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등산의 정의
* 등산의 계획과 보고
* 리이더로서 갖춰야 할 조건과 의무
* 대원으로서 갖춰야 할 조건과 의무
* 등산예절
* 등산과 기상
* 등산의 형식
* 독도법
* 등산식량
* 등산장비
저체온증(Hypothermia)
조난시의 구조법
응급처치
* 등산의 계획과 보고
* 리이더로서 갖춰야 할 조건과 의무
* 대원으로서 갖춰야 할 조건과 의무
* 등산예절
* 등산과 기상
* 등산의 형식
* 독도법
* 등산식량
* 등산장비
저체온증(Hypothermia)
조난시의 구조법
응급처치
본문내용
보온 을 해야 한다.
출혈, 호흡단절, 쇼크, 파열상, 머리와 목, 척추 등의 부상, 골절, 탈구 등의 증 상이 있는지 환자의 부상부위를 살펴야 한다.
심한 출혈, 호흡의 단절이 있으면 즉각 조치를 해야 한다
구급은 경험자가 해야 하며 구급처치가 끝나면 환자가 움직일 수 있나를 알아 보아야 한다. 움직이지 못하면 환자를 안정시키고 일행만으로 수송이 가능한 것인지, 구조를 요청해야 하는지를 결정해야 한다.
환자의 수송이 불가능할 때는 비박준비를 하고, 가능하면 모닥불을 피우는 것 이 좋다. 모닥불은 환자의 보온과 일행의 사기 증진에 효과적이다.
3. 부상자의 수송
부상자를 사고지점에 그대로 두어야 할 것인가, 아니면 신속히 소송을 할 것 인가에 대한 선택은 매우 중요하다.
부상 후 환자에게는 약간의 휴식이 필요하며, 급한 수송은 더 큰 상처를 유발 할 수 있다.
부상자의 수송은 상타가 안정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며, 수송의 적절한 시기에 대해서는 환자 자신의 의사를 존중해 주어야 한다.
의식이 없어지는 당뇨병성 혼수나 폐부종 등 점진적으로 악화될 수 있는 질병 을 가진 사람은 수송을 서둘러야 한다.
머리의 부상, 목과 척추의 부상 등과 같이 움직여서 악화될 가능성이 있는 질 환은 수송을 미루고 의사가 올 때까지 안정을 취해야 한다.
부상자 수송법
① 가마타기 : 외부의 도움없이 작은 인원으로서 구조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 가벼운 부상이나 가까운 거리를 수송할 때 사용.
② 배낭에 의한 수송 : 두 사람이 나란히 선 다음 배낭의 멜빵끈에 긴 나무 지팡이를 올려 놓고, 환자는 두 사람의 어깨를 양손으로 감싸 안고 운반하 는 방법. 배낭이 클 경우 환자를 눕힐 수도 있다.
③ 등에 업어 나르기 : 등반용 줄을 8자형으로 접어 줄 사이에 환자의 양다리 를 끼워 넣어 등에 업는 방법.
④ 옷, 등반용 줄 등으로 들것을 만들어서 운반해도 됨.
응급처치
◎ 사람이 쓰러져 있을 경우
사람이 쓰러져 있으면, 우선 의식 상태와 호흡과 맥박의 유무를 살피는 일이 중요하다.
의식을 살피는 법
두드리거나 흔들어서 의식이 있는 지 살펴 본다.
괜찮으세요? 하고 소리친다.
만약 환자가 반응이 없다면 119에 전화 요청(두명의 구조자가 있을 때)
◎ 의식에 이상이 있을 때의 처치 1
우선 의식 상태를 체크하고, 의식이 없으면 동시에 호흡과 맥박도 살핀다.
의식이 없을 때의 조치(맥박은 있고 호흡이 없을 때)
호흡을 살피는 법
약 5초 동안 눈, 귀, 느낌으로 호흡을 확인한다.
만약 호흡이 없고 또는 말을 할 수 없다면
머리와 목을 고정시킨 후 상하체를 동일하게 하면서 환자의 등을 지면에 닿도록 눕힌다.
기도를 개방시킨다.
머리를 뒤로 젖히고 턱을 들어 올린다.
호흡을 다시 확인한다.
계속 호흡이 없다면
머리를 뒤로 젖히고 코를 막은 후 구조자의 입술을 환자의 입술에 단단히 덮어 씌운다.
1.5초씩 2회 숨을 불어넣는다.
