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대상 자료 분석 계획
1) 허생전 분석
2) 참고자료
Ⅲ기획 방안
1.기획의도 및 방향
2 유사 기획물의 분석
3. 활용도
Ⅱ.대상 자료 분석 계획
1) 허생전 분석
2) 참고자료
Ⅲ기획 방안
1.기획의도 및 방향
2 유사 기획물의 분석
3. 활용도
본문내용
완성
⑤ 작품의 범위 : TV드라마 40부작
컨셉 : 몰락한 양반이라 할 수 있는 허생과 그 당시 사재기를 통해 부를 쌓았던 경강상인들과 대결
대략의 줄거리 : 가난한 집에서 부인의 바느질에만 의존하며 공부를 하고 있는 허생. 공부를 더 하려 하였으나 아내의 성화에 못 이겨 책을 닫고 장사를 시작한다. 장사를 하려 했으나 경강상인의 횡포에 밀려 첫 해는 꽤 많은 빚을 지게 되었다. 드디어 허생은 깨끗한 거래와 번뜩이는 재치로 점점 상권을 장악해 간다. 오랜 대결 구도 끝에 결국은 경강상인들을 뛰어넘는 대사으로 발전한다. 하지만 자기만의 부귀영화를 위해 쓰지 않고 여러 백성을 구제 하는데 힘쓴다. 그리고 세계로 진출하는 교두보를 마련해 중국과 일본은 물론 서양과의 무역을 추진하는데 이른다.
2 유사 기획물의 분석
TV드라마로 방영 되었던 드라마와 게임 중 그 당시 현실을 잘 반영한 것과 인기가 많았던 작품들을 위주로 분석해 본다.
① MBC드라마 - ‘상도’
원작 : 최인호 장편 소설
- 바람직한 기업인의 표상 : IMF사태이후 그 어느 때보다도 기업인들의 윤리의식과 상도덕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조선시대 최고의 거부이자 무역상으로 당시 모든 상인들로붜 존경과 흠모를 한 몸에 받았던 순조 때의 거상 임상옥의 일대기를 극화 경제인들에게 바람직한 기업인의 표상을 제시했다.
- 진정한 경제 정의 : 장돌뱅이에서 3품의 고위 관직에 오른 그가 평생을 통해 추고 했던 상도정신과 이재술, 그리고 ‘재물은 평등하기가 물과 같다’라는 말과 함께 말년에 모든 재산을 사회에 환원한 그의 상업철학을 드라마를 통해 극명하게 보여줌으로써 진정한 경제정의가 무엇인가를 보여준다.
- 조선 상권의 상술경쟁과 상인의 위상 : 200년전, 조선의 상권을 좌지우지했던 4대 그룹들을 대상으로 치열했던 상술경쟁, 신분상 최하층인 상인들의 위상과 애환을 보여주고 화폐와 교환가치, 인건비 등 다양한 자료를 통해 얻은 “실물경제의 구체적인 사례”를 드라마를 통해 하나 하나 소개 하였다.
- 경제 문제에 한 차원 높은 정보와 교훈 : 덧붙여 근대의 한국기업은 물론이고 일본, 중국 및 서구기업의 기업 경영 성공실패 사례를 적절히 전용하여 시의성을 살린다. 또한 우리 모두의 관심거리인 경제 문제에 한 차원 높은 정보와 교훈을 제공한다.
단점 : 후반부로 갈수록 상거래에 대한 얘기보다 남녀관의 사랑에 너무 치우친 경향이 있다. 상도를 잘 지키려 했으나 중간중간 사람관계에서 뒷거래 하는 모습을 보여주어 중간에 그 의미를 잘 전달하지 못했다.
②임진록 온라인:거상(巨商)
‘거상’은 16세기 조선시대 상인들의 교역과 파란만장한 삶을 주제로 한 온라인게임. 조선시대 무역이라는 비인기 소재를 다룬 경제 온라인게임이다. 관청이나 저잣거리 주막 부두 등 당시의 생활상을 역사적 사실에 근거해 실제모습과 유사하게 재현해냈다.
거상이 누구나 쉽게 게임을 즐길 수 있는 부분 유료화 모델을 채택하고 있다는 점, 커뮤니티를 강화시키는 파티시스템을 적절히 운용한 점, 중앙대 경영학과 교재로 채택되는 등 교육게임이라는 점이 유저들에게 어필한 것 같다. 동시 접속 5만명을 기록하기도 하였다.
거상은 여러가지가 혼합된 복합적인 온라인게임이다. 경제시뮬레이션과 전략시뮬이 결합되어 독특한 효과를 나타내고있고, 그리고 시대에 맞개 상단이랑 길드를 내새워 공성과 투자란 재미있는 경험을 할수있게해준다.
거상은 우선 게임제작에 모티브였던것은 바로 드라마 "상도" 였다. 상도를 바탕으로 거상이탄생했으며 초기부터 지금까지 계속적으로 변화하고있는게 바로 거상이다.
3. 활용도
산업적, 교육적 가치 : 비인기 소재인 조선시대 무역의 현실을 시청자 들이 알 수 있다. 상도를 통해 많은 부분이 알려지긴 했지만 상도와는 조금 앞선 시대의 이야기를 다룸으로써 그 시대의 경제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다. 올바른 상도라는 것이 현재의 기업윤리에서는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를 극의 서사를 통해서 보여준다.
목표 시장 분석 : 사극등의 TV역사물은 꾸준한 인기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아무렇게나 만들어서 방영한다면 외면당하기 쉬운 것이 TV역사물인 것이다. 요즘은 다모나 대장금등으로 인기가 이어져서 사극이 아니더라도 인기몰이를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상도라는 드라마를 통해서 끓어오른 분위기를 다시 한 번 기대 할 수 있을 것이다. 경제가 어렵고 바른 상도가 무엇인가 제시해 주는 역할을 잘 한다면 시청자를 끌어들 일 수 있을 것이다.
