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귀인모형
(1) Heider의 모형
(2) Bernard Weiner의 모형
(3) Dan Russell 모형
2) 통제위
3) 귀인과 정서
4) 귀인과 기대
5) 귀인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1) Heider의 모형
(2) Bernard Weiner의 모형
(3) Dan Russell 모형
2) 통제위
3) 귀인과 정서
4) 귀인과 기대
5) 귀인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본문내용
램의 효과
학생들의 인과적 귀인이 교사들의 관심사가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실패의 책임을 능력과 같은 안정적이고 내적인 원인으로 돌리는 귀인이나 운과 같은 불안정적이고 외적인 원인으로 돌리는 특성을 지닌 귀인양식은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부적합한 귀인양식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은 학습과제에 대한 동기수준이 낮아 결과적으로 저조한 학업성취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부적합하고 자기 패배적인 귀인양식은 변경 혹은 교정되어야 하며, 학업성취에 대한 귀인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경시킴으로써 학생의 학업성취도 증진을 도모해야 한다.
Weiner(1982) : 귀인변경 프로그램의 목적은 <실패→추론된 능력 결핍→무력감→성취감소> 같은 흐름의 인과적 귀인을<실패→노력 결핍→죄책감과 수치감→성취증가> 같은 흐름의 인과적 귀인으로 변경시키는데 있다고 함
이와 같이 변경시키면 효과적일 것이라는 것이 Dweck(1975)의 가설이었고 긍정되었다.
Andrews와 Debus(1978) : Dweck의 연구를 확충하여 검증함
내적 귀인을 체계적으로 강화시키는 모범을 보여 주는 교사들로 부터 내적 통제성이 학습될 수 있다고 봄
-자신의 문제를 노력 결핍의 탓으로 돌리게 하고, 이것을 강화시키는 것이 그들이 제공한 프로그램의 기본 견해
Diener와 Dweck(1978) : 자기관리, 자기교시, 자기강화와 같은 전략들이 그릇된 귀인양식을 갖고 있는 아동들로 하여금 보다 적적한 방법으로 귀인 하도록 가 르치는데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를 지적함
Fowler와 Peterson(1981)은 그러한 방법이 읽기 과제의 지속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밝혀주었는데 아동들의 언어적 반응이 변화되고, 결과적으로 실제의 성취도도 달라지게 되며, 보다 성취지향적인 행동을 보이게 된다는 것
Wang(1983) : 자기관리기법 훈련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학생들의 귀인 행동을 변경시킴
이 프로그램은 학생 스스로가 학습을 통제하고 책임지는 경험, 현실적 목표 설정의 경험, 학습시간의 개별적 관리 경험, 자기속도로 학습자료 조직의 경험 등으로 구성됨
-자기관리기법이 숙달됨에 따라 통제가능성과 책임감이 향상되고 과제가 주어졌을 때, 그것을 성공적으로 끝까지 수행해 나가는 빈도가 높아짐
Barbara와 McCombs(1982) : 학습에 대한 책임지기와 자기통제하에 학습전략 적용하기 등 가르치기 위해 동기기술 훈련프로그램을 개발
이 프로그램은 사전 계획세우기, 점검하기, 평가하기, 그리고 주의집중법과 암기법과 같은 상위인지 기능의 훈련을 포함
-학생들의 지식획득을 증진시키고, 결석을 감소시켰으며, 학습동기도 증진
Hanusa와 Schulz(1977) : 유기체가 유관성 인지가 형성되면 실패상황에서도 쉽게 체념하지 않으며, 의욕이 저하되지 않고, 과제지향적 자기교시 등과 관련됨을 발견(귀인재훈련법)
-아동들이 학업수행의 실패를 능력 부족보다는 꾸준한 노력의 부족으로 귀인 하도록 유도하면 실패에 직면하여서도 과제수행 능력의 증가를 보인다는 것을 입증
Beecher(1984) : 독해력을 중개변인으로 학습된 무력감과 귀인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학습된 무력감을 완화시키려는 시도
-학습된 무력감의 현상은 개인적 통제불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있으며 경쟁상황에서는 개인적 효능성이 감소됨을 보임
이 외에도 최근에 수행된 전략훈련과 귀인피드백이 학습부진아의 자아효능감과 기능수행에 미치는 효과(Schunk & Cox, 1986), 귀인재훈련이 학습부진학생의 읽기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Borkowski, Weyhing & Carr, 1988), 귀인훈련과 교시를 통한 대학생의 학업성취 향상(Perry & Penner, 1990), 내적중심의 피드백과 귀인피드백이 학업적 자아개념 고양에 미치는 효과(Craven, Marsh & Debus, 1991)에 관한 연구들에서 귀인훈련 및 피드백의 효과가 실증적으로 규명된 바 있다. 국내에서도 이 방면에 대한 연구들이 최근 수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체계적인 훈련절차를 포함하고 있는 귀인변경 프로그램에 의해서 학습과제 성취상황에서 학생들이 지니는 귀인성향을 적절하게 변경시킬 수 있으며, 스스로 연구를 위한 훈련이나 기회가 조금 주어진 정규학습의 교사들이 담당 학생들의 귀인체계와 성취동기를 증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안근석·이용인 공저 「스포츠심리학」 태근 1996
은희관 저「스포츠·운동심리학」금광 2003
정종진 저「동기의 귀인이론과 학교학습」 학지사 2003
학생들의 인과적 귀인이 교사들의 관심사가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실패의 책임을 능력과 같은 안정적이고 내적인 원인으로 돌리는 귀인이나 운과 같은 불안정적이고 외적인 원인으로 돌리는 특성을 지닌 귀인양식은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부적합한 귀인양식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은 학습과제에 대한 동기수준이 낮아 결과적으로 저조한 학업성취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부적합하고 자기 패배적인 귀인양식은 변경 혹은 교정되어야 하며, 학업성취에 대한 귀인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경시킴으로써 학생의 학업성취도 증진을 도모해야 한다.
