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20초씩 유지하며, 3회 내지 5회 정도 반복하는 것이 좋다. 만약 요통이나 관절염이 심한 경우에는 전문가와 상담 후 실시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다.
① 목돌리기
정면을 바라보고 선 자세에서 양 팔은 자연스럽게 내린다. 팔에 힘을 빼고 어깨를 들지 않는다. 고개를 돌려 옆을 쳐다본다. 손바닥을 볼에 대고 살며시 고개를 밀어주는 것도 좋다.
② 목 옆으로 숙이기
정면을 바라보고 선 자세에서 양팔은 자연스럽게 내린다. 팔에 힘을 빼고 어깨를 들지 않는다. 정면을 바라본 상태에서 귀가 어깨에 닿도록 고개를 옆으로 숙인다.
③ 어깨와 허리 늘려주기
팔을 들고 팔꿈치로 구부려 손 끝이 최대한 등 밑으로 내려가도록 한다. 턱은 편안히 가슴 쪽으로 숙인다. 반대쪽 팔을 이용하여 팔꿈치를 뒤쪽으로 당긴다.
④ 가슴 펴기
팔꿈치를 어깨 선까지 들어올리고 양손은 가슴 앞으로 모은다. 팔꿈치를 뒤로 젖히면서 가슴을 편다.
⑤ 고관절 늘리기 운동
등을 대고 누운 상태에서 다리를 모은다. 다리를 천천히 벌리며 발 모양을 바깥쪽으로 한다. 10초간 유지한 후 다시 제자리로 모은다.
6. 고혈압 환자를 위한 수중 운동
수중 운동은 가슴 정도 물이 차는 곳에서 서서하거나 옆의 벽 또는 구조물을 잡고 행하는 운동을 말한다. 수중 운동은 물의 저항을 이용하여 근력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심폐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중 운동은 물의 부력을 이용하여 관절에 수직으로 눌리는 압력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요통이나 무릎통증을 가진 환자들의 경우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수중 운동을 실시하기 전에 지상에서 가벼운 체조로 준비 운동을 실시한 후 입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령과 체력 수준에 따라 너무 힘들지 않은 동작만 실시한다.
① 뒷다리 늘려주기
한쪽 다리를 곧게 편 채로 들어 수영장 벽에 발바닥을 붙인다. 이때 바닥을 짚은 다리는 약간 구부린다. 상체를 앞으로 숙여 뒷다리를 늘려준다. 10∼20초 가량 유지한 후 발을 바꿔 실시한다.
② 벽에 매달려 다리 뻗기
양발을 벽에 붙이고 수영장에 매달린다. 다리로 벽을 밀며 무릎과 팔을 서서히 편다. 10∼20초 가량 유지한다.
③ 벽밀기
벽에서 약 30㎝ 가량 떨어져 서서 한 발을 앞으로 내민다. 앞 무릎은 약간 구부리고 뒷 무릎은 곧게 편다. 이 때 양 발바닥의 전면이 모두 바닥에 붙어있어야 한다. 서서히 앞무릎을 구부리며 중심을 앞으로 이동한다. 10∼20초 가량 유지한 후 발을 바꿔 실시한다.
④ 8자 돌리기
무릎을 약간 구부려 어깨가 물에 잠기도록 한 후 팔을 어깨 높이로 든다. 물을 쓸며 8자를 그린다. 10회 반복한 후 휴식을 취하고 다시 실시한다. 총 30∼50회 정도 실시한다.
⑤ 밑으로 팔 당기기
무릎을 약간 구부려 어깨가 물에 잠기도록 한 후 양팔로 동시에 물을 당긴다. 이 때 몸이 앞·뒤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 발을 앞으로 내민다. 10회씩 반복하여 총 30∼50회 실시한다.
⑥ 다리 벌리고 모으기
팔을 뻗어 어깨를 벽에 걸치고 양다리를 90도 가량 들어올린다. 물을 휘저으며 다리를 크게 벌리고 다시 오므린다. 5회씩 반복하여 총 20∼30회 실시한다.
⑦ 한쪽 다리 들어 호 그리기
벽을 등지고 서서 양팔을 벌려 벽을 잡는다. 한쪽 다리를 들어 안에서 밖으로 크게 호를 그린다. 5회씩 반복하고 발을 바꾼다. 각각 30∼40회 가량 실시한다.
