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현대 사회와 우리의 모습
Ⅱ. 우리 시대 청소년의 내적 갈등 : Alan의 숭배와 사랑
Ⅲ. 우리 시대 기성세대의 내적 갈등 :
Dysart의 사회적 자아와 개인적 자아의 갈등
Ⅳ. 조화를 통한 갈등의 회복
Ⅱ. 우리 시대 청소년의 내적 갈등 : Alan의 숭배와 사랑
Ⅲ. 우리 시대 기성세대의 내적 갈등 :
Dysart의 사회적 자아와 개인적 자아의 갈등
Ⅳ. 조화를 통한 갈등의 회복
본문내용
이 Equus를 거부함으로써 그 자리에 신은 아니더라도 사랑과 존경의 대상인 Dysart가 들어가 모든 사실을 털어놓고 마음을 알려주는 이의 역할을 맡게 되며, 아들을 원하는 Dysart에게 Alan은 그 역할을 대신해 주게 된다. 즉 Alan은 말에 대한 숭배 사상이 정신 치료를 받으면서 그 빛을 잃게 되자 Dysart를 새로운 숭배(?)의 대상으로 생각하며 그에게 정신적으로 의지하려고 하며, Alan 또한 Dysart의 불모적 삶에 조금의 희망이라도 안겨 주는 존재가 된다.
Hesther : Coaiming you.
Dysart : For what?
Hester : A new God. (P.275)
하지만 결국 Alan은 Dysart에 의하여 소위 정상의 세계에 이르게 되는데, 다음의 Dysart의 대사에서도 볼 수 있듯이 Alan은 환희와 열정에 찬 소년에서 평범한 한 청소년으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정신 이상으로부터 구제되어 본능이 지배하는 세계에서 벗어나 규칙과 질서가 존재하는 세계에서 살아가게 된다. 이는 현대 사회가 부과하는 삶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순수한 열정에서 오는 행복은 어쩔 수 없이 파괴해야 한다는 사실로, 정상으로의 회귀는 희망과 믿음을 상실한 메마른 현대인의 모습을 투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Dysart의 사회적 자아는 사회에서 원하는 정상인의 생활을 Alan에게 부여할 수밖에 없다는 결론을 내린 것인데, 결국 현대인은 인간 본래의 모습으로 자유를 가지고 존재한다기 보다는 자아의 좌절과 함께 사회라는 통제 속에서 살아가야 하기 때문이다.
Dysart는 이 극에 있어 20세기의 정신과 의사이지만 아이러니컬하게도 그리스를 향한 비과학적인 신화를 숭배하는 우상 숭배자로서의 개인적 자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는 Alan을 통하여 사회적 자아는 사회가 개인의 열정을 빼앗을 수밖에 없다는 결론을 내린다. 그런 의미에서 Dysart를 통하여 나타나는 현대의 기성세대는 과학화와 산업화에 의해 이미 종교적인 정신을 갖기 어렵다는 의미일 수 있다.
가장 이상적인 인간의 삶은 정상적으로 사회에 적응하면서 열정을 가질 수 있는 것이겠지만 현실적으로 볼 때 조직적이고 무미건조한 정상의 세계는 Alan에게 열정을 가진 정상인으로서의 삶을 제공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것은 사회적 자아와 개인적 자아의 화합 속에서 가능할 것이며 그때 정신과 열정은 파괴되거나 구속됨이 없이 조화를 이루게 될 것이다.
Hesther : Coaiming you.
Dysart : For what?
Hester : A new God. (P.275)
하지만 결국 Alan은 Dysart에 의하여 소위 정상의 세계에 이르게 되는데, 다음의 Dysart의 대사에서도 볼 수 있듯이 Alan은 환희와 열정에 찬 소년에서 평범한 한 청소년으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정신 이상으로부터 구제되어 본능이 지배하는 세계에서 벗어나 규칙과 질서가 존재하는 세계에서 살아가게 된다. 이는 현대 사회가 부과하는 삶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순수한 열정에서 오는 행복은 어쩔 수 없이 파괴해야 한다는 사실로, 정상으로의 회귀는 희망과 믿음을 상실한 메마른 현대인의 모습을 투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Dysart의 사회적 자아는 사회에서 원하는 정상인의 생활을 Alan에게 부여할 수밖에 없다는 결론을 내린 것인데, 결국 현대인은 인간 본래의 모습으로 자유를 가지고 존재한다기 보다는 자아의 좌절과 함께 사회라는 통제 속에서 살아가야 하기 때문이다.
Dysart는 이 극에 있어 20세기의 정신과 의사이지만 아이러니컬하게도 그리스를 향한 비과학적인 신화를 숭배하는 우상 숭배자로서의 개인적 자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는 Alan을 통하여 사회적 자아는 사회가 개인의 열정을 빼앗을 수밖에 없다는 결론을 내린다. 그런 의미에서 Dysart를 통하여 나타나는 현대의 기성세대는 과학화와 산업화에 의해 이미 종교적인 정신을 갖기 어렵다는 의미일 수 있다.
가장 이상적인 인간의 삶은 정상적으로 사회에 적응하면서 열정을 가질 수 있는 것이겠지만 현실적으로 볼 때 조직적이고 무미건조한 정상의 세계는 Alan에게 열정을 가진 정상인으로서의 삶을 제공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것은 사회적 자아와 개인적 자아의 화합 속에서 가능할 것이며 그때 정신과 열정은 파괴되거나 구속됨이 없이 조화를 이루게 될 것이다.
추천자료
시의 내용 (영미시)
문학작품의 영화화 - 희곡'이'와 영화'왕의 남자'
한국문학의 이해, 전통극과 희곡 연구
[베른하르트][베른하르트문학][베른하르트희곡]베른하르트의 문학적 특징, 베른하르트의 망명...
[사랑과 시][사랑과 소설][사랑과 희곡][사랑과 문학][사랑과 여성문학][사랑과 비방문학][시...
한국 전후문학(1950년대문학) 의의, 한국 전후문학(1950년대문학) 희곡, 한국 전후문학(1950...
(영미시C형)Shelley의 시적 특징과 Lines (Tintern Abbey)의 내용 요약
(영미시D형)Byron의 시적 특징과 To a Sky-Lark의 내용 요약
(영미시E형)Byron의 시적 특징과 Lines (Tintern Abbey)의 내용 요약
[1990년대][미디어][사회윤리][민족문학][북한희곡][중국수필][일본영화]1990년대의 미디어, ...
[국문학][국문학과 분단문학][국문학과 시조][국문학과 설화][국문학과 희곡][국문학과 수필]...
[소설][리얼리즘][소설론][작가][로맨스][서사문학]소설과 리얼리즘, 소설과 소설론, 소설과 ...
[탈식민성][희곡][아나키즘][문학비평][김지하][도가철학][문헌정보][탈식민지]탈식민성과 희...
[탄실 김명순 소설가][김명순][소설가][문학활동][고백문학][희곡][두 여인]탄실 김명순 소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