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SO2와 NO2의 배출허용기준
① 국내대기환경기준
② 지역대기환경기준(광역시도별)
③ 외국의 대기환경기준
④ 대기환경기준의 변천사
2. 배출허용기준
<비고>
3. 고찰 및 참고사이트
ⓛ NO2
② 배출허용기준
③ 참고 사이트
① 국내대기환경기준
② 지역대기환경기준(광역시도별)
③ 외국의 대기환경기준
④ 대기환경기준의 변천사
2. 배출허용기준
<비고>
3. 고찰 및 참고사이트
ⓛ NO2
② 배출허용기준
③ 참고 사이트
본문내용
다.
13. 질소산화물(NO₂로서)의 나목(2)의 열병합발전시설은 가목(2)의 배출허용기준 을 적용한다. 다만, 1989년 12월 31일 이전에 설치된 시설과 한국산업단지공 단의 구미열병합발전소에 대하여는 350(6)ppm 이하를 적용한다.
14. 질소산화물(NO₂로서)의 나목(2)가)2)에 해당하는 시설은 2005년 1월 1일부터 2006년 12월 31일까지 250(6)ppm 이하를 적용한다.
15. 질소산화물(NO₂로서)의 나목(3)가)1)에 해당하는 시설중 표준형 연소기를 설 치하여 물 또는 증기 주입설비를 갖추어 물 또는 증기를 주입하는 시설과 (나)1)의 열병합발전시설중 카본블랙 제조시설의 폐가스재이용시설은 2005년 1 월 1일부터 300(13)ppm 이하를 적용한다.
16. 유리용해시설에서 공기 대신 순산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표준산소농도(O₂의 백분율)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17. 배출시설란에서 별도기간 표기가 없는 "기존시설"이라 함은 다음 각목의 1에 해당하는시설을 말하고, "신규시설"이라 함은 기존시설외의 시설을 말한다.
가. 2001년 6월 30일 이전에 설치된 시설
나. 2001년 6월 30일 이전에 환경영향평가협의를 요청한 시설
다. 2001년 6월 30일까지 배출시설 설치허가신청서 또는 배출시설 설치신고서 를 제출한 시설. 다만, 배출시설을 교체하는 경우를 제외한다.
3. 고찰 및 참고사이트
ⓛ NO2가 질소산화물 황산화물의 대표적 물질이지만 전체를 대변하는 것은 아니다.
NOx=NO2 10%+NO 90%이지만 일반적으로 환경영향평가시 NOx *0.75를 NO2의 양으로 하고 worst case경우 NOx의양을 NO2의 양으로 한다.
② 배출허용기준 이란 배출시설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과 악취발생물, 기계 ·기구 등에서 발생하는 소음진동의 법적 허용기준을 말하며 대기분야에서는 매연 가운데 황산화물, 분진, 질소산화물, 유해물질의 허용 한도가 정해져 있다. 환경부 장관은 특별대책지역에 대하여 환경 오염방지에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엄격한 배출허용기준을 정할 수 있다.
또한 지역환경기준을 유지하기 어렵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특별대책지역에 새로이 설치되는 배출시설에 대하여 특별배출허용기준을 정할 수 있다. 지역환경 개선은 물론 국가환경, 지구환경개선에 기여한다
대기환경기준이란 최적의 대기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목표가 되는 기준으로 이상치이다.
환경정책기본법에 의하면 국민들의 쾌적한 생활을 위해 정부가 공기의 질을 조절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고 이를 대기환경기준이라 부른다. (국내에서는 이산화황,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오존, 미세먼지, 납 등 여섯가지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고 있음)
일반적으로 대기환경기준 농도는 낮고, 배출허용기준 농도가 높다.
그 이유는 환경기준에 배출허용기준을 맞추면 오염물질이 발생하는 업체의 경우 오염물질 농도감소에 너무 많은 비용을 투자해야 되고 따라서 이윤이 감소되므로 기업 자체의 원동력이 떨어져 경제적으로 매우 비효율적으로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정부가 이상적인 수치인 환경기준을 설정하고 또한 적정한 선에서 배출허용기준을 마련해 둔다.
마지막으로 여러 선진국들을 선두로 한 전 세계가 여러오염물질의 환경기준과 배출허용기준을 낮추는 추세이다. 이에 맞춰 오염물질의 발생감소, 효율적 처리가 필요하다. 결국 경제적으로 환경적으로 최적의 조건을 찾아야 하는데 이것이 환경공학의 궁극적 목적이라 생각한다.
③ 참고 사이트
- 환경부 : www.me.go.kr
- 대기환경정보 공개시스템 : http://airmap.nier.go.kr/airinfo/
- 국립환경연구원 : http://www.nier.go.kr/
13. 질소산화물(NO₂로서)의 나목(2)의 열병합발전시설은 가목(2)의 배출허용기준 을 적용한다. 다만, 1989년 12월 31일 이전에 설치된 시설과 한국산업단지공 단의 구미열병합발전소에 대하여는 350(6)ppm 이하를 적용한다.