⑤ 작품의 범위 : TV드라마 40부작
컨셉 : 몰락한 양반이라 할 수 있는 허생과 그 당시 사재기를 통해 부를 쌓았던 경강상인들과 대결
대략의 줄거리 : 가난한 집에서 부인의 바느질에만 의존하며 공부를 하고 있는 허생. 공부를 더 하려 하였으나 아내의 성화에 못 이겨 책을 닫고 장사를 시작한다. 장사를 하려 했으나 경강상인의 횡포에 밀려 첫 해는 꽤 많은 빚을 지게 되었다. 드디어 허생은 깨끗한 거래와 번뜩이는 재치로 점점 상권을 장악해 간다. 오랜 대결 구도 끝에 결국은 경강상인들을 뛰어넘는 대사으로 발전한다. 하지만 자기만의 부귀영화를 위해 쓰지 않고 여러 백성을 구제 하는데 힘쓴다. 그리고 세계로 진출하는 교두보를 마련해 중국과 일본은 물론 서양과의 무역을 추진하는데 이른다.
2 유사 기획물의 분석
TV드라마로 방영 되었던 드라마와 게임 중 그 당시 현실을 잘 반영한 것과 인기가 많았던 작품들을 위주로 분석해 본다.
① MBC드라마 - ‘상도’
원작 : 최인호 장편 소설
- 바람직한 기업인의 표상 : IMF사태이후 그 어느 때보다도 기업인들의 윤리의식과 상도덕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조선시대 최고의 거부이자 무역상으로 당시 모든 상인들로붜 존경과 흠모를 한 몸에 받았던 순조 때의 거상 임상옥의 일대기를 극화 경제인들에게 바람직한 기업인의 표상을 제시했다.
- 진정한 경제 정의 : 장돌뱅이에서 3품의 고위 관직에 오른 그가 평생을 통해 추고 했던 상도정신과 이재술, 그리고 ‘재물은 평등하기가 물과 같다’라는 말과 함께 말년에 모든 재산을 사회에 환원한 그의 상업철학을 드라마를 통해 극명하게 보여줌으로써 진정한 경제정의가 무엇인가를 보여준다.
- 조선 상권의 상술경쟁과 상인의 위상 : 200년전, 조선의 상권을 좌지우지했던 4대 그룹들을 대상으로 치열했던 상술경쟁, 신분상 최하층인 상인들의 위상과 애환을 보여주고 화폐와 교환가치, 인건비 등 다양한 자료를 통해 얻은 “실물경제의 구체적인 사례”를 드라마를 통해 하나 하나 소개 하였다.
- 경제 문제에 한 차원 높은 정보와 교훈 : 덧붙여 근대의 한국기업은 물론이고 일본, 중국 및 서구기업의 기업 경영 성공실패 사례를 적절히 전용하여 시의성을 살린다. 또한 우리 모두의 관심거리인 경제 문제에 한 차원 높은 정보와 교훈을 제공한다.
단점 : 후반부로 갈수록 상거래에 대한 얘기보다 남녀관의 사랑에 너무 치우친 경향이 있다. 상도를 잘 지키려 했으나 중간중간 사람관계에서 뒷거래 하는 모습을 보여주어 중간에 그 의미를 잘 전달하지 못했다.
②임진록 온라인:거상(巨商)
‘거상’은 16세기 조선시대 상인들의 교역과 파란만장한 삶을 주제로 한 온라인게임. 조선시대 무역이라는 비인기 소재를 다룬 경제 온라인게임이다. 관청이나 저잣거리 주막 부두 등 당시의 생활상을 역사적 사실에 근거해 실제모습과 유사하게 재현해냈다.
거상이 누구나 쉽게 게임을 즐길 수 있는 부분 유료화 모델을 채택하고 있다는 점, 커뮤니티를 강화시키는 파티시스템을 적절히 운용한 점, 중앙대 경영학과 교재로 채택되는 등 교육게임이라는 점이 유저들에게 어필한 것 같다. 동시 접속 5만명을 기록하기도 하였다.
거상은 여러가지가 혼합된 복합적인 온라인게임이다. 경제시뮬레이션과 전략시뮬이 결합되어 독특한 효과를 나타내고있고, 그리고 시대에 맞개 상단이랑 길드를 내새워 공성과 투자란 재미있는 경험을 할수있게해준다.
거상은 우선 게임제작에 모티브였던것은 바로 드라마 "상도" 였다. 상도를 바탕으로 거상이탄생했으며 초기부터 지금까지 계속적으로 변화하고있는게 바로 거상이다.
3. 활용도
산업적, 교육적 가치 : 비인기 소재인 조선시대 무역의 현실을 시청자 들이 알 수 있다. 상도를 통해 많은 부분이 알려지긴 했지만 상도와는 조금 앞선 시대의 이야기를 다룸으로써 그 시대의 경제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다. 올바른 상도라는 것이 현재의 기업윤리에서는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를 극의 서사를 통해서 보여준다.
목표 시장 분석 : 사극등의 TV역사물은 꾸준한 인기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아무렇게나 만들어서 방영한다면 외면당하기 쉬운 것이 TV역사물인 것이다. 요즘은 다모나 대장금등으로 인기가 이어져서 사극이 아니더라도 인기몰이를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상도라는 드라마를 통해서 끓어오른 분위기를 다시 한 번 기대 할 수 있을 것이다. 경제가 어렵고 바른 상도가 무엇인가 제시해 주는 역할을 잘 한다면 시청자를 끌어들 일 수 있을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