계속 호흡이 있는지 확인한다.
맥박을 확인한다.(맥박도 없고 호흡도 없는 경우)
손가락을 목의 전면에 튀어나온 곳에 위치시킨다.
그곳에서 구조자 쪽으로 손가락을 옮긴다.
5-10초 동안 맥박을 확인한다.
심한 출혈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머리에서 발끝까지 심한 출혈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계속 맥박이 없다면 심폐소생술을 시작한다.
흉골의 아래쪽 끝 부분을 기준으로 해서 손가락을 놓는다.
위의 기준되는 손가락 옆의 다른 손으로 손꿈치를 놓는다.
기준점에서 손을 떼고, 그 손을 다른손의 위에 얹는다.
손가락을 흉부에서 뗀다.
흉부를 15회 압박한다.
손 위 방향에 어깨를 위치 시킨다(직각).
흉골을 3.8-5cm 정도 누른다.
약 10초 동안에 15회 압박을 가한다.
압박은 상하로 유연하게 실시하고 손은 흉부에서 떼지 않도록 한다.
천천히 2회 공기를 불어넣는다.
머리를 뒤로 젖히고 턱은 들어 올려 기도를 개방시킨다.
코를 막고 구강대 구강법으로 공기를 유입시킨다.
1.5초씩 2회 공기를 불어 넣는다.
공기를 유입시키는 동안 시선은 가슴을 확인한다.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을 반복한다.
1.5회 압박과 2회의 공기 유입을 반복한다.
맥박을 다시 확인한다.
약 1분후에 5초 동안 맥박을 확인한다.
만일 환자의 맥박이 살아나고 호흡을 한다면
기도를 계속 개방시키고, 호흡을 확인한다.
맥박은 있으나 여전히 호흡이 없는 경우 인공호흡을 계속 한다.
여전히 맥박과 호흡이 없는 경우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을 반복 실시한다.
정확한 손 위치를 확인해서 흉부에 위치시킨다.
1.5회 압박과 2회 공기 유입을 반복 실시한다.
매 수분마다 맥박과 호흡을 확인한다.
두 명이 실시하는 심폐소생술
A 응급구조사 - 일차 조사를 끝낸다.
의식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119에 전화 요청
환자를 올바르게 위치 시킨다.
기도 개방을 유지하고 호흡을 확인한다.
2회 공기를 불어 넣는다.
맥박을 확인한다. 없으면 ‘맥박이 없다’라고 한다.
B 응급구조사
A 응급구조사가 맥박을 확인하는 동안 압박을 위해 손의 위치를 선정한다.
손으로 위치를 확인하고,
5회 융부압박을 가한다.
A 응급구조사가 "CPR 시작“ 이라는 말을 하면 약 4초 동안 5회 압박을 가한다.
“하나 그리고 둘 그리고 셋, 그리고 넷 그리고 다섯” 이라고 큰 소리로 숫자를 센다.
A 응급구조사가 공기를 불어놓는 동안에는 압박을 멈춘다.
A 응급구조사 - 1회 천천히 공기를 유입시킨다.
1.5초 동안 1회 공기를 유입시킨다.
A, B 응급구조사 - 계속 심폐소생술을 실시한다.
5회 압박과 1회 인공호흡을 반복 실시한다.
주기적으로 압박의 효율성과 맥박을 확인한다.
맥박과 호흡을 다시 확인한다.
압박을 실시한 후 1분 후에 약 5초 동안 맥박을 확인한다.
만일 맥박이 살아나면
호흡을 다시 확인한다.
호흡을 하지 않으면 인공호흡을 계속한다.
매분마다 맥박을 확인한다.
만일 맥박이 없다면
맥박이 없다고 상대방에게 알린 후 심폐소생술을 계속한다.
매분마다 맥박을 확인한다.
두 명이 실시하는 심폐소생술의 역할 변경
압박을 담당한 사람이 역할의 변경을 요구한다.
A, B 응급구조사가 위치를 바꾼다.
A, B 응급구조사가 모두 심폐소생술을 계속한다.
출혈, 호흡단절, 쇼크, 파열상, 머리와 목, 척추 등의 부상, 골절, 탈구 등의 증 상이 있는지 환자의 부상부위를 살펴야 한다.
심한 출혈, 호흡의 단절이 있으면 즉각 조치를 해야 한다
구급은 경험자가 해야 하며 구급처치가 끝나면 환자가 움직일 수 있나를 알아 보아야 한다. 움직이지 못하면 환자를 안정시키고 일행만으로 수송이 가능한 것인지, 구조를 요청해야 하는지를 결정해야 한다.
