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유교의 역사
Ⅱ. 유교의 생활양식
Ⅲ. 유교의 전통윤리
Ⅳ. 유교의 탄압
Ⅴ. 유교의 몰락
Ⅵ. 유교와 신유교
Ⅶ. 유교와 기독교
참고문헌
Ⅱ. 유교의 생활양식
Ⅲ. 유교의 전통윤리
Ⅳ. 유교의 탄압
Ⅴ. 유교의 몰락
Ⅵ. 유교와 신유교
Ⅶ. 유교와 기독교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전에 문서로 규정되어 주어진 업무의 집행 능력일 수 없다. 외직 문제의 사사로운 욕심을 극복할 수 있는 자기 수양(修身)여부가 관건이었다는 말이다.
정주학(程朱學)은 민본주의 구현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군주와 통치엘리트들이 얼마나 올바른 의식과 철학을 갖느냐 하는 문제라고 보았다. 군주 또는 통치엘리트가 사사로운 욕심에 의해 지배되느냐, 아니면 정당한 공공심에 의해 정치를 하느냐에 따라 그 결과가 위민(爲民)이 될 수도 해민(害民)이 될 수도 있다고 본다. 정치의 근본 문제는 법의 개혁이나 정책의 창안보다 위정자의 올바른 민본의식이 우선한다고 생각한다.
객관적인 규정이나 법규보다 주관적인 선한 의지를 강조하는 이러한 경향은 근대 법에 대한 무지나 법의 근대화 수준이 미약하기 때문에 생겨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것은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 뿌리를 두고 있다. 곧 유교적인 인문주의적 세계관은 인간성에 대한 깊은 신뢰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면서 법 또는 법규범에 대한 강한 불신을 드러내고 있다는 사실이 그것이다.
유교 민본주의는 법을 그 자체 자족적인 것으로 신뢰하지 않는다. 법이란 그것을 운용하는 인간의 능력에 크게 좌우되기 때문이다. 동일한 법이라도 그것을 운용하는 관리에 따라 위민적으로도 반민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그래서 유교적 인재 등용에서는 재능 못지않게 도덕성이 중요한 기준으로 고려된다. 자기의 사적 야심과 욕망을 극복하고 민본의 공적 이념에 헌신할 수 있는 엘리트의 도덕적 리더십이 중요한 관건이다. 그래서 유교는 안백성(安百姓)을 위한 치자의 수신을 무엇보다 강조한다.
한국 신유학에서 보통 私라고 표현되는 개인적인 욕망의 억제는 이러한 신유교적인 세계관의 강력한 영향력 때문에 사소한 개인적인 인격 또는 도덕적 인품의 문제를 넘어서 결정적으로 중요한 종교적 의미를 내포하게 될 뿐만 아니라 바람직한 사회적 인간관계를 수립하고 유지하는 데 절대 절명의 대전제가 된다. 이러한 사실을 알려주는 다음과 같은 선진유학의 인간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선진유학의 인간관에서 개인은 그 자체로 자족적이고 독립적인 실체로 인식되지 않는다. 오히려 인간은 관계의 네트워크 속에서 이해된다. ‘나’라는 존재는 인간 상호간의 관계에 의해 규정되는 관계적 자아이다. 실체적 자아가 아닌 관계적 자아는 자기와 관계 맺고 있는 인간에게 적절한 의무를 수행하고, 이들과 원만하고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하지 못한다면 행복해지기 어렵다. 유교 사회에서 인간의 행복은 주위의 인적 네트워크와의 좋은 관계를 떠나서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이 점에서 근대 서구 계몽주의의 원자론적 인간관과는 근본적으로 상이하다.
Ⅶ. 유교와 기독교
한국의 유교는 성리학에서 크게 발전하였으나 급기야는 당쟁과 맞물려서 자신의 생각과 다르면 무조건 이단 사설로 매도하는 성격을 지니게 되었다. 이는 작금의 한국교계와 너무나 흡사한 양상인 것이다. 이는 자기만 옳다고 주장 할 줄 알았지 남을 이해하지 못하는 우물 안 개구리가 되어 버리게 했던 것이다.
