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장애의 이해
<표 1-1> 1980년 국제장애분류의 기초적 모델
<표 1-2> 과거의 장애구분과 전문영역
<표 1-3> 새로운 국제장애분류개정안의 차원별 기본개요
<표1-4> 장애인의 분류
<표 1-6> 정신장애의 진단 및 분류체계( DSM-Ⅳ-TR,2000)
2. 장애인 생활시설과 생활 ․ 재활지도
<표 1-1> 1980년 국제장애분류의 기초적 모델
<표 1-2> 과거의 장애구분과 전문영역
<표 1-3> 새로운 국제장애분류개정안의 차원별 기본개요
<표1-4> 장애인의 분류
<표 1-6> 정신장애의 진단 및 분류체계( DSM-Ⅳ-TR,2000)
2. 장애인 생활시설과 생활 ․ 재활지도
본문내용
통해 지역사회에 통합된 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적응력이 낮아지게 되는 불편의 요인부적응 문제를 최소화시켜 시설에서의 생활에 잘 적응하며 궁극적으로는 스스로 자립생활을 할 수 있도록 조력(Guidance)해 주는 계속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생활재활지도의 목표는 생활재활지도의 개념과 목적을 분석해 볼 때, (1) 일상생활 적응능력의 향상, (2) 사회생활 적응능력의 향상 (3) 심리사회적 측면의 조화로운 삶의 영유 (4) 직장생활 적응능력의 향상 등과 같이 상위목표를 설정할 수 있으며, 장애영역과 그들의 구체적인 특성(연령, 능력의 한계와 가능성, 흥미와 욕구, 가정환경, 적응력 등)에 따라 도달하고자 하는 결과목표를 세부적으로 세울 수 있을 것이고(고선정, 2000), 또한 생활인 개개인에 대한 직접적인 개별 서비스와 간접적인 행정지원 서비스로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생활재활지도 내용으로는 (1) 기본생활습관의 지속적인 지도, (2) 건강지도, (3) 학습지도, (4) 사회정서지도, (5) 여가지도, (6) 성교육, (7) 안전교육, (8) 상담교육 등이 될 것이며 생활재활지도 전개는 (1) 생활재활지도는 누가 담당하고 누구와 함께 이루어지며, (2) 생활재활지도는 언제 이루어지고, (3) 생활재활지도는 어디에서 이루어지는가, (4) 생활재활지도는 어떻게 이루어지며, 어떤 방법으로 진행하는가를 정확히 파악 할 수 있어야 한다. 지도교사의 입장에서 장애인의 문제행동, 또는 생활재활지도를 실행할 때 장애인과 그를 둘러싼 모든 사람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