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대형트레일러의 역할
-트레일러의 종류
-트레일러의 정역학적 분석
-고찰
-트레일러의 종류
-트레일러의 정역학적 분석
-고찰
본문내용
계에 최대 적재하중의 크기를 결정할 때 이와 같은 사실은 반듯이 염두 해야 할 것이다. 하중지수가 낮은 타이어를 선택해야 한다면 물론 타이어의 개수를 늘리던지 (그림 2에서 처럼) 아니면 적재하중을 줄이는 방법이 있을 수 있겠다.
그리고 만약 오랫동안 정지해 있을 경우에는 다음 사진에서의 방법처럼 타이어의 부담을 주지 않고 차에 달려있는 잭(Jack)을 이용하여 하중을 지지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그렇다면 거대한 구조물을 트레일러로 싣는 방법은 무엇인가?
대형 구조물을 운송하는 것도 큰일이지만 운송을 위해 트레일러로 구조물을 싣거나 내릴 때도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그런 경우 사용되는 장비가 크레인이다. 그렇다면 이번에는 크레인의 정역학적인 분석을 해보자.
먼저 이번에도 크레인의 자유물체도를 그려보면 다음과 같다.
그림 6에서처럼 크레인은 두개의 축으로 지지되어져 있고 크레인에 작용하는 힘은 그것 자체의 하중과 화물의 하중뿐이다. 따라서 이 두 지지점에서 얼마의 반력으로 지지하는가가 최대하중을 나타낼 수 있다. 먼저 크레인 축의 하중을 2000 kg 이라고 하고 최대 적재하중은 트레일러와 마찬가지로 25000 kg 이라고 놓고 반력을 구해보자.
에서 B= 25000 X 9.81 + 2000 X 9.81 = 265 KN
에서 -C X 1m - 2000 X 9.81 X 3m -25000 X 9.81 X 6m =0 이므로 C 는 -1530 KN 이 된다.
에서 A = -C 이므로 A 는 1530 KN 이다. 따라서 이 크레인은 25000 kg의 하중을 들어올리기 위해 A,B,C 에 위와 같은 반력이 작용해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마지막으로 트레일러에 회전 반경에 대해서 알아보자.
일단, 어떤 목적의 자동차일지라도 도로의 폭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회전반경은 규정이 있어야 하는데 그것이 최소회전반경이다. 최소회전반경이란 핸들을 한계까지 돌려 가장 급한 회전을 할 경우 차량의 외측 앞바퀴 궤적의 반경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자동차를 회전시켜서 바깥쪽 바퀴자국의 중심점에 따라 측정하여 가장 짧은 거리의 반지름을 말한다. 자동차의 최소회전반경은 12m 이하이다. 따라서 아무리 긴 트레일러라고 할지라고 회전반경은 12m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그렇다면 최소회전반경은 어떻게 구하는가?
-고찰
먼저 이번 과제를 하면서 느낀 점은 정말 간단하다고 말할 수 있는 평형방정식 다시 말해서 의 식이 어떤 구조물의 설계의 기본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또 재미있었던 점은 트레일러에 관해서 조사하던 중에 얼마 전에 대구 지하철 참사 이후 대구에서 새로운 지하철을 옮기는데 대형트레일러가 사용되었다는 사실이다. 새벽에 지하철을 실은 대형 트레일러가 30KM/H 의 속도로 달렸다고 하니 그 광경을 보지 못한 것이 아쉬웠다.
이번 과제를 마치면서 정역학 수업도 끝이라는 생각을 하니 시간이 정말 빨리 가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고 한 학기 동안 수고해 주신 정태건 교수님께 감사드리고 같이 배우고 있는 학우들에게도 감사하다고 생각이 든다.
그리고 만약 오랫동안 정지해 있을 경우에는 다음 사진에서의 방법처럼 타이어의 부담을 주지 않고 차에 달려있는 잭(Jack)을 이용하여 하중을 지지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그렇다면 거대한 구조물을 트레일러로 싣는 방법은 무엇인가?
대형 구조물을 운송하는 것도 큰일이지만 운송을 위해 트레일러로 구조물을 싣거나 내릴 때도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그런 경우 사용되는 장비가 크레인이다. 그렇다면 이번에는 크레인의 정역학적인 분석을 해보자.
먼저 이번에도 크레인의 자유물체도를 그려보면 다음과 같다.
그림 6에서처럼 크레인은 두개의 축으로 지지되어져 있고 크레인에 작용하는 힘은 그것 자체의 하중과 화물의 하중뿐이다. 따라서 이 두 지지점에서 얼마의 반력으로 지지하는가가 최대하중을 나타낼 수 있다. 먼저 크레인 축의 하중을 2000 kg 이라고 하고 최대 적재하중은 트레일러와 마찬가지로 25000 kg 이라고 놓고 반력을 구해보자.
에서 B= 25000 X 9.81 + 2000 X 9.81 = 265 KN
에서 -C X 1m - 2000 X 9.81 X 3m -25000 X 9.81 X 6m =0 이므로 C 는 -1530 KN 이 된다.
에서 A = -C 이므로 A 는 1530 KN 이다. 따라서 이 크레인은 25000 kg의 하중을 들어올리기 위해 A,B,C 에 위와 같은 반력이 작용해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마지막으로 트레일러에 회전 반경에 대해서 알아보자.
일단, 어떤 목적의 자동차일지라도 도로의 폭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회전반경은 규정이 있어야 하는데 그것이 최소회전반경이다. 최소회전반경이란 핸들을 한계까지 돌려 가장 급한 회전을 할 경우 차량의 외측 앞바퀴 궤적의 반경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자동차를 회전시켜서 바깥쪽 바퀴자국의 중심점에 따라 측정하여 가장 짧은 거리의 반지름을 말한다. 자동차의 최소회전반경은 12m 이하이다. 따라서 아무리 긴 트레일러라고 할지라고 회전반경은 12m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그렇다면 최소회전반경은 어떻게 구하는가?
-고찰
먼저 이번 과제를 하면서 느낀 점은 정말 간단하다고 말할 수 있는 평형방정식 다시 말해서 의 식이 어떤 구조물의 설계의 기본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또 재미있었던 점은 트레일러에 관해서 조사하던 중에 얼마 전에 대구 지하철 참사 이후 대구에서 새로운 지하철을 옮기는데 대형트레일러가 사용되었다는 사실이다. 새벽에 지하철을 실은 대형 트레일러가 30KM/H 의 속도로 달렸다고 하니 그 광경을 보지 못한 것이 아쉬웠다.
이번 과제를 마치면서 정역학 수업도 끝이라는 생각을 하니 시간이 정말 빨리 가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고 한 학기 동안 수고해 주신 정태건 교수님께 감사드리고 같이 배우고 있는 학우들에게도 감사하다고 생각이 든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