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전통악기)의 분류
1. 관악기
2. 현악기
3. 타악기
Ⅲ.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전통악기) 태평소
Ⅳ.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전통악기) 아쟁
Ⅴ.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전통악기) 가야금
Ⅵ.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전통악기) 거문고와 쟁
1. 거문고
2. 대쟁
3. 아쟁
Ⅶ.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전통악기) 삼죽(대금, 중금, 소금)
1. 대금
2. 중금
3. 소금
Ⅷ.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전통악기) 장구
Ⅸ.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전통악기) 양금
참고문헌
Ⅱ.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전통악기)의 분류
1. 관악기
2. 현악기
3. 타악기
Ⅲ.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전통악기) 태평소
Ⅳ.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전통악기) 아쟁
Ⅴ.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전통악기) 가야금
Ⅵ.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전통악기) 거문고와 쟁
1. 거문고
2. 대쟁
3. 아쟁
Ⅶ.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전통악기) 삼죽(대금, 중금, 소금)
1. 대금
2. 중금
3. 소금
Ⅷ.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전통악기) 장구
Ⅸ.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전통악기) 양금
참고문헌
본문내용
회상(靈山會相)》 등 관현합주, 또는 단소(短簫)와의 병주 등에 쓰인다. 악기의 제도는 4각형 상자 모양의 판면(板面) 위에 줄을 받치는 긴 괘(법)를 2개 세우고 그 위에 주석과 철의합금으로 된 철현 네 줄을 한 벌로 하여 열네 벌을 얹는다. 채는 대나무의 껍질을 벗겨 끝을 약간 두껍게 깎아서 만든다.
원래 중동지방의 악기로 아라비아나 페르시아에서는 덜시머(Dulcimer) 또는 솔터리(Psaltery)라 불리던 것이 10~12세기에 일어난 십자군 원정 때 서양에 전파되어 중세 이후 유럽 각국에 널리 보급된 악기이다. 유럽에서는 양금을 덜시머팀파논하크베르트쳄발로 등으로 불렀으며, 이 악기가 동양에 전해진 것은 예수회 선교사인 마테오 리치에 의하여 1580년경 중국에 소개된 것이 처음이었다. 이때는 천금(天琴) 또는 번금(番琴)으로 불렸고, 지금 중국에서는 양금(楊琴)으로 표기한다. 이것이 한국에 들어온 것은 영조 때 청나라를 왕래하던 실학자들에 의해서이다. 한국에서는 서양금(西洋琴)서금(西琴)구라철사금(歐邏鐵絲琴)으로도 불렸다. 〈연암속집 燕巖續集〉에 따르면 홍대용이 이 악기를 처음 연주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 후 19세기 후반부터 영산회상과 가곡 등의 연주에 널리 쓰이게 된 듯하다.
참고문헌
곽종원(1979) : 국악 교육 지도서, 서울 : 문예 진흥원
반혜성(1999) : 전통음악이론, 도서출판 두남
성경린 지음 : 국악감상, 삼호출판사
임수철(1993) : O. K 국악 작은 우리
이성천·권덕원·백일형·황현정 : 알기 쉬운 국악개론, 풍남
장사훈(1988) : 국악 총론, 서울 : 세광음악출판사
원래 중동지방의 악기로 아라비아나 페르시아에서는 덜시머(Dulcimer) 또는 솔터리(Psaltery)라 불리던 것이 10~12세기에 일어난 십자군 원정 때 서양에 전파되어 중세 이후 유럽 각국에 널리 보급된 악기이다. 유럽에서는 양금을 덜시머팀파논하크베르트쳄발로 등으로 불렀으며, 이 악기가 동양에 전해진 것은 예수회 선교사인 마테오 리치에 의하여 1580년경 중국에 소개된 것이 처음이었다. 이때는 천금(天琴) 또는 번금(番琴)으로 불렸고, 지금 중국에서는 양금(楊琴)으로 표기한다. 이것이 한국에 들어온 것은 영조 때 청나라를 왕래하던 실학자들에 의해서이다. 한국에서는 서양금(西洋琴)서금(西琴)구라철사금(歐邏鐵絲琴)으로도 불렸다. 〈연암속집 燕巖續集〉에 따르면 홍대용이 이 악기를 처음 연주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 후 19세기 후반부터 영산회상과 가곡 등의 연주에 널리 쓰이게 된 듯하다.
참고문헌
곽종원(1979) : 국악 교육 지도서, 서울 : 문예 진흥원
반혜성(1999) : 전통음악이론, 도서출판 두남
성경린 지음 : 국악감상, 삼호출판사
임수철(1993) : O. K 국악 작은 우리
이성천·권덕원·백일형·황현정 : 알기 쉬운 국악개론, 풍남
장사훈(1988) : 국악 총론, 서울 : 세광음악출판사
추천자료
한국의전통술
한국전통식품의 이해 #2 밥과 된장에 관하여
한국의전통문화 기말고사 시험 정리
[결혼문화][혼례풍속]한국전통결혼문화(혼례풍속), 중국결혼문화(혼례풍속), 인도결혼문화(혼...
[한복][한국전통의복][전통한복][한국전통한복][한복의 유형][한복의 기본색][한복의 관리][...
외국인친구에게 한국전통가옥 운현궁 소개하기
한국전통식문화이해
한국전통목조건축 보에 관한 연구 논문집
한국전통유아교육과 서양교육의 비교
한국전통음식
글로벌마케킹 성공사례 - 덴티움, 굿필코리아, 디아메스코, 마이크로엔엑스, 윈텍스, 한국전...
한국의_전통문화
한국건축의 역사 - 현대건축에서의 한국전통의 의미
한국전통문화의이해 서울의 설명과 개념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