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통윤리사상]윤리사상의 개념, 한국전통윤리사상의 의의, 한국전통윤리사상의 특징, 한국전통윤리사상의 연원, 한국전통윤리사상의 전개, 한국전통윤리사상의 인식, 한국전통윤리사상 관련 시사점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전통윤리사상]윤리사상의 개념, 한국전통윤리사상의 의의, 한국전통윤리사상의 특징, 한국전통윤리사상의 연원, 한국전통윤리사상의 전개, 한국전통윤리사상의 인식, 한국전통윤리사상 관련 시사점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윤리사상의 개념

Ⅲ. 한국전통윤리사상의 의의

Ⅳ. 한국전통윤리사상의 특징
1. 인간 존중 사상
1) 경천애인
2) 건국 이념
3) 보우
4) 동학
2. 민본주의
3. 공동체적 생활 윤리 구현
1) 계(契)
2) 향약(鄕約)
4. 자주 민족 의식의 고취

Ⅴ. 한국전통윤리사상의 연원

Ⅵ. 한국전통윤리사상의 전개

Ⅶ. 한국전통윤리사상의 인식

Ⅷ.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상인 경천사상을 기본으로 하면서, 유 불 도의 사상을 융합하여 형성되었다. 그 핵심 사상은 \"사람이 곧 하늘이다(忍乃天).\", \"내 마음이 곧 네 마음이다(吾心卽汝心).\" 등인데, 자신을 포함한 모든 사람들이 하늘만큼 존귀하기 때문에 모든 대인 관계에 있어서 하늘을 섬기는 것처럼(事人如天) 신중하고, 경건하며 겸손해야 한다는 것이다. 동학사상은 인본주의를 기반으로 한 사해 평등주의를 표방하고, 그 실천에 주력함으로써 당시에 많은 사람들로부터 호응을 받았다.
Ⅶ. 한국전통윤리사상의 인식
한국의 전통윤리사상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우리 주변에 짙게 깔려있는 것이 사실이다. 일상생활을 하는 가운데에서, 많은 대중매체 및 저술의 내용에서, 심지어 일부 학자들의 주장에서 그러한 부정적 측면은 폭 넓게 나타난다. 그러면 우리의 현실에서 이렇게 드러나는 부정적 인식의 원인을 어떻게 밝혀 낼 수 있겠는가 하는 것이다. 이들 원인은 여러 측면에서 다양하게 찾아질 것이다.
그러나 이들 원인의 유형을 크게 셋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첫째, 우리의 전통윤리사상이 지니고 있는 본래 의미의 이해 부족, 둘째, 당시 사회적 어려움의 발생동기와 전통윤리사상의 동일시, 셋째, 서구사상의 수용 과정에서 나타난 전통윤리사상의 일방적 배척 등이다. 그런데 이들 유형은 엄격히 구분되는 것이 아니고 서로 유기적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실 첫 번째 원인을 규명함으로써 그 나머지 두 원인의 유형은 저절로 밝혀질 내용들이다.
전통윤리사상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문제가 되는 것은 ‘전통’의 의미에 대한 부정적 시각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부정적 시각은 일종의 선입견이나 편견을 가지고 전통에 관한 해석이나 평가를 하는데서 비롯된다. 따라서 전통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전통윤리사상 자체를 무가치한 것으로 단정하는데 영향을 주고 있다는 사실이다.
한편 근대화의 초기 단계에서 서양의 전통윤리도 계몽주의자들에 의하여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는 것을 찾아볼 수 있다. 계몽주의 사상은 종교적 전통에 지배된 민중의 몽매를 이성에 의하여 개화시키고, 과학적 지식과 비판적 정신을 보급하여 인간의 존엄을 자각시켜야 한다는 내용이다. 이와 같이 전통윤리를 비판하게 된 계몽주의자들의 입장은 자칭 전통주의자라고 하는 사람들이 정치와 사회현실에서 보이고 있는 부도덕한 생활에 근거한 것이었다. 따라서 전통의 眞意와 자칭 전통주의자라고 하는 사람들은 구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은 우리의 현실에서도 마찬가지로 발견된다. 특히 조선조에 있어서 자칭 性理學者라고 하는 사람들의 부도덕한 정치생활로 인하여 성리학 자체가 바로 부도덕한 내용인 것처럼 오해하고 있는 것이 우리 주변에서 상당히 발견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삶의 현장에서 정치 및 사회 각계각층의 지도자들이 부도덕한 생활을 하는 것이 마치 윤리사상 자체의 부도덕한 내용에서 비롯되었다고 하는 경우와 그 맥을 같이 하고 있는 것이다.
