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본 론
(1) 발제자의 주장 요약과 정리 및 평가
(2) 발언자의 문제점
(3) 토론 프로그램 및 토론 태도에 대해서...
3. 결 론
2. 본 론
(1) 발제자의 주장 요약과 정리 및 평가
(2) 발언자의 문제점
(3) 토론 프로그램 및 토론 태도에 대해서...
3. 결 론
본문내용
해 달라, 이거 해 달라 하고 남자들은 군가산점 다 빼버리고 승진할 때 불이익 당하고 또 중간에 퇴직하면은 어디 갈 데도 없고 예를 들어 너무 응석받이처럼 하는 게 아닌가, 여성들이 권리를 주장하는 것은 일단 일리가 있습니다. 저도 수긍하지 못하는 바 아닌데 현 우리 시점에서 이런 주장을 자꾸 응석받이 하는 것처럼 느껴지기 때문에 좀 이걸 구체적으로, 우리 실정에 이게 적용될 수 있는 사실인가 생각을 해봐야 될 것 같아요. "
이 주장에서 응석받이란 용어를 자꾸 쓰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응석받이란 용어는 이 사람의 의식 속에 내재한 가부장적인 사고에서 나오는 용어라 볼 수 있다. 노동자가 근로시간을 준수 하라던가, 권리를 찾아 달라고 요구하는 것을 그걸 응석이라고 표현할 수은 없는 것이다. 응석이란 단어는 어린 아이들에게나 쓰이는 말이다.
(3) 토론 프로그램 및 토론 태도에 대해서...
《100분 토론》이라는 이 프로그램은 아주 늦은 시각에 방송되는 프로그램이고, 정치나 경제 분야 등의 주제가 많아서 그다지 인기는 많지 않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관심있는 주제가 선정되어 토론이 이루어진다면 흥미롭게 볼만하다. 각 토론자들도 그 해당분야의 전문가 또는 권위자로 구성되고, 사회자의 진행도 프로그램특성상 딱딱하긴 하나 문제점은 보이지 않았다. 양측의 주장을 잘 정리해주고 논점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토론자들을 잘 이끌고 가는 것 같다. 중간 중간에 방청객의 의견을 들어보는가 하면 시청자들의 전화도 받아서 의견을 들어보고, 인터넷에 투고된 의견을 알려주기도 한다.
토론자들의 태도도 전체적으로는 차분하게 자신의 주장을 잘 펼친 것 같다. 서로 상대방의 입장을 잘 생각해주며 인정해야 하는 부분에서는 인정을 하고, 적당히 반박도 하며 무리 없는 토론 태도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가끔 주장의 근거가 빈약하다든지 상대방의 의견에만 너무 집착하여 질문공세를 하는 모습은 보기가 좋지 않았다. 자신의 의견을 분명하게 내세우는 것이 중요하지 다른 사람을 당황하게 하거나 곤혹스럽게 하는 것은 올바른 토론 태도라 할 수 없다. 토론의 궁극적인 목적은 발표자를 압도하거나 발표된 내용을 번복하려는 것이 아니라, 참석자들의 대립적인 주장과 논리적 설득을 통해 바람직한 결론에 도달하는데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3. 결 론
이번 과제를 하면서 토론을 직접 보고 이를 통해 토론 과정에서 주의해야할 부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 볼 수 있었다. 나를 포함한 대부분의 대학생들이나 청소년들이 토론하는 것을 싫어하고 지루해하며 별 다른 관심을 두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토론되는 주제가 무엇인지를 떠나 토론 그 자체의 중요성을 잘 알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우리 사회는 민주사회이기 때문에 토의나 토론과정을 통해서 모든 것이 결정되며, 앞으로 사회를 이끌어나갈 우리들에게 가장 기초적으로 요구되는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러므로 이런 토론 프로그램들을 자주 접하면서 문제점은 없는지 살펴보고 스스로의 토론태도를 키워나가야겠다는 생각을 해 보았다.
이 주장에서 응석받이란 용어를 자꾸 쓰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응석받이란 용어는 이 사람의 의식 속에 내재한 가부장적인 사고에서 나오는 용어라 볼 수 있다. 노동자가 근로시간을 준수 하라던가, 권리를 찾아 달라고 요구하는 것을 그걸 응석이라고 표현할 수은 없는 것이다. 응석이란 단어는 어린 아이들에게나 쓰이는 말이다.
(3) 토론 프로그램 및 토론 태도에 대해서...
《100분 토론》이라는 이 프로그램은 아주 늦은 시각에 방송되는 프로그램이고, 정치나 경제 분야 등의 주제가 많아서 그다지 인기는 많지 않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관심있는 주제가 선정되어 토론이 이루어진다면 흥미롭게 볼만하다. 각 토론자들도 그 해당분야의 전문가 또는 권위자로 구성되고, 사회자의 진행도 프로그램특성상 딱딱하긴 하나 문제점은 보이지 않았다. 양측의 주장을 잘 정리해주고 논점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토론자들을 잘 이끌고 가는 것 같다. 중간 중간에 방청객의 의견을 들어보는가 하면 시청자들의 전화도 받아서 의견을 들어보고, 인터넷에 투고된 의견을 알려주기도 한다.
토론자들의 태도도 전체적으로는 차분하게 자신의 주장을 잘 펼친 것 같다. 서로 상대방의 입장을 잘 생각해주며 인정해야 하는 부분에서는 인정을 하고, 적당히 반박도 하며 무리 없는 토론 태도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가끔 주장의 근거가 빈약하다든지 상대방의 의견에만 너무 집착하여 질문공세를 하는 모습은 보기가 좋지 않았다. 자신의 의견을 분명하게 내세우는 것이 중요하지 다른 사람을 당황하게 하거나 곤혹스럽게 하는 것은 올바른 토론 태도라 할 수 없다. 토론의 궁극적인 목적은 발표자를 압도하거나 발표된 내용을 번복하려는 것이 아니라, 참석자들의 대립적인 주장과 논리적 설득을 통해 바람직한 결론에 도달하는데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3. 결 론
이번 과제를 하면서 토론을 직접 보고 이를 통해 토론 과정에서 주의해야할 부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 볼 수 있었다. 나를 포함한 대부분의 대학생들이나 청소년들이 토론하는 것을 싫어하고 지루해하며 별 다른 관심을 두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토론되는 주제가 무엇인지를 떠나 토론 그 자체의 중요성을 잘 알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우리 사회는 민주사회이기 때문에 토의나 토론과정을 통해서 모든 것이 결정되며, 앞으로 사회를 이끌어나갈 우리들에게 가장 기초적으로 요구되는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러므로 이런 토론 프로그램들을 자주 접하면서 문제점은 없는지 살펴보고 스스로의 토론태도를 키워나가야겠다는 생각을 해 보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