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목차
일상과 드라마
텔레비전 드라마의 특성
드라마의 갈등
드라마 속의 대사
드라마와 담론
드라마 감상법
텔레비전 드라마의 특성
드라마의 갈등
드라마 속의 대사
드라마와 담론
드라마 감상법
본문내용
1 . 일상과 드라마
“ 드라마의 이야기가
나의 이야기일 수 있으며 나의 이야기가
드라마의 이야기 일 수 있다 ”
1. 일상과 드라마 - 족쇄의 기술
즉, 드라마의 수준이 너무 어려워도, 싱거워도 안 됨
’꺼리’를 만들어서 시청자의 눈을 잡고
‘리얼하게’ 그려냄으로써 시청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작
2.텔레비전 드라마의 특성 – 연속성
* 연속성
- 텔레비전 드라마 : 독립성과 완전성이 배제된 부분들의 연결
-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부분들이 총체적으로 통합되며 완성
- 계속과 반복이 전제되는 참여 행위 요구됨 : 시청자의 드라마 체험 축적을 야기
* 드라마의 가변성
- 시청자가 작가의 제작을 강제할 수 있음 : 제작자는 ‘시청률’에 구속
- 주제, 소재, 줄거리, 주인공의 에피소드, 결말, 드라마의 제작기간의 변경 가능
▶ 드라마의 연속성이라는 형식을 통하여
드라마와 시청자의 현실 사이에서
공감을 형성하려는 목적이 유지됨
.텔레비전 드라마의 특성 – 동시성
동시성
- 영상의 특징 ; 항상 현재며 현재 진행형을 의식화
; 움직임 –항상 현재로 인식하는 심리적 동시성
( ex; 흑백사진 VS 시대극 )
- 일상성이 갖는 연속적 관성이 영상의 시공간을 동시적인 것으로 만들어
시청자의 의식에 흡수되는 과정
- 시청자는 무의식 중에 드라마를 동시적인 것으로 받아들임
- 테마와 내용의 동시성 : TV드라마가 더욱 극적으로 되살아남
사회적 동시성을 확보하려 함
* 시청자의 체험과 일상의 범주에 따른 동시성
- 동시성이 강한 집단 : 일반 서민, 가족, 이웃, 애인
- 동시성이 약한 집단 : 대통령, 고위관직자, 천재, 재벌
“ 드라마의 이야기가
나의 이야기일 수 있으며 나의 이야기가
드라마의 이야기 일 수 있다 ”
1. 일상과 드라마 - 족쇄의 기술
즉, 드라마의 수준이 너무 어려워도, 싱거워도 안 됨
’꺼리’를 만들어서 시청자의 눈을 잡고
‘리얼하게’ 그려냄으로써 시청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작
2.텔레비전 드라마의 특성 – 연속성
* 연속성
- 텔레비전 드라마 : 독립성과 완전성이 배제된 부분들의 연결
-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부분들이 총체적으로 통합되며 완성
- 계속과 반복이 전제되는 참여 행위 요구됨 : 시청자의 드라마 체험 축적을 야기
* 드라마의 가변성
- 시청자가 작가의 제작을 강제할 수 있음 : 제작자는 ‘시청률’에 구속
- 주제, 소재, 줄거리, 주인공의 에피소드, 결말, 드라마의 제작기간의 변경 가능
▶ 드라마의 연속성이라는 형식을 통하여
드라마와 시청자의 현실 사이에서
공감을 형성하려는 목적이 유지됨
.텔레비전 드라마의 특성 – 동시성
동시성
- 영상의 특징 ; 항상 현재며 현재 진행형을 의식화
; 움직임 –항상 현재로 인식하는 심리적 동시성
( ex; 흑백사진 VS 시대극 )
- 일상성이 갖는 연속적 관성이 영상의 시공간을 동시적인 것으로 만들어
시청자의 의식에 흡수되는 과정
- 시청자는 무의식 중에 드라마를 동시적인 것으로 받아들임
- 테마와 내용의 동시성 : TV드라마가 더욱 극적으로 되살아남
사회적 동시성을 확보하려 함
* 시청자의 체험과 일상의 범주에 따른 동시성
- 동시성이 강한 집단 : 일반 서민, 가족, 이웃, 애인
- 동시성이 약한 집단 : 대통령, 고위관직자, 천재, 재벌
추천자료
미디어와 문화 (드라마)
미드의 사례를 통해 알아보고, 한국드라마가 배워야할점에 관해 논하시오.
문화비평을 통해 본 일본의 한류 -드라마 <겨울연가>를 중심으로
희곡, TV 드라마 극본, 영화 시나리오 작법의 장르적 차이점
만화 “궁”과 드라마 “궁”에 나타난 한국적 패션
화법 중간과제 - 미국 드라마(미드) <클로저 (The closer)>
[문화선교] 드라마
대중문화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드라마 커피프린스 1호점 ]
역기능적 가족이 나오는 책이나 드라마 영화를 보고 내담자의 문제, 치료목표, 치료과정에 대...
Newyork이 배경인 미국의 드라마
한국 속의 일본 드라마
A+)불안장애를 보인 사례를 TV드라마나 영화 속 인물 중에서 찾아내고 왜 그렇게 판단했는지 ...
<프라이스리스> 기무라 타쿠야 주연 드라마 감상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