⑧ 다리 들어 허리 돌리기
벽을 등진 상태에서 양팔을 벌려 벽을 잡는다. 양 다리를 동시에 90도 가량 들어 올린다. 다리로 물을 휘저으며 허리를 돌린다. 8회씩 반복하여 16∼24회 정도 실시한다.
⑨ 물 속 가위차기
벽을 등지고 양 팔을 벌려 벽을 잡는다. 양 발이 떠 있는 상태에서 자전거타듯 발을 돌린다. 20회 페달링을 한 후 휴식을 취하고 다시 반복한다. 총 60∼100회 가량 실시한다.
7. 고혈압 환자를 위한 근력 운동
스트레칭 체조는 운동할 때마다 매번 하는 것이 좋으나 근력 운동은 주당 2∼3일만 해야 한다. 그다지 많은 양의 운동은 아니라 하더라도 근력 운동을 너무 자주 하는 것은 고혈압 환자들에게 무리가 될 수 있다. 또한 근력 운동시 무거운 운동 기구를 사용하는 것은 순식간에 혈압을 200㎜Hg 이상으로 올리기 때문에 하지 않는 것이 좋다.
근력 운동을 시작할 때는 먼저 전문가를 통해 심혈관계 위험요인을 검사받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며, 다음의 사항에 각별히 신경써야 한다.
① 한 번에 6초 이상 부하를 들고 있지 말아야 한다.
② 숨을 참지 말아야 한다.
무거운 것을 들어올릴 때는 본능적으로 복강 내에 압력을 올리기 위하여 숨을 참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복 압력의 상승은 심혈관계에 부담을 주게 되므로 근력 운동 중에는 반드시 원활한 호흡을 유지해야 한다.
③ 머리 위로 무거운 것을 들어올리는 운동은 하지 말아야 한다.
이러한 형태의 동작 또한 심혈관계에 부담을 준다.
④ 무거운 부하를 들지 말아야 한다.
무거운 부하를 들수록 혈압이 비례적으로 올라간다. 근력 운동을 처음 시작할 때는 0.5∼3㎏의 아령을 이용하는 것이 좋으며, 서서히 무게를 늘려나가 6㎏까지 올릴 수 있다. 근력운동 프로그램은 무게, 세트당 반복횟수, 세트 수 등을 고려한다.
⑤ 뒤꿈치 들기
아령을 들고 바른 자세로 선다. 뒤꿈치를 들어올린 후 다시 천천히 내린다.
⑥ 앞으로 팔 들기
팔꿈치를 약간 구부린 상태에서 손등이 전면을 향하도록 하여 두 팔을 다리 앞으로 모은다. 한쪽 팔을 어깨 높이까지 들어올린 후 다시 천천히 내린다.
⑦ 앞으로 팔꿈치 들기
손등이 전면을 향하도록 하여 두 팔을 다리 앞으로 모은다. 아령을 몸에 붙이면서 위로 들어올린 후 다시 천천히 내린다.
⑧ 팔꿈치 굽혀 앞으로 들기
손바닥이 전면을 향하도록 하고 다리 옆으로 아령을 든다. 팔꿈치를 몸에 붙인 상태에서 아령을 들어올린 후 다시 천천히 내린다.
⑨ 누워서 옆으로 팔 들기
등을 대고 누워서 어깨 높이까지 팔을 옆으로 벌린다. 가슴 위로 아령을 들어올린 후 다시 천천히 내린다.
⑩ 윗몸 일으키기
무릎을 90도 가량 세우고 팔을 옆으로 뻗은 채 눕는다. 상체를 일으켜 손을 무릎에 갖다 놓는다. 다시 천천히 내려온다.
① 목돌리기
정면을 바라보고 선 자세에서 양 팔은 자연스럽게 내린다. 팔에 힘을 빼고 어깨를 들지 않는다. 고개를 돌려 옆을 쳐다본다. 손바닥을 볼에 대고 살며시 고개를 밀어주는 것도 좋다.
② 목 옆으로 숙이기
정면을 바라보고 선 자세에서 양팔은 자연스럽게 내린다. 팔에 힘을 빼고 어깨를 들지 않는다. 정면을 바라본 상태에서 귀가 어깨에 닿도록 고개를 옆으로 숙인다.
