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임상증후군
증상 및 징후
검사
감별 진단
치료
재활
합병증과 주의점
임상적 핵심
증상 및 징후
검사
감별 진단
치료
재활
합병증과 주의점
임상적 핵심
본문내용
굴곡 시킨 후에 손등을 접은 수건위에 올려놓는다. 국소마취제3cc, 40mg의 메칠프레드니솔론을 5cc 주사기에 담는다. 시술자가 수장장 건을 확인 할 수 있도록 환자에게 주먹을 쥐고, 손목 관절을 굴곡하라고 한다. 묵뉴성 피부 조작을 하고 나서 손목 관절 피부 주름 바로 근위부에서 수장장건 바로 내측에 30도 각도로 5/8 inch, 25-gauge 주사 바늘을 삽인한다. 주사 바늘 끝이 수장장건을 지날 때 까지 조심스럽게 전진 시킨다. 이 때 정중 신경 분포 영역에 강한 이상 감각이 유발 된다. 환자에게 이런 이상 감각이 유발 된다는 것을 미리 주지시키고 이런 느낌이 오면 바로 지금요! 라고 말하게 한다. 이상 감각이 유발되면 그 분포를 확인하고 정중 신경으로부터 주사 바늘을 후퇴시킨다. 또한 바늘이 혈관에 삽입되어 있는지 주사기를 흡입시켜서 확인하고 혈액의 역류가 없고 이상 감각이 더 이상 없으면 국소마취제의 독성에 의한 증상을 살피면서 3cc의 국소마취제를 천천히 주사한다. 만약 주사 바늘이 뼈에 닿을 때까지도 이상 감각이 유발되지 않으면 골막 밖으로 주사 바늘을 빼낸 뒤 주의 깊게 흡입 시켜 본 후에 혈액의 역류가 없으면 3cc를 서서시 주사한다.
이러한 치료에도 효과과 없는 환자들은 수술적 박리의 적응이 된다. 내시경적 치료가 각광을 받고 있으며 수술 후 동통과 기능 장애가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재활
*합병증과 주의점
수근관 증후군을 적절 치료하지 못하면 영구적인 동통과 미비, 기능 부전으로 남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동반된 반사 교감신경 퇴행 위축을 교감 신경 차단술로 공격적으로 치료하지 않으면 더욱 가중될 수 있다. 수근의 혈관 내 주사와 주사 바늘에 의한 신경의 손상에 의해 2차적으로 초래되는 영구적 이상 감각이다. 환자가 항응고제 복용중이더라도 혈종 형성의 위험과 치료효과를 함께 고려하여 이득이 더 크면 25-27gauge 주사 바늘로 시행 할 수 있다.
시술 직후에 주사 부위를 손으로 누르면 혈종 형성을 예방 할 수 있으며 주사후 20분 동안 얼음주머니를 얹어주면 주사 후 통증과 출혈을 감소시킬 수 있다.
*임상적 핵심
경추부 신경근 병은 가끔 정중 신경 압박 증상과 비슷하므로 수근관 증후군과 감별해야 한다. 더욱이 기억해야 할 것은 경추부 신경근 병과 수근관 증후근이 함께 존재 할 수 있다는 것이다. double crush syndrome을 보이는 가장 흔한 경우가 수근관 증후군이다.
수근관 주사 요법은 상기 통증과 증상들을 진단하고 치료 하는데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이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손목 관절에서 신경 차단술을 시행하기 전에 모든 환자에서 시술 후 정중 신경 차단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왕의 신경학적 결손 특히 당뇨병의 여러 증상, 진행된 수근관 증후군의 증상을 확인하기 위해서 주의 깊게 신경학적 검사를 하야여 한다.
주사 바늘 끝이 횡수근 인대 바깥에 위치하도록 주의하고 주사액이 수근관내로 서서히 흘러 들어가도록 서서히 주입해 더 이상의 정중신경 손상을 피할 수 있다.
이러한 치료에도 효과과 없는 환자들은 수술적 박리의 적응이 된다. 내시경적 치료가 각광을 받고 있으며 수술 후 동통과 기능 장애가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재활
*합병증과 주의점
수근관 증후군을 적절 치료하지 못하면 영구적인 동통과 미비, 기능 부전으로 남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동반된 반사 교감신경 퇴행 위축을 교감 신경 차단술로 공격적으로 치료하지 않으면 더욱 가중될 수 있다. 수근의 혈관 내 주사와 주사 바늘에 의한 신경의 손상에 의해 2차적으로 초래되는 영구적 이상 감각이다. 환자가 항응고제 복용중이더라도 혈종 형성의 위험과 치료효과를 함께 고려하여 이득이 더 크면 25-27gauge 주사 바늘로 시행 할 수 있다.
시술 직후에 주사 부위를 손으로 누르면 혈종 형성을 예방 할 수 있으며 주사후 20분 동안 얼음주머니를 얹어주면 주사 후 통증과 출혈을 감소시킬 수 있다.
*임상적 핵심
경추부 신경근 병은 가끔 정중 신경 압박 증상과 비슷하므로 수근관 증후군과 감별해야 한다. 더욱이 기억해야 할 것은 경추부 신경근 병과 수근관 증후근이 함께 존재 할 수 있다는 것이다. double crush syndrome을 보이는 가장 흔한 경우가 수근관 증후군이다.
수근관 주사 요법은 상기 통증과 증상들을 진단하고 치료 하는데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이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손목 관절에서 신경 차단술을 시행하기 전에 모든 환자에서 시술 후 정중 신경 차단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왕의 신경학적 결손 특히 당뇨병의 여러 증상, 진행된 수근관 증후군의 증상을 확인하기 위해서 주의 깊게 신경학적 검사를 하야여 한다.
주사 바늘 끝이 횡수근 인대 바깥에 위치하도록 주의하고 주사액이 수근관내로 서서히 흘러 들어가도록 서서히 주입해 더 이상의 정중신경 손상을 피할 수 있다.
추천자료
상체질병
<대사증후군의 기준>- NCEP-ATP3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
[우울증][우울증 원인][우울증 증상][우울증 발병률][우울증 예방][우울증 치료]우울증의 개...
[심근경색][심근경색증]심근경색(심근경색증) 정의, 심근경색(심근경색증) 원인, 심근경색(심...
터너증후군 & 클라인펠터증후군 &다운증후군 & 고양이울음증후군
정신지체 (x결함 증후군, 프레이더월리증후군, 스미스마제니스증후군)
[신장장애, 신장장애 정의, 신장장애 종류, 신장장애 증상, 신장장애 원인, 신장장애 특성, ...
월경전증후군, 생리전증후군, PMS
[화병 (火病 / hwa-byung) 치료법] 화병의 증상과 치료법 ; 화병의 원인과 진행과정 분석 {화...
[자폐아동 치료, 음악치료, 미술치료] <자폐아동 보고서> 자폐증 개념, 자폐 원인, 자폐아동 ...
[이상심리학] 신체화장애(Somatization Disorder) - 신체화장애의 사례와 임상적 특징(개념과...
불면증 : 불면증의 증상과 치료법 ; 불면증의 원인과 특징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