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연구사
3. 연구 범위 및 방법
3.1. 연구의 범위
(1) 내용적 범위
1) 근린공원에 대한 정의
2) 근린생활권에 대한 정의
3) 근린공원의 유형 분류
(2) 공간적 범위
3.2. 연구 방법
(1) 연구 과정
(2) 설문조사
1) 표본추출
2) 조사내용
4. 결과 및 고찰
4.1. 조사 결과
(1) 강선공원(계획공원)
(2) 응봉공원(자연발생 공원)
4.2. 결론
2. 연구사
3. 연구 범위 및 방법
3.1. 연구의 범위
(1) 내용적 범위
1) 근린공원에 대한 정의
2) 근린생활권에 대한 정의
3) 근린공원의 유형 분류
(2) 공간적 범위
3.2. 연구 방법
(1) 연구 과정
(2) 설문조사
1) 표본추출
2) 조사내용
4. 결과 및 고찰
4.1. 조사 결과
(1) 강선공원(계획공원)
(2) 응봉공원(자연발생 공원)
4.2. 결론
본문내용
용하고 있는 주민들에게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각각 30명을 표본수로 하여 실시하였고, 조사시간은 평일 오후 2시부터 8시까지 6시간동안 진행하였다.
2) 조사내용
공원과 실제 이용자 거주지의 거리인 이용거리를 알아보기 위해 이용자의 실거주지에 대한 질문을 하였다. 또한 공원 이용횟수를 조사함으로써, 영향력 범위와 이용횟수와의 관계를 파악하도록 하였다.
4. 결과 및 고찰
4.1. 조사 결과
(1) 강선공원(계획공원)
<표 3> 강선공원의 이용거리 별 이용자수
이용거리의 경우 200m단위를 묶어 변수로 이용을 했다.
표 3을 보면 이용거리의 증가에 따라 이용자의 빈도가 감소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특히 이용거리가 단위 3인 600m에서 급격히 하강함을 볼 수 있다.
(2) 응봉공원(자연발생 공원)
<표 4> 응봉공원의 이용거리 별 이용자수
응봉공원 역시 이용거리가 멀어지면서 이용자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강선공원과 달리 2번 단위인 400m부터 이용 빈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의 결과를 분석하여 보았을 때 기존의 근린생활권 근린공원의 유치거리인 500m가 타당하다고 느낄 수도 있지만, 이용자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부분이 서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계획공원과 자연발생 공원이라는 두 유형의 근린공원에 각각의 유치거리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을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연구는 추후 각 유형별 근린공원의 대상지 확대조사를 통해 검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용횟수와 이용거리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통계적 유의도가 신뢰할 수 있는 수준에 미치지 못해 그 둘 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차후 표본과 대상지 확대를 통해 다시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그 외의 결과를 살펴보면 두 대상지 모두 연령대가 노년층에 치우쳐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근린생활권 근린공원 설계 시 노년층을 위한 시설이나 공간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신도시의 계획공원의 경우 노년층의 조사에 대한 반응을 보았을 때, 그들을 위한 시설의 부족과 공원은 젊은 층을 위한 것이라는 인식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어 그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4.2. 결론
단순한 경제논리에 의해 도시가 성장하면서 그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시민들은 차갑고 어두운 환경, 즉 도시에서 벗어나 자연으로 돌아가려한다. 이러한 도시에 대한 인간의 감정을 완화 시키는 역할을 공원이나 도시 내의 숲들이 조금이나마 수행 하고 있지만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누구나 느끼고 있다. 근린생활권 근린공원은 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휴식공간이다. 근린생활권 근린공원은 그러한 맥락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현재의 근린공원의 법적기준과 현황이 조금 더 현실에 맞게 수정되고 보완되어야 하지 않을까하는 의문에서 이 연구의 가정이 시작되었다.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거리가 증가하면서 이용자수가 감소할 것이며 어떤 변곡점이 반드시 존재 할 것이라는 예상이 도표상에 보여졌다. 하지만 표본수의 부족과 대상지가 한 장소에 한정되어있어서 유의한 실제 영향력 범위를 도출하기 힘들 것이라 생각되며 이러한 문제는 추후에 이어질 연구에서 조사대상의 확대를 통해 일반화 해야 할 것이다.
계획공원의 경우 자연발생적 근린공원에 비해 유치거리가 비교적 길다는 결과를 알 수 있는데, 이는 두 근린공원의 접근성에 그 이유가 있을 것이다.
이번 연구는 어떠한 결과를 도출하여 그것을 일반화 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그러한 목적을 위한 사전 조사에 불과하다. 하지만 이번 조사결과가 주는 정보는 다음 연구를 위해서 매우 유익하며, 최종 결과를 도출하는데 큰 밑거름이 될 것이다.
⊙ 참고문헌
경기개발연구원(1997) 도시공원의 확대전략에 관한 연구
김승주(2004) 도시경관진단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신원(1982) 도시내 오픈스페이스 계통계획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종호(2001) 랜드마크의 영향력 범위와 인지요인과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지훈(1981) 서울시 공원의 적정배치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논문
이훈길(2003) 서울 도심 공공영역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임승빈(1991) 경관분석론. 서울대학교출판부
허윤정(1995) 도시녹지의 시각적 접근성 측정모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두승(1987) 사회조사분석. 다산출판사
2) 조사내용
공원과 실제 이용자 거주지의 거리인 이용거리를 알아보기 위해 이용자의 실거주지에 대한 질문을 하였다. 또한 공원 이용횟수를 조사함으로써, 영향력 범위와 이용횟수와의 관계를 파악하도록 하였다.
