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Ⅳ 범죄 및 비행의 생물학적 원인론
1. 범죄 생물학
2. 체형과 범죄
3. 유전과 범죄
4. 성염색체의 이상
5. 기타의 연구들
(가) 신경생리학적 요인의 연구
(나) 화학적 요인의 연구
Ⅴ. 범죄 및 비행의 심리학적 원인론
1. 정신적 결함과 범죄
가. 정신병과 범죄
(1) 정신분열증과 범죄
(2) 망상증과 범죄
나. 정신신경증과 범죄
다. 성격장애와 범죄
2. 정신분석학적 범죄관
3. 인성이론
4. 인지발달이론
1. 범죄 생물학
2. 체형과 범죄
3. 유전과 범죄
4. 성염색체의 이상
5. 기타의 연구들
(가) 신경생리학적 요인의 연구
(나) 화학적 요인의 연구
Ⅴ. 범죄 및 비행의 심리학적 원인론
1. 정신적 결함과 범죄
가. 정신병과 범죄
(1) 정신분열증과 범죄
(2) 망상증과 범죄
나. 정신신경증과 범죄
다. 성격장애와 범죄
2. 정신분석학적 범죄관
3. 인성이론
4. 인지발달이론
본문내용
1.범죄 생물학
● 1859년 Charles Darwin “종의 기원”
● 1876년 Cesare Lombroso “범죄인론”
→ 생래적 범죄인설
→ 범죄형 주장
→ 범인성 기질이 가족으로부터 간접적인 유전을 통해서 얻어진다
고 주장
● Charles Goring 은 체중, 청력, 미간, 눈색깔 등과 같은 특징을 측정
함에 있어 범죄자와 비범죄자 사이에 아무런 차이가 없다고 하
여 Cesare Lombroso의 이론을 비판함.
● Ernest Hooton은 미국에서 재소자와 비재소자를 비교하여 범죄자
는 생물학적으로 열등하다고 결정 짓고 신체적 특징에 따라 범하
기 쉬운 범죄유형을 제시함
2. 체형과 범죄
■ 체형학파 : 범죄자는 특정의 범죄행위에 민감한 독특
한 체형을 보여 준다.
● Ernest Kretschmer
● 체형을 범죄와 관련시킨 최초의 학자.
● 1921년 “신체구조와 성격”에서 체형과 기질을 분류
하고 그 관련성 설명
Glueck부처
● William Sheldon의 체형과 비행에 관한 연구를 검증
● 범죄유발환경하에서 사는 신체긴장형에 비행의 잠재성이
더욱 크다고 주장
→하지만 비행행위자체가 강한 체형을 요하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일수 있다는 관점에서 비판 받음
● 결론
이 연구들과 이론은 3가지 차원에서 비판을 받는다.
1. 체형에 관한 기술이나 정의가 그 정확성이 부족하다.
2. 범죄행위와 체형의 관계가 분명치 못하다.
3. 왜 모든 신체긴장형의 사람이 범죄를 범하지 않는지 혹은
왜 모든 범죄자가 신체긴장형의 사람이 아닌지를 알 수 없다
● 1859년 Charles Darwin “종의 기원”
● 1876년 Cesare Lombroso “범죄인론”
→ 생래적 범죄인설
→ 범죄형 주장
→ 범인성 기질이 가족으로부터 간접적인 유전을 통해서 얻어진다
고 주장
● Charles Goring 은 체중, 청력, 미간, 눈색깔 등과 같은 특징을 측정
함에 있어 범죄자와 비범죄자 사이에 아무런 차이가 없다고 하
여 Cesare Lombroso의 이론을 비판함.
● Ernest Hooton은 미국에서 재소자와 비재소자를 비교하여 범죄자
는 생물학적으로 열등하다고 결정 짓고 신체적 특징에 따라 범하
기 쉬운 범죄유형을 제시함
2. 체형과 범죄
■ 체형학파 : 범죄자는 특정의 범죄행위에 민감한 독특
한 체형을 보여 준다.
● Ernest Kretschmer
● 체형을 범죄와 관련시킨 최초의 학자.
● 1921년 “신체구조와 성격”에서 체형과 기질을 분류
하고 그 관련성 설명
Glueck부처
● William Sheldon의 체형과 비행에 관한 연구를 검증
● 범죄유발환경하에서 사는 신체긴장형에 비행의 잠재성이
더욱 크다고 주장
→하지만 비행행위자체가 강한 체형을 요하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일수 있다는 관점에서 비판 받음
● 결론
이 연구들과 이론은 3가지 차원에서 비판을 받는다.
1. 체형에 관한 기술이나 정의가 그 정확성이 부족하다.
2. 범죄행위와 체형의 관계가 분명치 못하다.
3. 왜 모든 신체긴장형의 사람이 범죄를 범하지 않는지 혹은
왜 모든 범죄자가 신체긴장형의 사람이 아닌지를 알 수 없다
키워드
추천자료
청소년비행 예방과 대책
청소년 비행
여성범죄 문제에 대한 고찰(A+레포트)
청소년범죄를 유발하는 사회유해환경에 관한 고찰
청소년 비행과 대안
비행청소년
신종범죄론-청소년 성범죄
[보호관찰제도][보호관찰][비행청소년][청소년비행]비행청소년에 대한 법적 처리와 비행청소...
청소년비행 개념과 원인분석 및 문제점과 대책방안제안
교정복지(개념, 필요성, 의의, 범죄이론, 실천현장, 교정사회사업가, 발전과제) 보고서
청소년 비행의 현황과 특징 및 청소년 비행 대책방안
[청소년 문제][비행 및 일탈 & 자아정체감 및 가치관 문제]
청소년 비행의 원인과 구분 및 유형과 실태를 파악한후 청소년비행 문제의 예방 방안을 논하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