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정교화기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정교화기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경찰

1. 조직

2. 업무

(1) 경무과

(2) 정보과

(3) 수사과

(4) 형사과

(5) 방범소년과

(6) 보안과

(7) 경비과

(8) 교통과

3. 범죄인의 처우

Ⅱ 검찰

1. 조직

2. 업무

Ⅲ. 법원
1. 조직

2. 업무

(1) 사무국

(2) 민사부

(3) 형사부

(4) 가사부

3. 범죄인의 처우

Ⅳ. 교정사회사업가의 개입 및 역할
1. 경찰단계

2. 검찰단계

3. 법원

본문내용

항소
Ⅳ. 교정사회사업가의 개입 및 역할
1. 경찰단계
- 제도적으로 마련되어 있지는 않지만 교정사회사업가가 개입하여 활동할수 있는 길 모색 가능
가. 경찰내부에서의 역할
- 소년경찰을 전문사회사업가로 채용, 기존의 경찰에 직무재교육 통한 범죄인 및 비행소년에 대한 특성과 성격을 파악이해, 전문적 진단과 치료기술 습득 등의 전문화
나. 지역사회내에서의 역할
- 지역사회내에서 경찰과 밀접한 관계 맺으면서 범죄인등에 대한 경찰의 처리 및 선도과정 적극적으로 개입, 경찰활동에 대한 상담, 조언, 자문에 응함, 처벌위주보다는 교화선도방향을 제시, 경찰과 직접순찰, 긴급구호 전화에 응답, 지역사회내의 인력자원을 조직활용 청소년 선도를 경찰과 함께 담당
2. 검찰단계
- 검찰과 상호연계하여 범죄인,비행소년 조사활동에 개입 사회심리적 자료 검사를 제공하여 범죄인 및 비행소년을 이해 사건을 처리하는데 합리적인 판단을 할수 잇도록 조력
- 선도조건부기소유예제도 : 봉사활동, 1978년 창안
3. 법원
- 제도화 되어있지 않다. 소년범죄자의 처리과정에서 재판전에 범죄사실과 범죄소년의 특성 및 상황 파악하고 이해할수 있도록 사전조사 실시, 조사결과 제공등의 자료제공자 역할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01.26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35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