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호흡기증후군(SARS)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차
1. 급성호흡기증후군(SARS)는 어떤 질병인가?

2. 예방 및 퇴치 방법

3. 현재까지의 상황
⑴ 사스, 치사율 급등
⑵ 사스 백신 개발 난망, 통제 어려울 듯
⑶ `사스` 빌미 아시아계 차별 확산
⑷ 사스 피해 산업계 전반 확산

본문내용

외무부가 밝혔다. 또 값싼 노동력을 얻기 위해 베트남의 산업연수생들을 흡수해 온 한국등 일부 국가들도 사스 파동 이 후 베트남 국적 소지자의 입국을 사실상 봉쇄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홍콩의 밍바오(明報)는 “최근 중국에 있는 각국의 외교 공관이 중국인에게 입국비자를 발급하지 않고 있으며 이런 상황 이 짧은 시간 내에 정상으로 회복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 봤다. 일부 국가들은 사스를 핑계삼아 이 기회에 아시아산 제품이 밀려 들어오는 것을 저지하려는 속셈도 드러내 보이고 있다. 멕시코 의류업계는 23일 멕시코에 수입되는 아시아산 의류제품(한국산, 중국산등이 현재 멕시코 시장에서 60%를 차지함)을 착용했을 때 사스에 감염될 가능성이 높다며 당분간 아시아산 의류구입을 자 제해야 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그런가 하면 한 중국 유학생은 24일 문화일보에 보내온 e메일에 서 “베이징(北京)에서는 사스 감염의심자들을 시외곽에 급조한 1000병상 정도의 병원에 강제격리 수용하고 있다는 소문이 확인 되고 있다”며 때문에 교민들 사이에는 “죽더라도 한국에 가서 죽어야 한다는 말이 공공연히 나돌고 있다”고 전했다. 이는 사스 피해자 건수를 은폐해 온 중국 당국이 감염 의심자들에 대해서도 자국민, 외국민 가리지 않고‘역병 걸린 사람 취급하듯’상당 한 인권유린을 할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렇듯 교민들이 생명의 위협을 느껴 고국을 찾고 있는데 한국의 일부 네티즌들 사이에 나도는 “중국 유학생들을 아예 못들어 오게 봉 쇄해야 한다”는 식의 말은 지나친 게 아니냐고 그는 반문했다.
⑷ 사스 피해 산업계 전반 확산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 확산의 여파는 산업계 전반에 걸쳐 ‘무차별 공습’을 가하고 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베트남 등 세계보건기구(WHO)가 감염 위험지역으로 지정한 국가에 사업장을 가지고 있는 업체들 뿐만 아니라 해당지역 상품 수입업계와 동남아 산업연수생을 채용할 예정인 중소기업들에까지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는 사스 감염위험지역 출신 산업연수생 입국을 잠정 중단시켰다. 이로인해 중국과 베트남 산업연수생 10 00명의 입북이 지연돼 국내 165개 중소 제조업체들은 비상이 걸 렸다.
또 미국 등 주요국가로 제품을 수출하는 업체들도 현지의 통관심 사 및 감염조사가 강화되면서 통관이 2주 이상 늦어져 수출 업무 차질을 우려하고 있다. 항공사들도 지난달에만 승객이 10% 이상 감소하는 등 큰 피해를 보고 있다. 대한항공측은 “이달에는 중 국·동남아 승객이 전년대비 20% 이상 줄어들 것으로 잠정 집계 되고 있다”고 말했다. 대우증권 임진균 연구원은 “사스의 확산은 경제활동 위축과 공 급사슬의 붕괴로 이어져 대부분 업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 이라고 말했다. 음식료 타이어 건설 초박막액정표시장치(TFT-LCD )등 4개 업종을 제외하면 기계 섬유 의류 제지 석유화학 철강 반 도체 유통 자동차 휴대전화 여행 운송 은행 신용카드 증권 등 대 부분 업종은 부정적 영향권에 있다고 그는 덧붙였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3.10.30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95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