③ 어깨와 허리 늘려주기
팔을 들고 팔꿈치로 구부려 손 끝이 최대한 등 밑으로 내려가도록 한다. 턱은 편안히 가슴 쪽으로 숙인다. 반대쪽 팔을 이용하여 팔꿈치를 뒤쪽으로 당긴다.
④ 가슴 펴기
팔꿈치를 어깨 선까지 들어올리고 양손은 가슴 앞으로 모은다. 팔꿈치를 뒤로 젖히면서 가슴을 편다.
⑤ 고관절 늘리기 운동
등을 대고 누운 상태에서 다리를 모은다. 다리를 천천히 벌리며 발 모양을 바깥쪽으로 한다. 10초간 유지한 후 다시 제자리로 모은다.
6. 고혈압 환자를 위한 수중 운동
수중 운동은 가슴 정도 물이 차는 곳에서 서서하거나 옆의 벽 또는 구조물을 잡고 행하는 운동을 말한다. 수중 운동은 물의 저항을 이용하여 근력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심폐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중 운동은 물의 부력을 이용하여 관절에 수직으로 눌리는 압력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요통이나 무릎통증을 가진 환자들의 경우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수중 운동을 실시하기 전에 지상에서 가벼운 체조로 준비 운동을 실시한 후 입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령과 체력 수준에 따라 너무 힘들지 않은 동작만 실시한다.
① 뒷다리 늘려주기
한쪽 다리를 곧게 편 채로 들어 수영장 벽에 발바닥을 붙인다. 이때 바닥을 짚은 다리는 약간 구부린다. 상체를 앞으로 숙여 뒷다리를 늘려준다. 10∼20초 가량 유지한 후 발을 바꿔 실시한다.
② 벽에 매달려 다리 뻗기
양발을 벽에 붙이고 수영장에 매달린다. 다리로 벽을 밀며 무릎과 팔을 서서히 편다. 10∼20초 가량 유지한다.
③ 벽밀기
벽에서 약 30㎝ 가량 떨어져 서서 한 발을 앞으로 내민다. 앞 무릎은 약간 구부리고 뒷 무릎은 곧게 편다. 이 때 양 발바닥의 전면이 모두 바닥에 붙어있어야 한다. 서서히 앞무릎을 구부리며 중심을 앞으로 이동한다. 10∼20초 가량 유지한 후 발을 바꿔 실시한다.
④ 8자 돌리기
무릎을 약간 구부려 어깨가 물에 잠기도록 한 후 팔을 어깨 높이로 든다. 물을 쓸며 8자를 그린다. 10회 반복한 후 휴식을 취하고 다시 실시한다. 총 30∼50회 정도 실시한다.
⑤ 밑으로 팔 당기기
무릎을 약간 구부려 어깨가 물에 잠기도록 한 후 양팔로 동시에 물을 당긴다. 이 때 몸이 앞·뒤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 발을 앞으로 내민다. 10회씩 반복하여 총 30∼50회 실시한다.
⑥ 다리 벌리고 모으기
팔을 뻗어 어깨를 벽에 걸치고 양다리를 90도 가량 들어올린다. 물을 휘저으며 다리를 크게 벌리고 다시 오므린다. 5회씩 반복하여 총 20∼30회 실시한다.
⑦ 한쪽 다리 들어 호 그리기
벽을 등지고 서서 양팔을 벌려 벽을 잡는다. 한쪽 다리를 들어 안에서 밖으로 크게 호를 그린다. 5회씩 반복하고 발을 바꾼다. 각각 30∼40회 가량 실시한다.
⑧ 다리 들어 허리 돌리기
벽을 등진 상태에서 양팔을 벌려 벽을 잡는다. 양 다리를 동시에 90도 가량 들어 올린다. 다리로 물을 휘저으며 허리를 돌린다. 8회씩 반복하여 16∼24회 정도 실시한다.
⑨ 물 속 가위차기
벽을 등지고 양 팔을 벌려 벽을 잡는다. 양 발이 떠 있는 상태에서 자전거타듯 발을 돌린다. 20회 페달링을 한 후 휴식을 취하고 다시 반복한다. 총 60∼100회 가량 실시한다.