14. 질소산화물(NO₂로서)의 나목(2)가)2)에 해당하는 시설은 2005년 1월 1일부터 2006년 12월 31일까지 250(6)ppm 이하를 적용한다.
15. 질소산화물(NO₂로서)의 나목(3)가)1)에 해당하는 시설중 표준형 연소기를 설 치하여 물 또는 증기 주입설비를 갖추어 물 또는 증기를 주입하는 시설과 (나)1)의 열병합발전시설중 카본블랙 제조시설의 폐가스재이용시설은 2005년 1 월 1일부터 300(13)ppm 이하를 적용한다.
16. 유리용해시설에서 공기 대신 순산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표준산소농도(O₂의 백분율)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17. 배출시설란에서 별도기간 표기가 없는 "기존시설"이라 함은 다음 각목의 1에 해당하는시설을 말하고, "신규시설"이라 함은 기존시설외의 시설을 말한다.
가. 2001년 6월 30일 이전에 설치된 시설
나. 2001년 6월 30일 이전에 환경영향평가협의를 요청한 시설
다. 2001년 6월 30일까지 배출시설 설치허가신청서 또는 배출시설 설치신고서 를 제출한 시설. 다만, 배출시설을 교체하는 경우를 제외한다.
3. 고찰 및 참고사이트
ⓛ NO2가 질소산화물 황산화물의 대표적 물질이지만 전체를 대변하는 것은 아니다.
NOx=NO2 10%+NO 90%이지만 일반적으로 환경영향평가시 NOx *0.75를 NO2의 양으로 하고 worst case경우 NOx의양을 NO2의 양으로 한다.
② 배출허용기준 이란 배출시설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과 악취발생물, 기계 ·기구 등에서 발생하는 소음진동의 법적 허용기준을 말하며 대기분야에서는 매연 가운데 황산화물, 분진, 질소산화물, 유해물질의 허용 한도가 정해져 있다. 환경부 장관은 특별대책지역에 대하여 환경 오염방지에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엄격한 배출허용기준을 정할 수 있다.
또한 지역환경기준을 유지하기 어렵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특별대책지역에 새로이 설치되는 배출시설에 대하여 특별배출허용기준을 정할 수 있다. 지역환경 개선은 물론 국가환경, 지구환경개선에 기여한다
대기환경기준이란 최적의 대기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목표가 되는 기준으로 이상치이다.
환경정책기본법에 의하면 국민들의 쾌적한 생활을 위해 정부가 공기의 질을 조절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고 이를 대기환경기준이라 부른다. (국내에서는 이산화황,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오존, 미세먼지, 납 등 여섯가지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고 있음)
일반적으로 대기환경기준 농도는 낮고, 배출허용기준 농도가 높다.
그 이유는 환경기준에 배출허용기준을 맞추면 오염물질이 발생하는 업체의 경우 오염물질 농도감소에 너무 많은 비용을 투자해야 되고 따라서 이윤이 감소되므로 기업 자체의 원동력이 떨어져 경제적으로 매우 비효율적으로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정부가 이상적인 수치인 환경기준을 설정하고 또한 적정한 선에서 배출허용기준을 마련해 둔다.
마지막으로 여러 선진국들을 선두로 한 전 세계가 여러오염물질의 환경기준과 배출허용기준을 낮추는 추세이다. 이에 맞춰 오염물질의 발생감소, 효율적 처리가 필요하다. 결국 경제적으로 환경적으로 최적의 조건을 찾아야 하는데 이것이 환경공학의 궁극적 목적이라 생각한다.
③ 참고 사이트
- 환경부 : www.me.go.kr
- 대기환경정보 공개시스템 : http://airmap.nier.go.kr/airinfo/
- 국립환경연구원 : http://www.nier.go.kr/
키워드
추천자료
음이온의 확인-점적분석
대기오염의 이유, 사례, 경제적 분석 및 해결책 도출을 위한 케이스식 접근
[환경오염]대기오염의 영향
<과학적 측면에서 본 문제의 원인과 결과분석. 문제점 파악>
제철 공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오염 문제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공정
일반화학실험 예비보고서
특수공간녹화의 효과
[일반화학] 『화학결합(VSEPR, Lewis구조식, 상자기성과 반자기성, 극성분자와 무극성분자, ...
지구온난화
[실험27] 음이온의 확인-점적 분석
옥살레이트-철 착화합물의 합성과 광화학 반응[화학실험]
Cu(I)과 Cu(II) 화합물의 비교-Cu(I) 염화물의 제조
암모니아[인도페놀법] 실험 보고서
환경오염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피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