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호주 이민의 역사
2. 호주 이민의 상황
3. 이민자의 출신 국가 비율
4. 호주의 이민 정책
5. 호주 이민의 종류와 방법
6. 호주 이민자들의 생활
7. 한국의 호주 이민
8. 앞으로의 이민 추세
9. 참고문헌 및 인터넷 주소
2. 호주 이민의 상황
3. 이민자의 출신 국가 비율
4. 호주의 이민 정책
5. 호주 이민의 종류와 방법
6. 호주 이민자들의 생활
7. 한국의 호주 이민
8. 앞으로의 이민 추세
9. 참고문헌 및 인터넷 주소
본문내용
루게 되었다.
그러나 한국이민의 경제적 생활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1991년에 한국이민집단의 연간 중위소득은 호주 전체 중위소득의 82%에 머물렀다. 한국이민집단의 낮은 소득 수준은 낮은 경제활동 인구율, 높은 실업률, 낮은 전문직종비, 언어소통난에 의한 단순노동, 그리고 한국인 사업체로의 취직 등 여러 복합적인 요인에 의한다. 1994년 말에 한국이민집단의 경제활동 인구율은 51%이고, 실업률은 14%였으며 이는 호주전체 실업률보다 크게 웃도는 수치이다. 한국이민은 주로 도,소매업, 금융, 부동산 관련업과 제조업에 종사한다. 최근에는 한국으로부터 관광객과 유학생들이 대량 유입되면서 이와 관련된 직종 종사자들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인의 호주이주가 다른 민족에 비하여 뒤늦게 시작되고, 한국 이민 중 절반 이상이 1980년대 중반 이후에 이입되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한국이민은 정착 내지 순응단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인의 이주과정에서 양적 급성장기는 1970년대 중반과 1980년대 후반이다. 양 시기에 이주한 한국이민은 이주경로, 동기 및 요인 등에 차이가 있으며 이민지에서 적응차가 있다. 따라서 이로부터 집단간 비융합화가 발생하였다. 이것이 오늘날 신구동포간의 부조화현상이다. 이 부조화현상은 이민적응 과정에서 한시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이나 하루빨리 제거 돼야 할 것이다.
8. 앞으로의 이민 추세
지난 20년 동안 호주로 이주하는 사람들의 주요 국적을 보면 유럽 국가에서 아시아국가로 바뀌고 있다. 게다가 호주 내 유학생의 72%가 아시아 학생임을 감안하면 이런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호주 정부는 매년 적정한 수의 카테고리를 정해 이를 기준으로 이민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최근 5년간 이민정책은 호주에서 요구되는 노동 수요와 경제 발전에 초점을 두고 변화되어 가고 있다.
이런 추세는 호주 정부의 이민 정책이 기술 분야에 역점을 두고 있고, 호주에서 학위를 마친 이민신청자에게 유리한 점수를 주고 있는 데서 기인한다. 결국 호주 정부가 원하는 기술이나 자격을 갖고 있다면 호주로의 이민은 반드시 고학력자나 많은 재산을 갖지 않아도 실현 가능한 꿈이라는 것이다.
9. 참고문헌 및 인터넷 주소
호주사회와 문화 - 김형식 지음
오세아니아 - 양승윤 지음
http://www.immi.gov.au
http://www.ausmart.co.kr
http://www.hojuemin.com
그러나 한국이민의 경제적 생활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1991년에 한국이민집단의 연간 중위소득은 호주 전체 중위소득의 82%에 머물렀다. 한국이민집단의 낮은 소득 수준은 낮은 경제활동 인구율, 높은 실업률, 낮은 전문직종비, 언어소통난에 의한 단순노동, 그리고 한국인 사업체로의 취직 등 여러 복합적인 요인에 의한다. 1994년 말에 한국이민집단의 경제활동 인구율은 51%이고, 실업률은 14%였으며 이는 호주전체 실업률보다 크게 웃도는 수치이다. 한국이민은 주로 도,소매업, 금융, 부동산 관련업과 제조업에 종사한다. 최근에는 한국으로부터 관광객과 유학생들이 대량 유입되면서 이와 관련된 직종 종사자들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인의 호주이주가 다른 민족에 비하여 뒤늦게 시작되고, 한국 이민 중 절반 이상이 1980년대 중반 이후에 이입되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한국이민은 정착 내지 순응단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인의 이주과정에서 양적 급성장기는 1970년대 중반과 1980년대 후반이다. 양 시기에 이주한 한국이민은 이주경로, 동기 및 요인 등에 차이가 있으며 이민지에서 적응차가 있다. 따라서 이로부터 집단간 비융합화가 발생하였다. 이것이 오늘날 신구동포간의 부조화현상이다. 이 부조화현상은 이민적응 과정에서 한시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이나 하루빨리 제거 돼야 할 것이다.
8. 앞으로의 이민 추세
지난 20년 동안 호주로 이주하는 사람들의 주요 국적을 보면 유럽 국가에서 아시아국가로 바뀌고 있다. 게다가 호주 내 유학생의 72%가 아시아 학생임을 감안하면 이런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호주 정부는 매년 적정한 수의 카테고리를 정해 이를 기준으로 이민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최근 5년간 이민정책은 호주에서 요구되는 노동 수요와 경제 발전에 초점을 두고 변화되어 가고 있다.
이런 추세는 호주 정부의 이민 정책이 기술 분야에 역점을 두고 있고, 호주에서 학위를 마친 이민신청자에게 유리한 점수를 주고 있는 데서 기인한다. 결국 호주 정부가 원하는 기술이나 자격을 갖고 있다면 호주로의 이민은 반드시 고학력자나 많은 재산을 갖지 않아도 실현 가능한 꿈이라는 것이다.
9. 참고문헌 및 인터넷 주소
호주사회와 문화 - 김형식 지음
오세아니아 - 양승윤 지음
http://www.immi.gov.au
http://www.ausmart.co.kr
http://www.hojuem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