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네트문화의 특징
* 디지털과 비트
* 인터넷의 사회 문화적 영향
1. 디지털이란 무엇인가?
2. 디지털 예술의 정의
3. 디지털 예술의 특징
4. 디지털 예술의 난점
5. 디지털의 신화
* 디지털과 비트
* 인터넷의 사회 문화적 영향
1. 디지털이란 무엇인가?
2. 디지털 예술의 정의
3. 디지털 예술의 특징
4. 디지털 예술의 난점
5. 디지털의 신화
본문내용
털 기술의 발달에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는 측은 어떻게든 이 기술의 의미를 강조하려고 애쓴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이 문명사적 전환을 가져온다는 주장은, 따라서 이 기술을 사용하지 않으면 시대에 뒤처져서 낙오하게 되리라는 경고를 함축하고 있다. 이런 식의 거대담론이 과연 올바른 것인가? 물론 그렇지 않다. 모든 거대담론은 공허하거니와 디지털의 신화라고 해서 예외는 아니다.
예술은 이러한 상황을 이용하면서도 이에 대해 저항해야 한다. 단순히 기술을 이용하는 데 만족한다면, 디지털 예술은 기술의 포로라는 성격을 결코 벗어버릴 수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디지털 예술의 지배적인 담론은 이런 상태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 예술이 오히려 디지털의 신화에 이바지한다면, 우리는 이것을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우리는 지금 이러한 질문을 던져야만 한다.
여기에는 상당히 뿌리깊은 문화적 전통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사회적 자유를 정신의 해방을 통해 달성하고자 했던 1960년대 히피적 전통의 일부가 컴퓨터 기술의 놀라운 능력과 결합되었던 것이다. 물론 컴퓨터가 단순히 인간의 확장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정신의 증폭을 통해 인간의 자유를 크게 신장하는 데 이바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정신적 경험의 폭이 아무리 넓어지고 깊어진다고 해도 사회가 변하지 않은 채 그대로라면 과연 그것을 우리가 해방과 자유로 부를 수 있을 것인가?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요구와 결합되지 않은, 더 나아가 그러한 결합을 조금도 원하지 않는 미학적 실험은 결코 문명사적 전환에 부응하는 것일 수 없다.
포뻬르는, 계산되고 프로그램되었을 뿐만 아니라 개념 미술의 특징들과 결합된 전산처리 예술은 컴퓨터를 도구나 매체로서만이 아니라, 추상정보의 자원과 사이버스페이스 속에서 가상현실을 창조하는 자로서의 컴퓨터를 이용함으로써 상호대화적 영역에서 컴퓨터 아트의 거대한 잠재력을 드러냈다(Popper, 1993: 121)고 주장한다. 기술적인 면에서 이런 주장의 타당성을 완전히 부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컴퓨터의 표현능력의 확장을 가상현실의 담론과 결합시키는 데서는 많은 문제들이 생겨난다. 가상현실의 담론 자체가 문제이며, 그것의 사회적 형성과정 자체가 문제이다(홍성태, 1997; Chesher, 1994).
컴퓨터의 표현능력의 확장에 도취된 미학적 담론은 그 기술의 사회적 연원과 영향을 왕왕 무시하고 단지 디지털의 신화를 대중화하는 데 이바지할 뿐이다. 디지털 예술은 그 자체로 많은 난점을 안고 있다. 이런 난점을 무시하고 그 기술적 새로움을 강조할 뿐더러 그에 도취되는 것은 사회적으로 무모하다. 본래적으로 컴퓨터는 정보의 빠른 처리를 위해 만들어진 기계이다. 이런 점에서 존재론적으로 컴퓨터에 구속된 디지털 예술은 빠른 예술의 성격을 갖는다. 그러나 예술이 만일 세계에 대한 깊은 성찰을 제공하는 것이라면, 이러한 빠른 예술은 혹시 예술의 죽음은 아닐까? 깊은 성찰은 언제나 느린 시간 속에서 나타나기 때문이다. 예술은 시간을 거스른다. 디지털 예술도 마찬가지다.
예술은 이러한 상황을 이용하면서도 이에 대해 저항해야 한다. 단순히 기술을 이용하는 데 만족한다면, 디지털 예술은 기술의 포로라는 성격을 결코 벗어버릴 수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디지털 예술의 지배적인 담론은 이런 상태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 예술이 오히려 디지털의 신화에 이바지한다면, 우리는 이것을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우리는 지금 이러한 질문을 던져야만 한다.