환자의 수송이 불가능할 때는 비박준비를 하고, 가능하면 모닥불을 피우는 것 이 좋다. 모닥불은 환자의 보온과 일행의 사기 증진에 효과적이다.
3. 부상자의 수송
부상자를 사고지점에 그대로 두어야 할 것인가, 아니면 신속히 소송을 할 것 인가에 대한 선택은 매우 중요하다.
부상 후 환자에게는 약간의 휴식이 필요하며, 급한 수송은 더 큰 상처를 유발 할 수 있다.
부상자의 수송은 상타가 안정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며, 수송의 적절한 시기에 대해서는 환자 자신의 의사를 존중해 주어야 한다.
의식이 없어지는 당뇨병성 혼수나 폐부종 등 점진적으로 악화될 수 있는 질병 을 가진 사람은 수송을 서둘러야 한다.
머리의 부상, 목과 척추의 부상 등과 같이 움직여서 악화될 가능성이 있는 질 환은 수송을 미루고 의사가 올 때까지 안정을 취해야 한다.
부상자 수송법
① 가마타기 : 외부의 도움없이 작은 인원으로서 구조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 가벼운 부상이나 가까운 거리를 수송할 때 사용.
② 배낭에 의한 수송 : 두 사람이 나란히 선 다음 배낭의 멜빵끈에 긴 나무 지팡이를 올려 놓고, 환자는 두 사람의 어깨를 양손으로 감싸 안고 운반하 는 방법. 배낭이 클 경우 환자를 눕힐 수도 있다.
③ 등에 업어 나르기 : 등반용 줄을 8자형으로 접어 줄 사이에 환자의 양다리 를 끼워 넣어 등에 업는 방법.
④ 옷, 등반용 줄 등으로 들것을 만들어서 운반해도 됨.
응급처치
◎ 사람이 쓰러져 있을 경우
사람이 쓰러져 있으면, 우선 의식 상태와 호흡과 맥박의 유무를 살피는 일이 중요하다.
의식을 살피는 법
두드리거나 흔들어서 의식이 있는 지 살펴 본다.
괜찮으세요? 하고 소리친다.
만약 환자가 반응이 없다면 119에 전화 요청(두명의 구조자가 있을 때)
◎ 의식에 이상이 있을 때의 처치 1
우선 의식 상태를 체크하고, 의식이 없으면 동시에 호흡과 맥박도 살핀다.
의식이 없을 때의 조치(맥박은 있고 호흡이 없을 때)
호흡을 살피는 법
약 5초 동안 눈, 귀, 느낌으로 호흡을 확인한다.
만약 호흡이 없고 또는 말을 할 수 없다면
머리와 목을 고정시킨 후 상하체를 동일하게 하면서 환자의 등을 지면에 닿도록 눕힌다.
기도를 개방시킨다.
머리를 뒤로 젖히고 턱을 들어 올린다.
호흡을 다시 확인한다.
계속 호흡이 없다면
머리를 뒤로 젖히고 코를 막은 후 구조자의 입술을 환자의 입술에 단단히 덮어 씌운다.
1.5초씩 2회 숨을 불어넣는다.
계속 호흡이 있는지 확인한다.
맥박을 확인한다.(맥박도 없고 호흡도 없는 경우)
손가락을 목의 전면에 튀어나온 곳에 위치시킨다.
그곳에서 구조자 쪽으로 손가락을 옮긴다.
5-10초 동안 맥박을 확인한다.
심한 출혈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머리에서 발끝까지 심한 출혈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계속 맥박이 없다면 심폐소생술을 시작한다.
흉골의 아래쪽 끝 부분을 기준으로 해서 손가락을 놓는다.
위의 기준되는 손가락 옆의 다른 손으로 손꿈치를 놓는다.
기준점에서 손을 떼고, 그 손을 다른손의 위에 얹는다.
손가락을 흉부에서 뗀다.
흉부를 15회 압박한다.
손 위 방향에 어깨를 위치 시킨다(직각).
흉골을 3.8-5cm 정도 누른다.
약 10초 동안에 15회 압박을 가한다.
압박은 상하로 유연하게 실시하고 손은 흉부에서 떼지 않도록 한다.
천천히 2회 공기를 불어넣는다.
머리를 뒤로 젖히고 턱은 들어 올려 기도를 개방시킨다.