유교의 절대자 사상은 다만 형이상학적이었다. 즉 인격자로서의 하나님을 받아들이는데 지장을 주었다는 말이다.
유교는 죄의 개념을 단지 전통에 불순종하는 것으로만 보았다. 즉 뿌리 깊은 내면의 죄에 대해서는 민감하지 못했던 것이다. 이는 한국기독교인들의 도덕적 책임의식을 흐리게 한 요인이 된다. 요순시대만이 최고의 사회라는 생각 때문에 미래 진취적인 사관을 형성하지 못하고 무력한 문벌주의만 키웠다. 이는 기독교를 너무 보수적인 형태로 묶어 두려는 편협성을 불러일으킨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이점도 있다.
ㄱ) 유교는 사람을 군자 되게 해서 동방예의지국으로 만드는데 기여했다. 이는 기독교적인 덕목들과 서로 잘 어울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ㄴ) 유교는 가족중심의 사상이다. 이는 기독교의 사상과 매우 흡사해서 가족 단위로 복음을 받아들이게 하는데 기여했다.
ㄷ) 유교는 청렴결백한 정신을 고양시켰다. 이는 기독교의 단순한 생활방식과 매우 흡사해서 잘 받아들이게 하는데 기여 했다.
참고문헌
◇ 금장태(1990), 한국근대의 유교사상, 서울대학교출판부
◇ 가지 노부유끼(1996), 유교란 무엇인가, 서울 : 지영사
◇ 정진일(1997), 유교의 이해, 서울 : 형성출판사
◇ 한형조 외(2001), 전통 예교와 시민 윤리, 서울 : 청계
◇ 한국 철학 사상 연구회(1994), 현대 신유학 연구, 서울 : 동녘
◇ 함재봉(1998), 탈근대와 유교, 나남
정주학(程朱學)은 민본주의 구현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군주와 통치엘리트들이 얼마나 올바른 의식과 철학을 갖느냐 하는 문제라고 보았다. 군주 또는 통치엘리트가 사사로운 욕심에 의해 지배되느냐, 아니면 정당한 공공심에 의해 정치를 하느냐에 따라 그 결과가 위민(爲民)이 될 수도 해민(害民)이 될 수도 있다고 본다. 정치의 근본 문제는 법의 개혁이나 정책의 창안보다 위정자의 올바른 민본의식이 우선한다고 생각한다.
객관적인 규정이나 법규보다 주관적인 선한 의지를 강조하는 이러한 경향은 근대 법에 대한 무지나 법의 근대화 수준이 미약하기 때문에 생겨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것은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 뿌리를 두고 있다. 곧 유교적인 인문주의적 세계관은 인간성에 대한 깊은 신뢰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면서 법 또는 법규범에 대한 강한 불신을 드러내고 있다는 사실이 그것이다.
유교 민본주의는 법을 그 자체 자족적인 것으로 신뢰하지 않는다. 법이란 그것을 운용하는 인간의 능력에 크게 좌우되기 때문이다. 동일한 법이라도 그것을 운용하는 관리에 따라 위민적으로도 반민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그래서 유교적 인재 등용에서는 재능 못지않게 도덕성이 중요한 기준으로 고려된다. 자기의 사적 야심과 욕망을 극복하고 민본의 공적 이념에 헌신할 수 있는 엘리트의 도덕적 리더십이 중요한 관건이다. 그래서 유교는 안백성(安百姓)을 위한 치자의 수신을 무엇보다 강조한다.
