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증의 정의와 원인 및 증상과 진단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자폐증의 정의 및 원인
1. 자폐증의 정의
2. 자폐증의 원인은 무엇인가?
1) 심인성 이론
2) 생물학적, 유전적 이론
3) 임신과 출산 장애
4) 감염

Ⅱ. 자폐의 증상
1. 사회적 능력
1) 사회적 무관심
2) 모방능력의 손상
2. 언어능력
1) 반향어
2) 언어발달의 미숙
3. 인지능력
4. 행동적 특성
1) 동일성 - 변화에 대한 저항
2) 감각적인 결함과 반복적 행동
3) 자기자극행동

Ⅲ. 자폐증 진단
1. 진단 기준
2. 자폐증과 유사한 광범위성 발달장애
3. 기타 장애와 자폐증의 감별
(1) 정신지체와의 감별
(2) 뇌손상아와의 감별
(3) 농아와의 감별
(4) 발달성 언어장애와의 감별
(5) 반응성 애착 장애
4. 역학과 예후

본문내용

미래의 예우가 좋을 확률이 많으므로, 아동의 발달양상을 항상 관찰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또한 정신지체아는 도움이 필요할 때 누군가의 도움을 받기 위해서 자폐아와는 달리 대인관계를 오히려 원하는 점이 특징이다.
(2) 뇌손상아와의 감별
뇌손상아는 신경학적 검사를 시행해 보면 분명한 뇌손상 소견이 나타나고 대인관계의 장애를 크게 나타내지는 않는다. 자폐아도 경련, 즉 간질을 25%정도가 나타내는 등 뇌의 문제를 보이기는 하나 뇌손상아처럼 분명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3) 농아와의 감별
자폐아동이 말도 못하고 불러도 대답이 없으므로 농아로 의심되는 경우가 많으나, 자세히 관찰해 보면 부모와 같은 사람에게는 반응이 없으나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등의 소리를 듣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농아는 자폐아와는 달리 대인 관계상의 저항이나 변화를 싫어하는 고집은 없는 것으로도 구별이 가능하다.
(4) 발달성 언어장애와의 감별
발달성 언어장애는 보통 말만 늦은 경우를 말한다. 이런 아동의 언어발달은 지연되어 있으나 다른 면에서는 정상 발달을 보이는 경우로 이들은 말로 표현은 못해도 하는 말을 잘 알아듣고 대인 관계도 정상이며 몸짓 등의 비언어적인 방법으로 적절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흔히 이렇게 부모들이 생각하여 자폐아들이 치료 및 교육의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있어 문제가 된다.
(5) 반응성 애착 장애
어머니나 주된 양육자의 보살핌이나 자극이 부족해 발달이 지연되는 경우, 아이가 자신이 없고 소극적이므로 자폐적으로 보이기도 하나 이런 아동은 적절한 보살핌이 계속되면 쉽게 진전을 보인다는 점에서 자폐아와 차이가 있다.
4. 역학과 예후
자폐성 발달 장애의 출현율도 그 정의의 어려움과 같이 매우 다양한 범위로 제시되고 잇다. Edelson(1996)에 의하면 이들은 10000명당 15~20명이 출현한다고 하나, NICHCY(1999)에 의하면 자폐성과 광범위성 발달장애는 1000명 출생 시 약 5~15명 출현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자폐성 발달장애의 출현율에 대한 최초의 조사연구로 1963년 영국에서 8~10세의 아동을 대상으로 행한 Lotter(1966)의 연구 결과 자폐성 발달장애의 출현율은 1000명당 4.5명이나, 진단 규준을 엄격하게 적용하는 경우에는 10000명당 2.0명의 비율이 된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Wing 등(1976)이 1970년 엄격한 준거를 적용한 경우에는 자폐성 발달장애아동이 10000명당 2.0명이 출현하고, 준거를 폭넓게 적용한 경우는 10000명당 2.8명이 출현한다고 보고하였다.Treffert(1970)는 미국의 Wisconsin 주에서 행한 유아 자폐증과 아동기 정신분열증 출현에 관한 조사 연구 결과 자폐성 발달장애의 출현율은 10000당 0.7명이라고 보고하였다. 일본에서의 발생률 연구에서 Hoshino등 (1982)은 18세 미만의 아동을 대상으로 진단 준거를 엄격하게 적용한 경우에는 자폐성 발달장애아동이 2.33명, 폭넓게 적용하는 경우에는 자폐성 발달장애아동이 4.96명 출현한다고 보고하였으나, Tanoue 등 (1988)은 조사 결과 자폐성 발달장애아동의 출현율은 10000명당 13.0명이 된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독일의 경우 Steinhausen 등 (1983)은 3~14세 아동을 대상으로 자폐성 발달장애 출현율을 조사한 결과 10000명당 1.9명이 출현한다고 보고하였고, Gillberg(1984)는 Nova Scotia 지역의 6~14세 아동 208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0000명당 10.8명의 자페성 발달장애아동이 출현한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Cialdella 등(1989)은 프랑스에 거주사는 3~9세 아동 135180명을 대상으로 자폐성 발달장애아동을 선정한 결과 10000명당 10.8명에서 4.5명까지 출현한다고 보고하였다.
국내의 경우 박경숙과 박효정(1984)은 일부 특수학교를 중심으로 자폐성 발달장애아동의 출현율을 조사한 결과 10000명당 2.18명이 출현한다고 보고하였고, 홍강의, 정보인, 이상복(1999)은 인구 약 30만 명의 주소도시인 구미시에 거주하고 잇는 3~6세 유아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자폐성 발달장애유아는 10000명당 9.2명이 출현한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1)의 2000년도 장애인 실태조사에 의하면 발달장애인의 출현율은 0.05%인데 이들은 연령별로 구분하면 0~9세는 0.12%이고 10~19세는 0.13%라고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이 자폐성 발달장애의 출현율도 조사마다 다르게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아마도 서로 다른 진단기준, 유전적 또는 환경적인 요인에 기인된다고 생각된다.
나라와 시대에 따라 출현율이 다르기도 하지만 자폐증은 남아가 여아에 비해 3배 정도 더 많다. 이러한 성간 차이는 자페증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고, 많은 발달 장애들이 남아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자폐증의 유병율은 전세계적으로 1만명당 4~12명(0.1%)으로 보고 되고 있으며, 남녀성비 3~4:1이다. 우리나라 역학조사에서도 1만명 어린이중 자폐아가 9.2명, 남녀성비는 3.4:1이다.(홍강의, 2000년)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지능과 언어능력이 후에 사회적응이나 학업성취도를 결정하는 데에 가장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물론 그 외에 증상의 심각도, 신경학적 증후들 등도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왔으나 정신병의 가족력, 양육 적절성, 가정 환경 등은 연관되지 않았다.
<<참고문헌>>
1. 「자폐증의 진단과 치료」,Simon Baron-Cohen&Patrick Bolton 저, 강영심 역, 도서출판 특수교육
2. 「아동기 행동 장애」, Rita Wicks-Nelson, Allen C. Israel 공저 정명숙 (외), 시그 마프레스
3. 「아동정신병리」 , Eric J. Mash, Barkley, Russell A. [공]편저 ; 이현진 (외) 옮김, 시그마프레스
4. 「자폐증-부모와 전문가를 위한 지침서」, 마리아 J.펠러즈니
5.「자폐증 아동의 애착 안정성에 관한 일연구」 / 김상원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심리학과, 1997. 2졸업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5.02.05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48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