여기에는 상당히 뿌리깊은 문화적 전통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사회적 자유를 정신의 해방을 통해 달성하고자 했던 1960년대 히피적 전통의 일부가 컴퓨터 기술의 놀라운 능력과 결합되었던 것이다. 물론 컴퓨터가 단순히 인간의 확장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정신의 증폭을 통해 인간의 자유를 크게 신장하는 데 이바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정신적 경험의 폭이 아무리 넓어지고 깊어진다고 해도 사회가 변하지 않은 채 그대로라면 과연 그것을 우리가 해방과 자유로 부를 수 있을 것인가?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요구와 결합되지 않은, 더 나아가 그러한 결합을 조금도 원하지 않는 미학적 실험은 결코 문명사적 전환에 부응하는 것일 수 없다.
포뻬르는, 계산되고 프로그램되었을 뿐만 아니라 개념 미술의 특징들과 결합된 전산처리 예술은 컴퓨터를 도구나 매체로서만이 아니라, 추상정보의 자원과 사이버스페이스 속에서 가상현실을 창조하는 자로서의 컴퓨터를 이용함으로써 상호대화적 영역에서 컴퓨터 아트의 거대한 잠재력을 드러냈다(Popper, 1993: 121)고 주장한다. 기술적인 면에서 이런 주장의 타당성을 완전히 부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컴퓨터의 표현능력의 확장을 가상현실의 담론과 결합시키는 데서는 많은 문제들이 생겨난다. 가상현실의 담론 자체가 문제이며, 그것의 사회적 형성과정 자체가 문제이다(홍성태, 1997; Chesher, 1994).
컴퓨터의 표현능력의 확장에 도취된 미학적 담론은 그 기술의 사회적 연원과 영향을 왕왕 무시하고 단지 디지털의 신화를 대중화하는 데 이바지할 뿐이다. 디지털 예술은 그 자체로 많은 난점을 안고 있다. 이런 난점을 무시하고 그 기술적 새로움을 강조할 뿐더러 그에 도취되는 것은 사회적으로 무모하다. 본래적으로 컴퓨터는 정보의 빠른 처리를 위해 만들어진 기계이다. 이런 점에서 존재론적으로 컴퓨터에 구속된 디지털 예술은 빠른 예술의 성격을 갖는다. 그러나 예술이 만일 세계에 대한 깊은 성찰을 제공하는 것이라면, 이러한 빠른 예술은 혹시 예술의 죽음은 아닐까? 깊은 성찰은 언제나 느린 시간 속에서 나타나기 때문이다. 예술은 시간을 거스른다. 디지털 예술도 마찬가지다.
키워드
추천자료
[디지털시대][디지털경제][디지털시장][디지털산업][디지털컨텐츠산업][디지털콘텐츠산업]디...
디지털도서관(디지털도서, 전자책, e-book)의 정의, 특성, 장단점과 디지털도서관(디지털도서...
[디지털음악][디지털음악유통][음반산업][음악산업][음반시장유료화]디지털음악(MP3, P2P, 디...
[디지털음악][디지털음반][음반산업][음악산업]음반산업(음악산업)의 역사, 디지털음악(디지...
[디지털도서관]학교도서관의 디지털화, 전통적 도서관과 디지털자료실의 조화로운 발전모색, ...
[디지털지상파방송]디지털지상파방송(지상파디지털방송) 도입목적,파급효과, 디지털지상파방...
[디지털TV]디지털방송(디지털티비, 디지털TV)의 문제인식, 디지털방송(디지털티비, 디지털TV)...
디지털방송(디지털TV, 디지털티비)의 현실과 변화, 디지털방송(디지털TV, 디지털티비)의 기대...
[디지털키워드, 전략적 제휴, 네트워크, 사이버파워, P2P, 개인간 파일공유]디지털키워드와 ...
[디지털위성방송, 재원조달, 위성방송, 디지털위성방송 기대효과]디지털위성방송의 특성, 디...
[일본디지털방송, 일본디지털방송 의의, 일본디지털방송 특징, 일본디지털방송 과정]일본디지...
[디지털키워드, 지식기반사회, P2P(개인간 파일공유), 전자민주주의, 전략적 제휴]디지털키워...
디지털저작권의 의미, 디지털저작권의 유형, 디지털저작권의 미디어간 융합, 디지털저작권의 ...
디지털시대 기업(디지털기업)의 중요성, 디지털시대 기업(디지털기업)의 웹경영, 디지털시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