4. 결과 및 고찰
4.1. 조사 결과
(1) 강선공원(계획공원)
<표 3> 강선공원의 이용거리 별 이용자수
이용거리의 경우 200m단위를 묶어 변수로 이용을 했다.
표 3을 보면 이용거리의 증가에 따라 이용자의 빈도가 감소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특히 이용거리가 단위 3인 600m에서 급격히 하강함을 볼 수 있다.
(2) 응봉공원(자연발생 공원)
<표 4> 응봉공원의 이용거리 별 이용자수
응봉공원 역시 이용거리가 멀어지면서 이용자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강선공원과 달리 2번 단위인 400m부터 이용 빈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의 결과를 분석하여 보았을 때 기존의 근린생활권 근린공원의 유치거리인 500m가 타당하다고 느낄 수도 있지만, 이용자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부분이 서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계획공원과 자연발생 공원이라는 두 유형의 근린공원에 각각의 유치거리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을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연구는 추후 각 유형별 근린공원의 대상지 확대조사를 통해 검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용횟수와 이용거리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통계적 유의도가 신뢰할 수 있는 수준에 미치지 못해 그 둘 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차후 표본과 대상지 확대를 통해 다시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그 외의 결과를 살펴보면 두 대상지 모두 연령대가 노년층에 치우쳐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근린생활권 근린공원 설계 시 노년층을 위한 시설이나 공간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신도시의 계획공원의 경우 노년층의 조사에 대한 반응을 보았을 때, 그들을 위한 시설의 부족과 공원은 젊은 층을 위한 것이라는 인식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어 그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4.2. 결론
단순한 경제논리에 의해 도시가 성장하면서 그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시민들은 차갑고 어두운 환경, 즉 도시에서 벗어나 자연으로 돌아가려한다. 이러한 도시에 대한 인간의 감정을 완화 시키는 역할을 공원이나 도시 내의 숲들이 조금이나마 수행 하고 있지만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누구나 느끼고 있다. 근린생활권 근린공원은 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휴식공간이다. 근린생활권 근린공원은 그러한 맥락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현재의 근린공원의 법적기준과 현황이 조금 더 현실에 맞게 수정되고 보완되어야 하지 않을까하는 의문에서 이 연구의 가정이 시작되었다.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거리가 증가하면서 이용자수가 감소할 것이며 어떤 변곡점이 반드시 존재 할 것이라는 예상이 도표상에 보여졌다. 하지만 표본수의 부족과 대상지가 한 장소에 한정되어있어서 유의한 실제 영향력 범위를 도출하기 힘들 것이라 생각되며 이러한 문제는 추후에 이어질 연구에서 조사대상의 확대를 통해 일반화 해야 할 것이다.
계획공원의 경우 자연발생적 근린공원에 비해 유치거리가 비교적 길다는 결과를 알 수 있는데, 이는 두 근린공원의 접근성에 그 이유가 있을 것이다.
이번 연구는 어떠한 결과를 도출하여 그것을 일반화 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그러한 목적을 위한 사전 조사에 불과하다. 하지만 이번 조사결과가 주는 정보는 다음 연구를 위해서 매우 유익하며, 최종 결과를 도출하는데 큰 밑거름이 될 것이다.
⊙ 참고문헌
경기개발연구원(1997) 도시공원의 확대전략에 관한 연구
김승주(2004) 도시경관진단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신원(1982) 도시내 오픈스페이스 계통계획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종호(2001) 랜드마크의 영향력 범위와 인지요인과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지훈(1981) 서울시 공원의 적정배치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논문
이훈길(2003) 서울 도심 공공영역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임승빈(1991) 경관분석론. 서울대학교출판부
허윤정(1995) 도시녹지의 시각적 접근성 측정모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두승(1987) 사회조사분석. 다산출판사
추천자료
[옥상녹화]생태도시의 녹지공간 확보를 위한 옥상녹화, 옥상녹화의 주요 기능과 필요성, 옥상...
[묘지][무덤][납골묘][공원화][4.19묘지]묘지(무덤)의 설치기준, 묘지(무덤)의 오렴, 묘지(무...
생물형 테마파크 (Nature&Life) - 토부 동물공원 구성과 마케팅
★자연탐구영역의 개념, 특징, 연령별 차이 및 활동계획★.
[제주 4 3사건]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발발원인, 경과,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의미, 특성,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목...
선유도공원(건축가조성룡)
하워드(E,Howard)의 전원도시 [도시계획사] (하워드의 전원도시의 개념과 전원도시계획의 의...
[한국사회문제4A] 한국 사회에서 어떤 사회문제- 지역이나 공동체가 주체가 되어 해결하고자 ...
토질역학 실험 - 까치산공원 토질조사 보고서
주민참여 정의,국가주도 → 시민참여요구,NGO주도 백만평공원,주민참여의 활성
표준보육과정(사회관계, 의사소통, 신체운동, 예술경험, 자연탐구, 기본생활 영역)에 의한 만...
안면도 꽃지 해안공원 명소화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