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절. 장애인직업재활
1. 장애인직업재활의 개념
2. 장애인직업재활의 기본원칙
3. 장애인직업재활의 과정
4. 장애인직업재활의 형태
<표 2-1> 장애인 고용의 형태
1. 장애인직업재활의 개념
2. 장애인직업재활의 기본원칙
3. 장애인직업재활의 과정
4. 장애인직업재활의 형태
<표 2-1> 장애인 고용의 형태
본문내용
수 있으며 보수도 가장 높다. 또 보다 안정적인 직업에 종사할 수 있고 근로환경이 좋은 직종에 취업할 가능성도 높다. 그러나 경쟁고용을 위해서는 비장애 근로자와 경쟁할 수 있는 특정기능이나 기술을 갖추어야 한다
지원고용은 직업을 유지하기 위해서 집중적이고도 지속적인 지원을 받아야 하는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고용의 유형이다. 통합된 근로현장에서 계속적인 지원을 받으며 이루어지는 경쟁고용의 한 유형으로 대부분의 동료가 비장애인이어야 하고 장애인이 작업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속적 혹은 간헐적인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며, 전일제 혹은 시간제로 주당 20시간 이상의 일이 보장되어야 하며 최저임금 수준의 임금이 제공되어야 하는 직업재활 형태이다.
<표 2-1> 장애인 고용의 형태
전환고용(transitional employment)
보호작업장(sheltered workshop)
보호고용
기업내 집단고용(enclaves employment)
거택고용(homebound employment)
경쟁고용(competitive employment)
일반고용
(지역사회 내 고용)
지원고용(supported employment)
자영업
(self-employment)
지원고용은 직업을 유지하기 위해서 집중적이고도 지속적인 지원을 받아야 하는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고용의 유형이다. 통합된 근로현장에서 계속적인 지원을 받으며 이루어지는 경쟁고용의 한 유형으로 대부분의 동료가 비장애인이어야 하고 장애인이 작업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속적 혹은 간헐적인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며, 전일제 혹은 시간제로 주당 20시간 이상의 일이 보장되어야 하며 최저임금 수준의 임금이 제공되어야 하는 직업재활 형태이다.
<표 2-1> 장애인 고용의 형태
전환고용(transitional employment)
보호작업장(sheltered workshop)
보호고용
기업내 집단고용(enclaves employment)
거택고용(homebound employment)
경쟁고용(competitive employment)
일반고용
(지역사회 내 고용)
지원고용(supported employment)
자영업
(self-employment)
키워드
추천자료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및 프로그램
장애인 직업 재활 프로그램 분석
[직업재활]직업재활(직업재활정책)의 개념, 직업재활(직업재활정책)의 원칙, 직업재활서비스...
[직업재활][직업재활 원칙][직업재활 과정][특수교육][직업재활 발전방향]직업재활의 목적, ...
[직업재활 상담사의 바람직한 역할]직업재활 역사, 직업재활프로그램, 직업재활 상담사 일반...
장애인 직업재활에 있어서 보호고용의 개념과 내용을 간단히 서술하시오
장애인재활의 이해 재활치료, 직업재활, 교육재활
재활분야 (의료재활, 직업재활, 교육재활, 사회재활, 스포츠재활)
외국의 장애인 복지정책 (미국, 영국, 호주, 일본, 독일의 의료 및 소득보장정책, 교육정책, ...
정신장애인의 정의 및 직업적 특성과 재활과제 (정신장애의 정의, 정신장애의 원인, 정신장애...
사회복지 프로그램) 저소득 장애인의 직업 재활을 위한 직업역량강화 프로그램
장애인복지정책 및 서비스(의료보장, 소득보장, 교육정책, 직업재활정책, 편의시설정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