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처음
이 글을 쓰게 된 동기
본론
@조경이란?
@한국조경의 특징
-자연환경적 배경
-사상적 배경
(은일, 신선, 음양,
풍수, 불교, 유교)
@ 한국조경의 예
-신림
-민가
-궁원
-별서
-사찰
맺음말
-결론
-나의 생각
이 글을 쓰게 된 동기
본론
@조경이란?
@한국조경의 특징
-자연환경적 배경
-사상적 배경
(은일, 신선, 음양,
풍수, 불교, 유교)
@ 한국조경의 예
-신림
-민가
-궁원
-별서
-사찰
맺음말
-결론
-나의 생각
본문내용
루고 있다. 중국의 대표적인 정원이라 할 수 있는 소주의 졸정원(拙政園), 성도의 두보초당(杜甫草堂)을 보면 대부분 분경식(盆景式)으로 꾸며져 있다. 전체 평면이 담으로 구분된 크고 작은 공간 속에 여러 가지 감상용 경물들을 진열해 놓고 있어 밀도 높은 배치 상태를 보이고 있다.
예로 든다면 중국의 소주 졸정원의 경우 문을 들어서면 가산이 시야를 막고 있는데.산으로 경치를 막는다고 해서 이것을 산억(山抑)이라 한다. 이때 나무를 이용했으면 수억이라하고 구불구불한 낭원을 통해서 정원에 이르게 햇담녀 곡억이라고 한다. 또한 장경은 보기에 좋지 않았거나 취하지 말아야 할 정원이 있을 때 담이나 숲을 조성하여 가리는 수법을 말한다.
일본의 경우를 보면, 정(庭)은 궁궐에서 조정의식을 행하는 네모난 마당을 의미하며, 원(園)은 중국의 유() 포(圃)와 같은 성경의 공간으로 여긴다. 일본정원은 담 등으로 둘러싸여 있어 정원으로서 실용적 가치를 지닌 공간이며, 산. 천. 바다. 숲 등의 자연 경관들을 인공적으로 조성하였다. 이렇듯 철저하게 인간 중심적으로 경영된 결과 작위적인 느낌이 전체 분위기를 지배하고 있다.
일본의 대표적인 전통정원인 류안지를 비롯한 대다수의 사찰 정원을 보면 왕모래와 암석을 이용하여 해상의 신선경을 연출하고 있는데, 이때 암석의 재질. 크기. 비례등을 고려하여 암석간에 시각적 균형을 이루도록 배치하는 고산수(故山水)기법을 쓰고 있다. 그 결과 정원의 정물들은 마치 한 폭의 그림처럼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모습은 다른 문화를 받아들일 때에도 적용되어서 무언가와 어울리기보다는 어떤 것을 부각시킨다.
이와는 달리 우리 선조들은 일찍이 자연에서 어울림을 배우고 이를 사상과 문화에 적용시킴으로써 세계에서도 각광을 받는 많은 문화유산을 남길 수 있었으며, 이런 복합적인 요소가 우리전통조경에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또한 이런 어울림은 우리를 모난 성격보다는 둥글스런 성격으로 다른 사람에게 정겹게 대 할 수도 있게되었다.
이러한 모습이 가장 한국적이며 우리가 사는 모습이기에 내가 한국의 전통조경을 택했으며 내가 겪은 작년의 경험에서도 느낄 수가 있었다.
나는 작년 겨울에 경복궁, 청덕궁, 보림사 그리고 장흥 유치면 덕산 2리를 가게 되었다.
그곳에서 궁원, 사찰 그리고 민가의 조경을 쉽게 접할 수 있었는데 이 모두에서는 공통적으로 자연을 거부하거나 이를 인위적으로 만들기보다는 오히려 정자, 누각, 사찰 그리고 민가가 자연의 한 일 부분처럼 다가왔으며 그 안에는 우리의 5천년역사와 함께 해온 은일, 신선, 풍수지리설..등 여러 사상들이 이를 자연스레 배어 있어서 굳이 이것이 무엇이며 이 의미가 무엇인지 알려 하지 않아도 알 수 가 있었다.
이런 자연스러움은 인간이 자연 위에 군림하는 존재가 아니라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존재라는 관념과 지나친 기교와 인위를 싫어하는 한국인의 선천적 대의성으로 인해 자연경관을 주(主)로 삼고 인공 경관을 종(從)의 위치에 두어서 천혜의 아름다운 자연환경 속에서 자연의 리듬을 말없이 느끼고 수용하면서 살아오는 과정에서 체득된 자연친화적 상정의 바탕이 이런 여러 사상을 서로 이질 덕인 것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어울림은 느낄 수 있었으며 이런 어울림은 우리가 5천년이란 유구한 역사와 문화를 가질 수 있었던 근원이며 지금까지 우리가 살아온 삶 그 자체인 것이다.
