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증(Autistic Disorder)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성인기에 좋은 예후를 보일 뿐이다. 현재까지 개발된 많은 치료법가운데 어느 것도 결정적으로 자폐증의 경과를 호전시키지는 못하고 있다. 하지만 그 가운데도 비교적 좋은 결과를 보이는 치료법들이 보고되고 있는데, 그 가운데 가장 성공적인 프로그램은 현재까지 알려진 자폐증의 지식에 근거하여 현실적이고 장기적인 목표를 갖는데 기반을 두어야만 한다. 또한 치료는 개별적이어야 하고, 가족에 대해 지지적이고 공조(共助)하는 노력을 기울여야만 한다(Gillberg, 1998). 그리고 보다 구조화되고, 가능한 아동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하지만 아직 자폐증에 대한 성인기 자료가 부족하고, 도한 자폐증이라고 하는 진단내에 다양한 스펙트럼이 포함되어 있는 수가 많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고려도 해야할 것이다. 특히 그 가운데도 아스퍼거 증후군(Asperger disorder)는 예후가 매우 좋기 때문에 더욱 고려해야만 할 것이다. 국내에서도 정책수립을 위한 제언이 제시되면서도 청소년기 이후의 문제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김현옥, 1994). 이런 점들을 고려하여 앞으로 꾸준히 관심을 가져 자폐증의 예후와 자연 경과를 추적하여 이들의 다양한 측면을 잘 이해하는 것이 바로 서론에서 질문하였던 3가지 1) 발달시기에 따른 적절한 치료나 지도의 기초를 마련해줄 수 있고, 2) 예후와 경과의 차이와 관련된 요인들을 밝히는데 매우 중요하며, 3) 또한 이들을 위한 정책 수립이나 자원 배분의 효율성에서도 중요하다-에 대답하는 길이 될 것이다.
6. 예후 와 맺음말
끝으로 이 아이들이 자라서 어떻게 될 것인가 ? 지능(IQ)이 높고, 언어발달, 사회성의 발달이 좋은 아이들의 예후가 좋다. 어떤 아이들은 만 5-6세경에 아주 현저하게 호전을 보이는 아이들도 있다. 사춘기가 되면 또 한번 변화를 겪게된다. 어떤 경우 많은 호전을 나타내는 수도 있고, 어떤 경우 인지 기능 및 사회성의 감퇴, 또는 공격적 반항적 행동이 나타나며 문제행동이 심해지는 수도 있다. 일부 아이들은 점차 좋아져 전문대학과정을 마치는 수도 있다. 그렇지만 대인관계가 어색하다든지, 부적절함을 보인다든지 하는 문제가 남는 수가 있다.
앞에서도 강조하였지만 조기에, 적극적인 치료와 교육을 통해 이들이 갖는 장애와 문제를 가능한 최소화하고 정상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임을 명심하고 온 정성과 노력을 다 해야 한다. 분명한 것은 이런 노력을 기울였을 때 아이는 좋아진다는 것이다.
참고 문헌
김태련, 박량규 역(1996) :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 지침서. 서울, 도서출판 특수교육
김현곤, 이건수(1996) : 소아자폐증에 관한 연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 3(2):49-63
조수철, 신민섭(1989) : 유아자폐증의 정신병리에 대한 객관적 평가. 신경정신의학 28(6): 1055-1063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1994) :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DSM-IV), Washington DC, APA
Aarons M, Gittens T(1992) : The Handbook of Autism: A Guide for Parents and Professionals. London, Routledge
Campbell M, Palij M(1985) : Behavioral and cognitive measures used in psychopharmacological studies of infantile autism. Psychpharm Bull 21(3):1047-1053
Freeman BJ, Ritvo ER, Guthrie D, Schroth P, Ball J(1978) : The behavior observation scale for autism. J Am Acad Child Psychiatry 5:576-588
Krug DA, Arick J, Almond P(1980) : Behavior checklist for identifying severely handicapped individuals with high levels of autistic behavior. J Child Psychol Psychiatry 21:221-229
Lerea LE(1987) : The behavioral assessment of autistic children. In : Handbook of Autism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ed. by Cohen DJ, Donnellan AM, New York, John Wiley & Sons, pp 273-288
Lord C, Rutter M(1995) : Autism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In :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Modern Approaches, 3rd ed., Ed. by Rutter M, Taylor E, Hersov L, Oxford, Blackwell Scientic Publishers, pp 569-593
Lord C(1991) : Methods and measures of behavior in the diagnosis of autism and related diaorders. Psychiat Clinics North Am 14(1):69-80
Lotter V(1966) : Epidemiology of autistic conditions in young children. Social Psychairty 1(3):124-137
Marcus LM, Campbell M(1989) : Diagnosis and evaluation for treatment planning. In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Treatment of Psychiatric Disorders. vol 1,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p 180-192
  • 가격1,500
  • 페이지수37페이지
  • 등록일2008.05.29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68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