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도입
1.석유의존도
2.원유도입
3.석유수입액
4.국가별 석유 소비량 비교
5.석유소비량
6.주요 소비국의 비축일수
7.일일석유소비량
8.부문별 석유소비
1.석유의존도
2.원유도입
3.석유수입액
4.국가별 석유 소비량 비교
5.석유소비량
6.주요 소비국의 비축일수
7.일일석유소비량
8.부문별 석유소비
본문내용
발전
41.5
(7.8)
5.6
36.4
(△12.3)
4.8
35.9
(△1.3)
4.7
기타
11.3
(0.1)
1.5
10.3
(△8.8)
1.3
10.8
(4.9)
1.4
계
743.7
(0.2)
100
764.0
(2.7)
100.0
763.8
(0.1)
100
※ 주 ( )는 전년대비 증가율 추이
※ 자료원 :공사 석유수급통계
국내 대륙붕에서 석유자원 부존 가능성이 거론된 것은 1970년대의 일이지만 본격적인 석유탐사 활동은 1983 년부터 시작되었습니다.
1972년부터 1982년까지는 걸프, 쉘, 텍사코 등 외국 기업이 주도하여 50,501 L-Km의 물리탐사와 9개 공의 시추를 실시, 대규모의 퇴적 분지와 석유자원의 부존 가능성을 확인하였습니다.
1983년 이후에는 우리 공사가 주도적으로 석유탐사 활동을 전개하여 158,541 L-Km의 물리탐사와 28개 공의 탐사시추를 실시하였으며, 이 기간 중 제6-1광구 돌고래 지역과 고래지역에서 양질의 가스층을 발견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특히 경제성 규모가 기대되는 천연가스 발견에 성공한 고래V구조의 정확한 매장량 확인을 위한 평가시추 결과 울산 앞바다(제6-1광구)에서 경제규모의 천연가스 매장량(2,500억 입방피트)을 재차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2004년 7월 11일 시험생산 및 공급을 개시하였습니다.
공사는 이번 천연가스 발견 성공으로 국민의 염원인 산유국의 꿈을 실현함은 물론, 이를 계기로 석유ㆍ가스부존 가능성이 증대된 인근의 유망구조들에 대한 탐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장기적으로 국내대륙붕 중장기 탐사 계획에 의한 체계적인 탐사활동을 하고 있으며 특히, 탐사 단계의 자금 조달과 위험의 분산을 위해 외국 합작선을 적극적으로 유치하는 등 대륙붕 개발에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 2004. 6월말 현재
광 구
면적(K㎡)
물리탐사(L-km)
탐사
생산
제 1광구
제 2광구
제 3광구
제 4광구
제 5광구
제 6-1광구
제 6-2광구
한ㆍ일공동개발구역(JDZ)
동해지역
서해지역
36,460
39,443
41,427
42,449
30,103
12,918
11,688
82,557
-
-
6,477
19,114
8,193
11,314
11,995
101,443
10,998
54,840
2,115
470
1
4
-
1
4
18
2
7
-
-
-
-
-
-
-
3
-
-
-
-
계
297,045
226,959
37
3
41.5
(7.8)
5.6
36.4
(△12.3)
4.8
35.9
(△1.3)
4.7
기타
11.3
(0.1)
1.5
10.3
(△8.8)
1.3
10.8
(4.9)
1.4
계
743.7
(0.2)
100
764.0
(2.7)
100.0
763.8
(0.1)
100
※ 주 ( )는 전년대비 증가율 추이
※ 자료원 :공사 석유수급통계
국내 대륙붕에서 석유자원 부존 가능성이 거론된 것은 1970년대의 일이지만 본격적인 석유탐사 활동은 1983 년부터 시작되었습니다.
1972년부터 1982년까지는 걸프, 쉘, 텍사코 등 외국 기업이 주도하여 50,501 L-Km의 물리탐사와 9개 공의 시추를 실시, 대규모의 퇴적 분지와 석유자원의 부존 가능성을 확인하였습니다.
1983년 이후에는 우리 공사가 주도적으로 석유탐사 활동을 전개하여 158,541 L-Km의 물리탐사와 28개 공의 탐사시추를 실시하였으며, 이 기간 중 제6-1광구 돌고래 지역과 고래지역에서 양질의 가스층을 발견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특히 경제성 규모가 기대되는 천연가스 발견에 성공한 고래V구조의 정확한 매장량 확인을 위한 평가시추 결과 울산 앞바다(제6-1광구)에서 경제규모의 천연가스 매장량(2,500억 입방피트)을 재차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2004년 7월 11일 시험생산 및 공급을 개시하였습니다.
공사는 이번 천연가스 발견 성공으로 국민의 염원인 산유국의 꿈을 실현함은 물론, 이를 계기로 석유ㆍ가스부존 가능성이 증대된 인근의 유망구조들에 대한 탐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장기적으로 국내대륙붕 중장기 탐사 계획에 의한 체계적인 탐사활동을 하고 있으며 특히, 탐사 단계의 자금 조달과 위험의 분산을 위해 외국 합작선을 적극적으로 유치하는 등 대륙붕 개발에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 2004. 6월말 현재
광 구
면적(K㎡)
물리탐사(L-km)
탐사
생산
제 1광구
제 2광구
제 3광구
제 4광구
제 5광구
제 6-1광구
제 6-2광구
한ㆍ일공동개발구역(JDZ)
동해지역
서해지역
36,460
39,443
41,427
42,449
30,103
12,918
11,688
82,557
-
-
6,477
19,114
8,193
11,314
11,995
101,443
10,998
54,840
2,115
470
1
4
-
1
4
18
2
7
-
-
-
-
-
-
-
3
-
-
-
-
계
297,045
226,959
37
3
키워드
추천자료
향후 대체에너지에 대해서
고유가 시대와 경제의 흐름
고유가가 미치는 영향과 대책
유류사용으로 인한 피해 및 고갈에 따른 대체 에너지
우리나라 에너지 이용현황
교유가시대의 기후변화
[경제학원론]고유가가 산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리포트)
바이오 에탄올(Bioethanol)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저탄소 녹색성장
GS 칼텍스 개인정보 유출사건
유가상승이 국제기업활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슈]이란의 핵을 둘러싼 미국-이란 갈등과 한국의 대응, 그리고 호르무즈해협 봉쇄에 따른 ...
글로벌 무역의 이해 - 동북아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구상에 대한 경제적, 정치적 접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