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울의 외사산
서울의 외수
서울의 내사산
서울의 내수
도성
도성의 문들
주요 가로
종루(종로)
종묘, 사직
궁궐
포구
**손으로 직접 그린 개념도
서울의 외수
서울의 내사산
서울의 내수
도성
도성의 문들
주요 가로
종루(종로)
종묘, 사직
궁궐
포구
**손으로 직접 그린 개념도
본문내용
외사산
서울을 밖에서 감싸 안은 형태를 이룬 산으로 서울을 받쳐주는 산이라는 뜻에서 ‘조산(祖山)’이라고도 부른다. 북한산, 아차산, 덕양산, 관악산이있다.
㉠북한산: 북쪽에 위치한 산. 고려시대부터 삼각산이라고 하다가 일제강점기 이후 북한산이라 불리기 시작했다.
㉡아차산: 동쪽에 위치한 산. 백두 대간에서 갈라져 나온 광주산맥의 끝을 이룬다.
㉢관악산: 남쪽에 위치한 산. 한강 남쪽에서 북한산과 마주보며 서울을 이루는 산. 관악산은 그 꼭대기가 마치 큰 바위기둥을 세워 놓은 모습으로 보여서 ‘갓 모습의 산’이란 뜻의‘갓뫼(간뫼)’ 또는 ‘관악’이라고 했다.
㉣덕양산: 서쪽에 위치한 산. ‘성산’ 또는 ‘행주산’이라고도 불린다. 북한산 자락이 한강과 만나는, 오늘날 행주산성이 있는 지점에 위치한다.
외수
⑴한강
서울을 밖에서 감싸 안아 흘러가는 강.
외사산과 외수가 서로 조화를 이룸으로써 서울의 외각 경계가 형성된다.
조선이 한양에 도읍을 정한이래 한강은 수륙 교통의 요충지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서울을 밖에서 감싸 안은 형태를 이룬 산으로 서울을 받쳐주는 산이라는 뜻에서 ‘조산(祖山)’이라고도 부른다. 북한산, 아차산, 덕양산, 관악산이있다.
㉠북한산: 북쪽에 위치한 산. 고려시대부터 삼각산이라고 하다가 일제강점기 이후 북한산이라 불리기 시작했다.
㉡아차산: 동쪽에 위치한 산. 백두 대간에서 갈라져 나온 광주산맥의 끝을 이룬다.
㉢관악산: 남쪽에 위치한 산. 한강 남쪽에서 북한산과 마주보며 서울을 이루는 산. 관악산은 그 꼭대기가 마치 큰 바위기둥을 세워 놓은 모습으로 보여서 ‘갓 모습의 산’이란 뜻의‘갓뫼(간뫼)’ 또는 ‘관악’이라고 했다.
㉣덕양산: 서쪽에 위치한 산. ‘성산’ 또는 ‘행주산’이라고도 불린다. 북한산 자락이 한강과 만나는, 오늘날 행주산성이 있는 지점에 위치한다.
외수
⑴한강
서울을 밖에서 감싸 안아 흘러가는 강.
외사산과 외수가 서로 조화를 이룸으로써 서울의 외각 경계가 형성된다.
조선이 한양에 도읍을 정한이래 한강은 수륙 교통의 요충지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추천자료
[전통][한국전통][한국전통음악][한국 전통조형물][한국전통문양][전통산후관습][전통신앙][...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역사와 창작이론, 국악교육(한국전통음악교육)의 동향과 문제점, 국악...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정의와 종류,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원리, 국악(한국전통음악)과 국악...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 의미와 용도,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 바른 자세, 국악기(한국...
한국화교육(한국전통회화지도)의 중요성과 실태, 한국화교육(한국전통회화지도)의 용구, 한국...
국악교육(한국전통음악교육) 의의와 실태, 국악교육(한국전통음악교육) 내용과 실제, 국악교...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 역사와 쓰임,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 연주자세, 국악기(한국...
국악교육(한국전통음악지도)의 현실과 필요성, 국악교육(한국전통음악지도)의 민요지도, 장단...
전통미술지도(한국전통미술교육)의 의의, 전통미술지도(한국전통미술교육)의 전통문양학습, ...
한국화(한국전통회화)의 정의와 성격, 한국화(한국전통회화)의 역사적 전개, 한국화지도(한국...
한국화(한국전통회화)의 정의, 한국화(한국전통회화)의 특징, 한국화지도(한국전통회화교육)...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의 유래,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의 기본과 자세, 국악기(한국...
[한국전통윤리사상]윤리사상의 개념, 한국전통윤리사상의 의의, 한국전통윤리사상의 특징, 한...
한국화(한국전통회화)의 특성과 의의, 한국화교육(한국전통회화지도)의 기초, 한국화교육(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