Weiner(1982) : 귀인변경 프로그램의 목적은 <실패→추론된 능력 결핍→무력감→성취감소> 같은 흐름의 인과적 귀인을<실패→노력 결핍→죄책감과 수치감→성취증가> 같은 흐름의 인과적 귀인으로 변경시키는데 있다고 함
이와 같이 변경시키면 효과적일 것이라는 것이 Dweck(1975)의 가설이었고 긍정되었다.
Andrews와 Debus(1978) : Dweck의 연구를 확충하여 검증함
내적 귀인을 체계적으로 강화시키는 모범을 보여 주는 교사들로 부터 내적 통제성이 학습될 수 있다고 봄
-자신의 문제를 노력 결핍의 탓으로 돌리게 하고, 이것을 강화시키는 것이 그들이 제공한 프로그램의 기본 견해
Diener와 Dweck(1978) : 자기관리, 자기교시, 자기강화와 같은 전략들이 그릇된 귀인양식을 갖고 있는 아동들로 하여금 보다 적적한 방법으로 귀인 하도록 가 르치는데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를 지적함
Fowler와 Peterson(1981)은 그러한 방법이 읽기 과제의 지속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밝혀주었는데 아동들의 언어적 반응이 변화되고, 결과적으로 실제의 성취도도 달라지게 되며, 보다 성취지향적인 행동을 보이게 된다는 것
Wang(1983) : 자기관리기법 훈련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학생들의 귀인 행동을 변경시킴
이 프로그램은 학생 스스로가 학습을 통제하고 책임지는 경험, 현실적 목표 설정의 경험, 학습시간의 개별적 관리 경험, 자기속도로 학습자료 조직의 경험 등으로 구성됨
-자기관리기법이 숙달됨에 따라 통제가능성과 책임감이 향상되고 과제가 주어졌을 때, 그것을 성공적으로 끝까지 수행해 나가는 빈도가 높아짐
Barbara와 McCombs(1982) : 학습에 대한 책임지기와 자기통제하에 학습전략 적용하기 등 가르치기 위해 동기기술 훈련프로그램을 개발
이 프로그램은 사전 계획세우기, 점검하기, 평가하기, 그리고 주의집중법과 암기법과 같은 상위인지 기능의 훈련을 포함
-학생들의 지식획득을 증진시키고, 결석을 감소시켰으며, 학습동기도 증진
Hanusa와 Schulz(1977) : 유기체가 유관성 인지가 형성되면 실패상황에서도 쉽게 체념하지 않으며, 의욕이 저하되지 않고, 과제지향적 자기교시 등과 관련됨을 발견(귀인재훈련법)
-아동들이 학업수행의 실패를 능력 부족보다는 꾸준한 노력의 부족으로 귀인 하도록 유도하면 실패에 직면하여서도 과제수행 능력의 증가를 보인다는 것을 입증
Beecher(1984) : 독해력을 중개변인으로 학습된 무력감과 귀인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학습된 무력감을 완화시키려는 시도
-학습된 무력감의 현상은 개인적 통제불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있으며 경쟁상황에서는 개인적 효능성이 감소됨을 보임
이 외에도 최근에 수행된 전략훈련과 귀인피드백이 학습부진아의 자아효능감과 기능수행에 미치는 효과(Schunk & Cox, 1986), 귀인재훈련이 학습부진학생의 읽기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Borkowski, Weyhing & Carr, 1988), 귀인훈련과 교시를 통한 대학생의 학업성취 향상(Perry & Penner, 1990), 내적중심의 피드백과 귀인피드백이 학업적 자아개념 고양에 미치는 효과(Craven, Marsh & Debus, 1991)에 관한 연구들에서 귀인훈련 및 피드백의 효과가 실증적으로 규명된 바 있다. 국내에서도 이 방면에 대한 연구들이 최근 수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체계적인 훈련절차를 포함하고 있는 귀인변경 프로그램에 의해서 학습과제 성취상황에서 학생들이 지니는 귀인성향을 적절하게 변경시킬 수 있으며, 스스로 연구를 위한 훈련이나 기회가 조금 주어진 정규학습의 교사들이 담당 학생들의 귀인체계와 성취동기를 증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안근석·이용인 공저 「스포츠심리학」 태근 1996
은희관 저「스포츠·운동심리학」금광 2003
정종진 저「동기의 귀인이론과 학교학습」 학지사 2003
키워드
추천자료
욕구와 동기_ 캐스트어웨이_매슬로우 이론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 동기이론
개인심리이론, 인지발달이론의 개념을 설명하고 자신의 삶의 경험중 구체적인 예를 드시오. ...
매슬로우(매슬로/Maslow)의 욕구이론을 설명하고, 이 이론을 기반으로 사회문제 중 1가지를 ...
인지관점의 동기이론에 대해
지능의 개념을 설명하는 이론에 대해 기술해 보시오 (지능의 본질, 지능의 개념을 설명하는 ...
[2016최신자료][매슬로우의동기위계설][매슬로우욕구위계설][매슬로우의욕구위계론과교육적시...
[콜버그도덕성발달이론 계속적강화 간헐적강화] 콜버그 도덕성발달이론 설명, 콜버그 도덕성...
보육학개론_아동발달을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현대사회에서 아동의 ...
[인간관계론]조직에서 동기부여에 대한 관심의 필요성과 목표설정이론이 자신에게 어떠한 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