼 때, 현재의 상황을 단순히 1987년의 상황과 유사하다고 말하는 것은 조금 무리가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다.
그렇다면 현재의 달러 약세 상황은 도대체 어느 시기와 유사한 것일까?
1985년이라고 하기에도 문제가 있고, 1987년이라고 하기에도 문제가 있고, 그렇다면 1970년대 초반의 상황과 비슷한 것은 아닐까?
현재의 상황이 미국 달러의 신뢰붕괴와 그로 인한 환율시스템의 전환.. 미국이 원하는 달러 약세가 아니라 시장에 의한 강제 조정.. 1971년 미국이 계속되는 금유출을 견디지 못하고 달러의 금태환 정지를 선언한 것처럼, 현재 미국달러화는 시장에 의해 강제 평가 절하를 받고 있는 것은 아닐까?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12.17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91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