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집 증후군(Sick House Syndrome)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새집 증후군(Sick House Syndrom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론
1. 정의
2. 발생률
3. 원인
4. 인체에 미치는 영향
5. 예방법

Ⅲ. 결 론

본문내용

%의 포름알데히드, 벤젠, 일산화탄소 등이 없어졌다는 것이다.
공기정화 식물들은 몸에 좋은 음이온을 뿜고 실내 습도도 60% 정도를 유지해줘 별도의 가습기가 필요없을 정도. 여름에는 실내 온도를 2~3도 낮춰주고 겨울에는 2~3도 높여주는 등 온도 조절 기능도 해준다.
아프리카가 원산지인 산세비에리아는 음이온이 많이 나온다고 해서 일본에서 화제가 됐던 식물이다. 다른 식물과 달리 광합성을 할 수 없는 밤에도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내뿜어서 잠을 자는 침실에 나둬도 좋다. 또 거실, 아이들 방에 놓아두면 가전제품 등에서 나오는 양이온을 중화해주는 기능도 한다. 산세비에리아 화분에 숯을 넣어 키우면 더욱 공기 정화 기능이 높아진다. 스파티필름은 실내 공기 정화능력이 뛰어나며 집안의 안 좋은 냄새도 흡수하는 능력이 있고, 앤슈리엄은 실내 공기를 정화해 주기도 하지만 연중 내내 꽃이 피어 있어 보기도 좋다. 고무나무도 공기 정화를 잘 하며, 벤저민도 병충해에 강하다.
야자나무는 페인트를 흡입하며 아레카 야자는 습도를 높이는 데 도움을 준다. 네프롤레피스, 아디안텀 등 고사리과 식물들은 사람에게 가장 편안한 40~60% 습도여야만 마르지 않기 때문에 이것들은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자연 가습기'다.
Ⅲ. 결 론
지금까지 우리는 ‘새집 증후군’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주거는 인간이 살아가기 위해 꼭 필요한 의 식 주 중에 하나이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가 있다고 해서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새집으로 이사를 안 갈 수 는 없는 일이다. 다만, 그 예방법으로 입주자는 미리 입주하기 전에 건축물의 자재는 무엇인지, 유해한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지 살펴보아야 할 것이며 입주하고 나서도 환기와 공기청정기 사용, 식물 배치와 같은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건축업자는 빠른 시일 내에 값싸게 건물을 짓는데 급급하기 보다는 자연친화적인 자재로 짓고, 집을 짓고 나서는 일정 기간 그대로 두어 유해성분이 빠져나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주거환경 변화에 따른 문제의 예방에 관한 활동은 지역사회 간호사들이 지역 주민에게 예방에 대한 홍보나 교육 활동을 함으로써 조금씩 인식이 변화될 것이고, 문제점이 해결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앞으로 환경의 변화로 인해 더더욱 많은 건강문제가 생길 것이다. 이러한 건강문제에 대해 지역사회 간호사는 더더욱 관심과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며 지역 주민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1.31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42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