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경어법의 전략적 사용
3. 결론
2. 경어법의 전략적 사용
3. 결론
본문내용
쓴 것과 달리, 왜 반말을 쓰느냐고 항의와 함께, 둘 째 문장부터는 해요체와 해체를 사용하였다. ‘화자 가’는 자신에게 유리한 위치를 주장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반말을 사용하였으며 ‘화자 나’는 상대방의 전략적인 경어법 사용에 대응하기 위해 ‘말 바꾸기 단계’를 시도한 것이다 ⑹과 같이 청자가 기대하는 등급보다 낮은 경어법 형식을 사용하게 되면 청자나 주위 사람들로부터 비난이나 따돌림을 당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전략적 경어법의 사용 사례에는 주로 청자의 기대 수준보다 더 높이 대우하는 경우가 많다.
.
2-2 (1) 말 단계 바꾸기의 유형(이정복1996)
① 대립적 지위 관계에 있는 대화 참여자들이 자신의 우세한 지위를 강조하거나 감춤으로서 지위 불일치 상황을 해소하려는 노력의 결과
② 발화 수반력이 큰 명령법, 청유법 등의 문장에서 발화의 힘을 줄여 분위기를 부드럽게 유지하기 위한 노력의 결과
③ 시혜적인 경어법 사용의 결과- 지위의 면에서 볼 때는 전혀 높임의 형식을 사용할 이유가 없는 청자인데도 가끔씩 높임의 형식을 사용하여 상대방을 대접해 준다는 느낌이 드는 경우를 말한다.
3. 결론
국어 경어법의 전략적인 측면에 관한 연구는 그 동안의 경어법 연구에서 거의 제외되어 왔다. 그 이유는 앞에서 언급을 했지만 지금까지의 국어 경어법 연구가 우리 생활에서의 실제 사용보다는 언어 형식에 지나친 비중을 두고 진행되어 왔기 때문이다. 또한 경어법 사용에 관심을 보인 대부분의 연구자들의 경우에도 강한 ‘규범 지향적’사고 방식 때문에 ‘규범’ 또는 ‘규칙’에 어긋나 보이는 용법은 연구 대상에서 제외해 버렸던 까닭이다. 그러나 실제 언어 생활에서 화자들은 경어법의 전략적인 용법을 잘 사용하고 있으며 이익과 경쟁이 강조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전략적 말하기의 효과는 더욱 중시되고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국어 경어법 연구에서는 그 동안의 권위적이고 규범에 얽매였던 자세에서 벗어나 실제 언어 사용에서 중요한 기능을 가지는 경어법 사용의 전략적인 면에 대한 연구에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 참고 문헌
- 이정복(1998). 국어경어법 사용의 전략적 특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정복, 「상대경어법」,『문법연구와 자료』,태학사, 1998
- 성기철,『현대국어 대우법 연구』, 개문사,1985
- 서정수,『존대법 연구』,한신문화사, 1984
- 남기심고영근, 『표준 국어문법론』, 탑 출판사, 1985
.
2-2 (1) 말 단계 바꾸기의 유형(이정복1996)
① 대립적 지위 관계에 있는 대화 참여자들이 자신의 우세한 지위를 강조하거나 감춤으로서 지위 불일치 상황을 해소하려는 노력의 결과
② 발화 수반력이 큰 명령법, 청유법 등의 문장에서 발화의 힘을 줄여 분위기를 부드럽게 유지하기 위한 노력의 결과
③ 시혜적인 경어법 사용의 결과- 지위의 면에서 볼 때는 전혀 높임의 형식을 사용할 이유가 없는 청자인데도 가끔씩 높임의 형식을 사용하여 상대방을 대접해 준다는 느낌이 드는 경우를 말한다.
3. 결론
국어 경어법의 전략적인 측면에 관한 연구는 그 동안의 경어법 연구에서 거의 제외되어 왔다. 그 이유는 앞에서 언급을 했지만 지금까지의 국어 경어법 연구가 우리 생활에서의 실제 사용보다는 언어 형식에 지나친 비중을 두고 진행되어 왔기 때문이다. 또한 경어법 사용에 관심을 보인 대부분의 연구자들의 경우에도 강한 ‘규범 지향적’사고 방식 때문에 ‘규범’ 또는 ‘규칙’에 어긋나 보이는 용법은 연구 대상에서 제외해 버렸던 까닭이다. 그러나 실제 언어 생활에서 화자들은 경어법의 전략적인 용법을 잘 사용하고 있으며 이익과 경쟁이 강조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전략적 말하기의 효과는 더욱 중시되고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국어 경어법 연구에서는 그 동안의 권위적이고 규범에 얽매였던 자세에서 벗어나 실제 언어 사용에서 중요한 기능을 가지는 경어법 사용의 전략적인 면에 대한 연구에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 참고 문헌
- 이정복(1998). 국어경어법 사용의 전략적 특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정복, 「상대경어법」,『문법연구와 자료』,태학사, 1998
- 성기철,『현대국어 대우법 연구』, 개문사,1985
- 서정수,『존대법 연구』,한신문화사, 1984
- 남기심고영근, 『표준 국어문법론』, 탑 출판사, 1985
추천자료
국어품사정리(학자들마다 다른 이견까지 정리)
국어의 문법적 특성
국어의 격과 조사
표준국어문법론 요약
국어학입문 제4장 의미론 용어정리사전
국어학입문 제5장 문자론 용어정리사전 과제물
국어 의미 변화의 대조적 양상
국어학 - 형태론 - 합성어에 관한 문제
국어학 형태론 - 합성어에 관한 문제 배포용 유인물.
현대국어 한자어 형태론
국어문법론 요점정리 서브노트
국어 정서법의 실태와 그 문제점
국어교육환경의 새로운 변화들을 제시하고 그 중 한 가지를 택하여 효율적인 대응방안 구상
[번역][영어번역][한영번역][중국어번역][한중번역][한국어번역][국어번역][독일어번역][한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