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품행장애
- Tic Disdrder (틱장애)
○ 정신 지체
1. 진단적 특징
2. 정신 지체 정도
3. 부수적 특징 및 장애
4. 소인
○ 자폐증
1. 진단적 특징
2. 부수적 특징 및 장애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
1. 사례
2. 증상
3. 부모의 태도
4. 예후, 후유증
5. 치료
6. 학교에서의 지도 방법
7. 가정에서의 지도 방법
- Tic Disdrder (틱장애)
○ 정신 지체
1. 진단적 특징
2. 정신 지체 정도
3. 부수적 특징 및 장애
4. 소인
○ 자폐증
1. 진단적 특징
2. 부수적 특징 및 장애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
1. 사례
2. 증상
3. 부모의 태도
4. 예후, 후유증
5. 치료
6. 학교에서의 지도 방법
7. 가정에서의 지도 방법
본문내용
은 짧고 간결하게 하고 반드시 아동이 시선을 맞추고 지시사항을 반복하도록 한다.
- 지시할 때 음색을 바꾸러 아동이 주의를 기울일 수 있도록 하기도
9. 처벌은 아동과의 약속이 지켜지지 않았을 때 합의하에 해야 하며 체벌보다는 고개 숙이고있기, 쉬는 시간 줄임과 같은 것이 좋으며 아동 자체를 처벌하는 것이 아닌 아동의 특 정한 행동을 처벌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
7. 가정에서의 지도 방법
1. 방, 책상을 정리한다. (대부분 ADHD 아동의 책상과 방은 주의를 뺏기기 쉬운 장난감 문구 등이 무질서하게 널려있다. 물론 정리도 일방적인 철거가 아닌 아동과의 합의하에 이어져야한다.)
2. 방은 가급적 혼자 쓰게 하고 사정이 여의치 않을 경우는 칸막이를 만들어 줄 수도 있다.
3. 일, 심부름 등의 기회를 자주 주어야 한다. 흔히 주어진 일을 잘 마무리 하지 못하고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으므로 일, 심부름을 시키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일, 심부름을 시키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아동이 사회적 관계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차단시켜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동생에게 컴퓨터 가르쳐주기와 같은 쉽게 할 수 있는 일들을 주고 잘 했을 때는 칭찬을 해준다.
4. 학습지 풀이, 학교 숙제와 같은 과제는 엄마가 귀찮더라도 가급적 쪼개어 주고 확인한다.
예를 들어 30분 후에 확인할 테니 숙제를 다 해놓으라고 하면 아동은 엄두가 나지 않아 시작조차 않고 있기 쉽다.
5. 상담자, 아동과의 의논 하에 '행동변화를 위한 자기계획서' 같은 것을 만들어 실천한다. 학교와 가정에서 도와줄 수 있는 방법들을 살펴보았는데 교사와 부모 모두가 항상 염두에 두어야할 것은 ADHD 경향이 있는 아동에 대한 접근은 부정적 접근보다는 긍정적 접근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안 되고 있는 것들을 지적하고 바로잡기보다는 가까스로 라도 유지되고 있는 것들을 관심을 가지고 찾아내고 칭찬해서 아동이 자신감을 회복해서 안 되는 부분들에 까지도 확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안 되는 것들을 지적 분석하다보면 나중에는 잘 되고 있는 부분들마저도 무너지기 쉽다.) 또 하나 마지막으로 덧붙이고 싶은 것은 우리가 공부와 이해를 위해 ADHD, 증상, 진단과 같은 용어들을 사용하기는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ADHD 아동을 장애가 아닌 색깔, 특성, 불편함을 가진 아이로 보는 공감적 이해가 바탕에 있어야 진정한 변화가 가능하리라 생각한다.
- 지시할 때 음색을 바꾸러 아동이 주의를 기울일 수 있도록 하기도
9. 처벌은 아동과의 약속이 지켜지지 않았을 때 합의하에 해야 하며 체벌보다는 고개 숙이고있기, 쉬는 시간 줄임과 같은 것이 좋으며 아동 자체를 처벌하는 것이 아닌 아동의 특 정한 행동을 처벌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
7. 가정에서의 지도 방법
1. 방, 책상을 정리한다. (대부분 ADHD 아동의 책상과 방은 주의를 뺏기기 쉬운 장난감 문구 등이 무질서하게 널려있다. 물론 정리도 일방적인 철거가 아닌 아동과의 합의하에 이어져야한다.)
2. 방은 가급적 혼자 쓰게 하고 사정이 여의치 않을 경우는 칸막이를 만들어 줄 수도 있다.
3. 일, 심부름 등의 기회를 자주 주어야 한다. 흔히 주어진 일을 잘 마무리 하지 못하고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으므로 일, 심부름을 시키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일, 심부름을 시키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아동이 사회적 관계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차단시켜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동생에게 컴퓨터 가르쳐주기와 같은 쉽게 할 수 있는 일들을 주고 잘 했을 때는 칭찬을 해준다.
4. 학습지 풀이, 학교 숙제와 같은 과제는 엄마가 귀찮더라도 가급적 쪼개어 주고 확인한다.
예를 들어 30분 후에 확인할 테니 숙제를 다 해놓으라고 하면 아동은 엄두가 나지 않아 시작조차 않고 있기 쉽다.
5. 상담자, 아동과의 의논 하에 '행동변화를 위한 자기계획서' 같은 것을 만들어 실천한다. 학교와 가정에서 도와줄 수 있는 방법들을 살펴보았는데 교사와 부모 모두가 항상 염두에 두어야할 것은 ADHD 경향이 있는 아동에 대한 접근은 부정적 접근보다는 긍정적 접근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안 되고 있는 것들을 지적하고 바로잡기보다는 가까스로 라도 유지되고 있는 것들을 관심을 가지고 찾아내고 칭찬해서 아동이 자신감을 회복해서 안 되는 부분들에 까지도 확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안 되는 것들을 지적 분석하다보면 나중에는 잘 되고 있는 부분들마저도 무너지기 쉽다.) 또 하나 마지막으로 덧붙이고 싶은 것은 우리가 공부와 이해를 위해 ADHD, 증상, 진단과 같은 용어들을 사용하기는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ADHD 아동을 장애가 아닌 색깔, 특성, 불편함을 가진 아이로 보는 공감적 이해가 바탕에 있어야 진정한 변화가 가능하리라 생각한다.
추천자료
정신지체아동의 교육
정신지체
정신지체아와 치료레크리에이션의 적용 (놀이치료)
이상심리학, 불안 및 정신지체적 장애, 정동장애와 정신분열증, 사회적 및 대인관계적 장애
[간호학 case study]정신과NP 정신지체
[의사소통][청각장애아][정신지체아][중도장애아][자폐아]청각장애아(청각장애아동)의 의사소...
[지적장애아동 부모교육]정신지체아 부모교육, 정신지체아동 부모교육, 지적장애아동 부모교...
[뇌척수손상환자가족]뇌척수손상환자가족, 뇌졸중환자가족의 부양부담, 노인만성질환자가족의...
[정신간호 케이스] 정신지체 <지적장애(정신지체) MR (Mental Retardation), Psychosis>
[정신건강론 精神健康論] 정신지체(Mental Retardation) - 정신지체 이해하기(정신지체 확인...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정신지체 (Mentally Retarded) - 정신지체의 정의와 분류 ...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정신지체(Mentally Retarded)의 특성 - 행동과 신체 및 운...
[아동청소년이상심리 兒童靑少年異常心理] 정신지체(지적장애) - 정신지체 원인, 정신지체 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