한국 신유학에서 보통 私라고 표현되는 개인적인 욕망의 억제는 이러한 신유교적인 세계관의 강력한 영향력 때문에 사소한 개인적인 인격 또는 도덕적 인품의 문제를 넘어서 결정적으로 중요한 종교적 의미를 내포하게 될 뿐만 아니라 바람직한 사회적 인간관계를 수립하고 유지하는 데 절대 절명의 대전제가 된다. 이러한 사실을 알려주는 다음과 같은 선진유학의 인간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선진유학의 인간관에서 개인은 그 자체로 자족적이고 독립적인 실체로 인식되지 않는다. 오히려 인간은 관계의 네트워크 속에서 이해된다. ‘나’라는 존재는 인간 상호간의 관계에 의해 규정되는 관계적 자아이다. 실체적 자아가 아닌 관계적 자아는 자기와 관계 맺고 있는 인간에게 적절한 의무를 수행하고, 이들과 원만하고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하지 못한다면 행복해지기 어렵다. 유교 사회에서 인간의 행복은 주위의 인적 네트워크와의 좋은 관계를 떠나서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이 점에서 근대 서구 계몽주의의 원자론적 인간관과는 근본적으로 상이하다.
Ⅶ. 유교와 기독교
한국의 유교는 성리학에서 크게 발전하였으나 급기야는 당쟁과 맞물려서 자신의 생각과 다르면 무조건 이단 사설로 매도하는 성격을 지니게 되었다. 이는 작금의 한국교계와 너무나 흡사한 양상인 것이다. 이는 자기만 옳다고 주장 할 줄 알았지 남을 이해하지 못하는 우물 안 개구리가 되어 버리게 했던 것이다.
유교의 절대자 사상은 다만 형이상학적이었다. 즉 인격자로서의 하나님을 받아들이는데 지장을 주었다는 말이다.
유교는 죄의 개념을 단지 전통에 불순종하는 것으로만 보았다. 즉 뿌리 깊은 내면의 죄에 대해서는 민감하지 못했던 것이다. 이는 한국기독교인들의 도덕적 책임의식을 흐리게 한 요인이 된다. 요순시대만이 최고의 사회라는 생각 때문에 미래 진취적인 사관을 형성하지 못하고 무력한 문벌주의만 키웠다. 이는 기독교를 너무 보수적인 형태로 묶어 두려는 편협성을 불러일으킨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이점도 있다.
ㄱ) 유교는 사람을 군자 되게 해서 동방예의지국으로 만드는데 기여했다. 이는 기독교적인 덕목들과 서로 잘 어울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ㄴ) 유교는 가족중심의 사상이다. 이는 기독교의 사상과 매우 흡사해서 가족 단위로 복음을 받아들이게 하는데 기여했다.
ㄷ) 유교는 청렴결백한 정신을 고양시켰다. 이는 기독교의 단순한 생활방식과 매우 흡사해서 잘 받아들이게 하는데 기여 했다.
참고문헌
◇ 금장태(1990), 한국근대의 유교사상, 서울대학교출판부
◇ 가지 노부유끼(1996), 유교란 무엇인가, 서울 : 지영사
◇ 정진일(1997), 유교의 이해, 서울 : 형성출판사
◇ 한형조 외(2001), 전통 예교와 시민 윤리, 서울 : 청계
◇ 한국 철학 사상 연구회(1994), 현대 신유학 연구, 서울 : 동녘
◇ 함재봉(1998), 탈근대와 유교, 나남
추천자료
유교와 현대 사회
유교의 몇가지 사상과 생태여성주의
유교와 자연과의 관계가 나타난
유교 자본주의 분석과 유교 사회주의
유교(儒敎)란 무엇인가(조선의유교)
유교와 동양사상
유교의 현대적 해석
유교사상과 교육
유교에 대한 오해, 그리고 유교로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
유교와 기독교
[사생관][생사관][불교 사생관][원불교 사생관][유교 사생관][중국][시베리아]불교의 사생관(...
[전래][유교사상][개신교][감리교][천주교][성결교회][유학][불상][도자기]유교사상의 전래, ...
[전래][천주교 전래][성결교회 전래][장로교 전래][유교 전래][불교 전래][불상 전래][서양과...
[기업 자본][기업 지식자본][기업 외국자본][기업 유교자본][기업 불완전자본][기업 차입자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