*참고문헌*
빛깔있는 책들(한국의 옛 정원)- 정재훈지음. 대원사 1998년
한국의 전통수경관- 홍광표, 이상윤, 정운익 공저. 태림문화사 2001년
한국의 정원 선비가 거닐던 세계- 허균지음. 다른세상사
http://kr.yahoo.com/- 미국조경가협회(ASLA)
예로 든다면 중국의 소주 졸정원의 경우 문을 들어서면 가산이 시야를 막고 있는데.산으로 경치를 막는다고 해서 이것을 산억(山抑)이라 한다. 이때 나무를 이용했으면 수억이라하고 구불구불한 낭원을 통해서 정원에 이르게 햇담녀 곡억이라고 한다. 또한 장경은 보기에 좋지 않았거나 취하지 말아야 할 정원이 있을 때 담이나 숲을 조성하여 가리는 수법을 말한다.
일본의 경우를 보면, 정(庭)은 궁궐에서 조정의식을 행하는 네모난 마당을 의미하며, 원(園)은 중국의 유() 포(圃)와 같은 성경의 공간으로 여긴다. 일본정원은 담 등으로 둘러싸여 있어 정원으로서 실용적 가치를 지닌 공간이며, 산. 천. 바다. 숲 등의 자연 경관들을 인공적으로 조성하였다. 이렇듯 철저하게 인간 중심적으로 경영된 결과 작위적인 느낌이 전체 분위기를 지배하고 있다.
일본의 대표적인 전통정원인 류안지를 비롯한 대다수의 사찰 정원을 보면 왕모래와 암석을 이용하여 해상의 신선경을 연출하고 있는데, 이때 암석의 재질. 크기. 비례등을 고려하여 암석간에 시각적 균형을 이루도록 배치하는 고산수(故山水)기법을 쓰고 있다. 그 결과 정원의 정물들은 마치 한 폭의 그림처럼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모습은 다른 문화를 받아들일 때에도 적용되어서 무언가와 어울리기보다는 어떤 것을 부각시킨다.
이와는 달리 우리 선조들은 일찍이 자연에서 어울림을 배우고 이를 사상과 문화에 적용시킴으로써 세계에서도 각광을 받는 많은 문화유산을 남길 수 있었으며, 이런 복합적인 요소가 우리전통조경에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또한 이런 어울림은 우리를 모난 성격보다는 둥글스런 성격으로 다른 사람에게 정겹게 대 할 수도 있게되었다.
이러한 모습이 가장 한국적이며 우리가 사는 모습이기에 내가 한국의 전통조경을 택했으며 내가 겪은 작년의 경험에서도 느낄 수가 있었다.
나는 작년 겨울에 경복궁, 청덕궁, 보림사 그리고 장흥 유치면 덕산 2리를 가게 되었다.
그곳에서 궁원, 사찰 그리고 민가의 조경을 쉽게 접할 수 있었는데 이 모두에서는 공통적으로 자연을 거부하거나 이를 인위적으로 만들기보다는 오히려 정자, 누각, 사찰 그리고 민가가 자연의 한 일 부분처럼 다가왔으며 그 안에는 우리의 5천년역사와 함께 해온 은일, 신선, 풍수지리설..등 여러 사상들이 이를 자연스레 배어 있어서 굳이 이것이 무엇이며 이 의미가 무엇인지 알려 하지 않아도 알 수 가 있었다.
이런 자연스러움은 인간이 자연 위에 군림하는 존재가 아니라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존재라는 관념과 지나친 기교와 인위를 싫어하는 한국인의 선천적 대의성으로 인해 자연경관을 주(主)로 삼고 인공 경관을 종(從)의 위치에 두어서 천혜의 아름다운 자연환경 속에서 자연의 리듬을 말없이 느끼고 수용하면서 살아오는 과정에서 체득된 자연친화적 상정의 바탕이 이런 여러 사상을 서로 이질 덕인 것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어울림은 느낄 수 있었으며 이런 어울림은 우리가 5천년이란 유구한 역사와 문화를 가질 수 있었던 근원이며 지금까지 우리가 살아온 삶 그 자체인 것이다.
*참고문헌*
빛깔있는 책들(한국의 옛 정원)- 정재훈지음. 대원사 1998년
한국의 전통수경관- 홍광표, 이상윤, 정운익 공저. 태림문화사 2001년
한국의 정원 선비가 거닐던 세계- 허균지음. 다른세상사
http://kr.yahoo.com/- 미국조경가협회(ASLA)
추천자료
[마케팅] 조경사업 경제적 타당성 분석
창덕궁(昌德宮) 비원(秘苑)의 조경(造景) 요소 및 특성
옥상녹화(옥상조경)시스템 이론과 사례-친환경건축
서양 조경사 요약정리 레포트
한국전통회화지도(한국화교육)의 중요성과 재료, 한국전통회화지도(한국화교육)의 단계별 내...
한국전통음악지도(국악교육)의 의의, 한국전통음악지도(국악교육)의 장단지도, 한국전통음악...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전통악기) 태평소와 아쟁,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전통악기) 가야금, 한...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장구(장고)의 정의와 구조,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장구(장고)의 특징, ...
한국전통음악교육(국악지도)의 의의와 목표, 한국전통음악교육(국악지도)의 학년별 지도내용...
삼국시대(고구려,백제,신라)의 조경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고싸움(고싸움놀이) 유래,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고싸움(고싸움...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씨름의 가치, 기술,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씨름의 다리기술, 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