7. 고혈압 환자를 위한 근력 운동
스트레칭 체조는 운동할 때마다 매번 하는 것이 좋으나 근력 운동은 주당 2∼3일만 해야 한다. 그다지 많은 양의 운동은 아니라 하더라도 근력 운동을 너무 자주 하는 것은 고혈압 환자들에게 무리가 될 수 있다. 또한 근력 운동시 무거운 운동 기구를 사용하는 것은 순식간에 혈압을 200㎜Hg 이상으로 올리기 때문에 하지 않는 것이 좋다.
근력 운동을 시작할 때는 먼저 전문가를 통해 심혈관계 위험요인을 검사받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며, 다음의 사항에 각별히 신경써야 한다.
① 한 번에 6초 이상 부하를 들고 있지 말아야 한다.
② 숨을 참지 말아야 한다.
무거운 것을 들어올릴 때는 본능적으로 복강 내에 압력을 올리기 위하여 숨을 참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복 압력의 상승은 심혈관계에 부담을 주게 되므로 근력 운동 중에는 반드시 원활한 호흡을 유지해야 한다.
③ 머리 위로 무거운 것을 들어올리는 운동은 하지 말아야 한다.
이러한 형태의 동작 또한 심혈관계에 부담을 준다.
④ 무거운 부하를 들지 말아야 한다.
무거운 부하를 들수록 혈압이 비례적으로 올라간다. 근력 운동을 처음 시작할 때는 0.5∼3㎏의 아령을 이용하는 것이 좋으며, 서서히 무게를 늘려나가 6㎏까지 올릴 수 있다. 근력운동 프로그램은 무게, 세트당 반복횟수, 세트 수 등을 고려한다.
⑤ 뒤꿈치 들기
아령을 들고 바른 자세로 선다. 뒤꿈치를 들어올린 후 다시 천천히 내린다.
⑥ 앞으로 팔 들기
팔꿈치를 약간 구부린 상태에서 손등이 전면을 향하도록 하여 두 팔을 다리 앞으로 모은다. 한쪽 팔을 어깨 높이까지 들어올린 후 다시 천천히 내린다.
⑦ 앞으로 팔꿈치 들기
손등이 전면을 향하도록 하여 두 팔을 다리 앞으로 모은다. 아령을 몸에 붙이면서 위로 들어올린 후 다시 천천히 내린다.
⑧ 팔꿈치 굽혀 앞으로 들기
손바닥이 전면을 향하도록 하고 다리 옆으로 아령을 든다. 팔꿈치를 몸에 붙인 상태에서 아령을 들어올린 후 다시 천천히 내린다.
⑨ 누워서 옆으로 팔 들기
등을 대고 누워서 어깨 높이까지 팔을 옆으로 벌린다. 가슴 위로 아령을 들어올린 후 다시 천천히 내린다.
⑩ 윗몸 일으키기
무릎을 90도 가량 세우고 팔을 옆으로 뻗은 채 눕는다. 상체를 일으켜 손을 무릎에 갖다 놓는다. 다시 천천히 내려온다.
추천자료
식생활의 중요성
애완동물의 질병 영양 관리
현대인의 건강관리 - 성인병에 대하여
(영양화학)녹차씨유와 양파추출물이 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
[식사요법 B형]허혈성 심장질환과 뇌졸중의 발생현황과 증상 및 치료와 식사요법 - 통계자료...
보건소 고혈압레포트
성인기 영양중 (방어영양, 만성질환질병, 운동의 중요성)중 하나 택일하여 조사. 느낀점포함
성인기 영양중 (방어영양, 만성질환질병, 운동의 중요성)중 하나 택일하여 조사. 느낀점포함
[프로젝트 제안ppt]당뇨관리시스템 (DMS, diabetes management system) 고안.ppt
건강증진론 A형 영양과 체중상태
1)당뇨의 합병증을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하여 정리.생활과건강 2)제2형 당뇨병 환자를 위한 ...
[생애주기영양학] 노인기에는 생리적 기능과 일상 활동량이 감소 올바른 영양관리 방법 2015...
[생애주기영양학] 노인기에는 생리적 기능과 일상 활동량이 감소에 따른 올바른 영양관리 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