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대지 Zemlya>(1930) / 감독: 알렉산드르 도브첸코
<M>(1931) / 감독: 프리츠 랑
<모던 타임스 Modern Times>(1936) / 감독: 찰리 채플린
<올림피아 Olympia>(1938) / 감독: 레니 뤼펜쉬탈
<커다란 환상 La Grande Illusion>(1937) / 감독: 장 르누아르
<게임의 규칙 La R gie du jeu>(1939) / 감독: 장 르누아르
<M>(1931) / 감독: 프리츠 랑
<모던 타임스 Modern Times>(1936) / 감독: 찰리 채플린
<올림피아 Olympia>(1938) / 감독: 레니 뤼펜쉬탈
<커다란 환상 La Grande Illusion>(1937) / 감독: 장 르누아르
<게임의 규칙 La R gie du jeu>(1939) / 감독: 장 르누아르
본문내용
복잡하기 때문에 관객들은 여러번 이 작품을 보지 않고서는 그 관계를 이해하기 힘들다. 상류계급의 경우 후작부인 크리스틴은 젊은 비행사 앙드레, 앙드레의 친구이자 아버지의 친구였던 옥타브, 생오뱅과 미묘한 관계에 빠지고 로베르는 주느비에브와 연인관계이다. 로베르와 주느비에브의 관계는 옥타브가 알고 있으며 크리스틴도 알게 된다. 하녀 리제르는 남편 슈마허와 새로운 하인 마르소와 삼각관계에 빠지며 이들의 관계가 엉뚱하게 앙드레의 죽음을 불러 일으킨다. 르누아르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나는 모든 게임이 규칙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다. 그 규칙을 깨뜨리는 이는 게임에서 지는 것이다." 여기서 게임의 규칙은 상류사회의 결혼과 간통, 사냥 등이며 하인계급의 유희일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게임은 궁극적으로는 성의 게임이며 또 서로 얽히고 깨어지지만 상류사회의 그것이 보다 '위선'적이다. 앙드레는 이러한 규칙을 깨뜨리기 때문에 죽음을 당한다. 르누아르는 그 자신이 직접 옥타브로 출연하여 이들의 성적 게임의 매개자이자 또 참여자가 된다. 그래서 유려한 카메라워크는 옥타브를 중심축으로 이동해 나간다. 카메라는 그를 따라다니며 귀족계급과 하인계급의 사회를 자연스럽게 대비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오손 웰스의 <시민 케인>(1941)의 딥 포커스 촬영이 이미 여기서 확고한 미학적 의미를 획득하고 있다. 영화적 공간개념을 확장시킨 것이다. 전심초점 공간의 표현으로 깊이감을 강조하였을 뿐 아니라 등장인물들로 하여금 프레임의 경계를 계속 드나들게 함으로써 훗날 영화학자 노엘 비루시가 체계적으로 분석한 외화면공간(오프스크린)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르누아르의 탁월한 연출기법은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클로즈업이 거의 배제된 풀숏화면의 배경이 되는 세팅과 의상코드는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은 다중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남성성/여성성, 우아함/천박함, 전통/현대, 도시/시골, 상류/하류계층 등). 이처럼 이 작품에서 르누아르가 20세기초 프랑스 사회의 모든 계층을 들여다보는 영화적 형식은 독창적이기도 하지만, 프랑스의 방대한 문화적 전통과도 맞닿아 있다. 18세기 프랑스 코미디 야외극의 전통과 뮤세, 보마르세, 마리보의 영향에서 낭만주의 회화의 전통에 이르기까지 <게임의 규칙>에 세세하게 스며있는 문화적 전통은 왜 르누아르의 영화가 프랑스인들로부터 그토록 사랑을 받았는지를 짐작케 해 준다.
추천자료
낭만주의시대의발레
영화 '안달루시아의 개' 작품 분석
백년동안의 고독을 읽고
중국문학서설
북한의 아동문학
요한계시록 10장 정리
자기도취적 회피적 성격장애
슈렉이 비판하는 안티 디즈니의 내용과 그 정당성에 대한 분석
[정보화사회][정보사회][정보통신기술][정보기술]정보화사회(정보사회)의 개념, 정보화사회(...
대상관계이론
[영화][영화의 역사][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영화][독일 표현주의 영화][프랑스 누벨바그 영...
[러시아][러시아 역사적 기원][러시아 사회문화][정치][경제][음악][한인][보드카]러시아의 ...
찰스임스 주택의 Eames House를 통한 실내 건축적 개념과 특성 파악
적립식펀드와 관련하여 적립식 장기 투자의 수익분석과 문제점을 알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