Ⅷ. 결론 및 시사점
교육은 그 아이의 심성을 곧게 하는 것이다. 하지만 한 편으로 인간 현실에 대한 이해라는 측면을 배제할 수 없다. 그래서 윤리 교육이 이름만이 아닌 진정한 살아있는 교육이 되려면 현실을 직시하도록 가르쳐야만 한다. 지금까지의 윤리 교육은 단지 어느 시대의 누구는 이런 이야기를 했다. 라는 수준에 그치고 있고 그 이유에 대하여서도 적극적이고 현실적인 대답의 노력에는 약했다. 고등학교 윤리 교과서에 미래 사회와 우리가 그 속에서 어떤 현실을 맞게 되는지 그리고 그 속에서 윤리가 왜 필요하며, 윤리의 존재로 인한 영향에 대해 자세히 쓴 일은 없다. 단지 인간의 심성에 대한 철학자들의 이야기가 있을 뿐이다. 따라서 교육에서는 윤리 사상이 현실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또 현실에 이런 문제가 있는데 학생들은 어떻게 생각하며 우리들은 어떤 자세로 그것을 바라보아야 하는지에 대하여 생각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리고 그 윤리의 실천에 있어서는 한단고기에 나온 내용이나, 선조들이 지켜오던 예절, 그리고 지금 전 세계 사람들이 행하고 있는 에티켓에 대한 내용을 서로에게 가르쳐 주며 실천하도록 권고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교육은 학생들 즉 아직은 사회제도의 직접적 영향권에는 안 들어가 있는 사람들에 대한 교육일 것이다. 만약 교육의 대상자들을 사회에 몸담고 살고 있는 사회인으로 맞추게 된다면 어떤 교육이 필요할 것인가?
먼저 교육은 위의 어린이들과 비슷한 방향으로 나가게 될 것이다. ‘국내 정치와 국제정치, 일상생활 속에서 우리가 지녀야할 윤리는 이런 것이다’라고 제시할 것이다. 그러나 그 윤리를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지식이 행동화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 이유는 사람들을 움직이는 사회구조가 인간이 공통적으로 추구할 만한 윤리에 기반을 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 사회구조, 사회제도는 인간을 단지 돈의 노예로 전락시키게 하고 사람들이 윤리를 지키는 것이 바보 같은 짓이라고 생각되도록 사회를 움직인다. 따라서 사회구조와 제도를 인간의 순선한 성품을 목표로 하여 다시 세워야 한다. 우리가 알고 있는 미덕이 사회제도 속에서 실천될 수 있도록 제도를 바꾸어야 한다. 그리고 범국민적인 캠페인과 교육을 통해 의식구조를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즉 사회 전체를 지배하는 사회제도에 인간성을 심어서 그 사회를 인간의 윤리가 통용되는 사회를 만들고, 그 후에 사회인에게 윤리를 따르라는 권고를 하는 것이 우리가 추구해야할 윤리사상의 교육 방법일 것이다. 이것이 성공되면 옷로비 사건 같은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고, 윤리가 통용되는 대동사회에 좀더 가까이 나아갈 수 있다.
참고문헌
* 금태길(1995), 한국윤리의 재정립, 서울 : 철학과 현실사
* 구원 편, 현대 한국사회의 윤리문제와 교육, 성남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이황·이이, 유정동 외 역(1989), 한국의 유학사상, 삼성출판사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986), 한국의 전통교육사상, 서울 : 한국정신문화연구소
* 홍정근(2006), 도덕·윤리교육과 동양윤리 ; 중학교 도덕교육과 동양윤리, 동양철학연구 47권, 동양철학연구회
* S.W.사하키안, 송휘철 외 역, 윤리학
  • 가격6,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1.04.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52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