코를 막고 구강대 구강법으로 공기를 유입시킨다.
1.5초씩 2회 공기를 불어 넣는다.
공기를 유입시키는 동안 시선은 가슴을 확인한다.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을 반복한다.
1.5회 압박과 2회의 공기 유입을 반복한다.
맥박을 다시 확인한다.
약 1분후에 5초 동안 맥박을 확인한다.
만일 환자의 맥박이 살아나고 호흡을 한다면
기도를 계속 개방시키고, 호흡을 확인한다.
맥박은 있으나 여전히 호흡이 없는 경우 인공호흡을 계속 한다.
여전히 맥박과 호흡이 없는 경우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을 반복 실시한다.
정확한 손 위치를 확인해서 흉부에 위치시킨다.
1.5회 압박과 2회 공기 유입을 반복 실시한다.
매 수분마다 맥박과 호흡을 확인한다.
두 명이 실시하는 심폐소생술
A 응급구조사 - 일차 조사를 끝낸다.
의식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119에 전화 요청
환자를 올바르게 위치 시킨다.
기도 개방을 유지하고 호흡을 확인한다.
2회 공기를 불어 넣는다.
맥박을 확인한다. 없으면 ‘맥박이 없다’라고 한다.
B 응급구조사
A 응급구조사가 맥박을 확인하는 동안 압박을 위해 손의 위치를 선정한다.
손으로 위치를 확인하고,
5회 융부압박을 가한다.
A 응급구조사가 "CPR 시작“ 이라는 말을 하면 약 4초 동안 5회 압박을 가한다.
“하나 그리고 둘 그리고 셋, 그리고 넷 그리고 다섯” 이라고 큰 소리로 숫자를 센다.
A 응급구조사가 공기를 불어놓는 동안에는 압박을 멈춘다.
A 응급구조사 - 1회 천천히 공기를 유입시킨다.
1.5초 동안 1회 공기를 유입시킨다.
A, B 응급구조사 - 계속 심폐소생술을 실시한다.
5회 압박과 1회 인공호흡을 반복 실시한다.
주기적으로 압박의 효율성과 맥박을 확인한다.
맥박과 호흡을 다시 확인한다.
압박을 실시한 후 1분 후에 약 5초 동안 맥박을 확인한다.
만일 맥박이 살아나면
호흡을 다시 확인한다.
호흡을 하지 않으면 인공호흡을 계속한다.
매분마다 맥박을 확인한다.
만일 맥박이 없다면
맥박이 없다고 상대방에게 알린 후 심폐소생술을 계속한다.
매분마다 맥박을 확인한다.
두 명이 실시하는 심폐소생술의 역할 변경
압박을 담당한 사람이 역할의 변경을 요구한다.
A, B 응급구조사가 위치를 바꾼다.
A, B 응급구조사가 모두 심폐소생술을 계속한다.
추천자료
특별활동 - 행사활동
외국의 특별활동 교육과 특별활동의 연구동향
적응활동(특별활동)의 의의, 적응활동(특별활동)의 운영방침, 적응활동(특별활동)의 운영자료...
특별활동 자치활동영역의 개념과 필요성, 특별활동 자치활동영역의 목적과 방침, 특별활동 자...
특별활동의 정의와 목적, 특별활동의 활동별 목표, 특별활동의 영역구분과 시간배당, 특별활...
특별활동의 의의와 성격, 특별활동의 기본원리, 특별활동의 목표설정, 특별활동의 현황, 특별...
특별활동교육과정의 의의, 특별활동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특별활동교육과정 개정, 특별활...
특별활동교육과정의 목표, 특별활동교육과정의 성격, 특별활동교육과정의 영역별 내용, 특별...
특별활동(특별활동교육과정)의 운영과 편성, 특별활동(특별활동교육과정) 독서교육과 효행교...
특별활동(특별활동교육과정)의 개념과 영역, 특별활동(특별활동교육과정)의 필요성과 편성절...
특별활동의 가치, 특별활동의 특징, 특별활동의 기본원리, 특별활동의 시간편성, 특별활동의 ...
[특별활동교육과정]특별활동의 개념, 특별활동의 목표, 특별활동의 기본방향, 특별활동의 내...
[창의적 교육과정][통신공학 교육과정][특별활동 교육과정][특수학교 교육과정][공동 교육과...
부모선택으로 하고 있는 특별활동에 대한 장점, 단점과 단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 (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