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Environment Analysis
II. Objective (2004)
III. Segmentation
IV. Targeting
V. Positioning
VI. 4P Mix
VII. Conclusion
II. Objective (2004)
III. Segmentation
IV. Targeting
V. Positioning
VI. 4P Mix
VII. Conclusion
본문내용
I. Environment Analysis
1. 외부환경
1) 여성 경제활동인구의 증가세 지속
한국 여성의 경제활동 인구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1998년 이후 2002년까지 여성 경제활동 인구수는 꾸준히 늘어나 4년 사이에 약 100만 명이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추세라면 2003년에는 여성의 50%이상이 경제활동인구로서, 그 인구는 약 97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도표.1> 여성경제활동의 증가는 여성의 구매력 향상으로 이어질 것이다. 또한 그에 따라 여성의 지출이 증가할 것이고, 특히 여성관련 상품의 소비가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2) 글로벌 브랜드를 선호하는 경향
우리나라 국민들은 글로벌 브랜드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은 선진국의 것을 무조건적으로 동경하는 한국인의 문화적 습성의 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습성은 여러 곳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고급자동차의 광고나 고급의류의 광고에는 대게 외국모델이 등장한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외국모델이 등장할 때 좀 더 고급스러운 느낌을 받기 때문이다. 고가의 외국 명품브랜드를 가지고 다니는 사람을 동경하는 것 또한 이러한 습성과 관련되어 있다. 또한 외국 명품 브랜드들의 이미테이션이 시장에서 널리 팔리고 있는 것을 보면 이러한 습성이 돈 많은 사람들만이 가진 것이 아닌 한국 국민의 보편적인 습성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글로벌 브랜드 선호 현상은 ‘글로벌 제품=고급제품’ 이라는 일반인들의 소비심리로 나타나고 있다.
3) 고급화 시장으로의 전이(Starbuck’s Effect)
출처 : DATABOX
샴푸시장은 93년에 P&G가 ‘팬틴’을, 2000년에 Unilever가 ‘도브’를 출시하면서 고급화«고가격의 프리미엄 시장으로 전이(Switching)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도표.2> 즉, 샴푸시장은 PLC상 성숙기 단계로서 샴푸 보급µ사용율이 약 98%이상인 상태에서 물량의 급격한 신장은 없으나, 제품의 단위가격이 증가하여 금액기준으로 급격하게 신장하고 있다.
이렇게 샴푸시장이 프리미엄 시장으로 급속하게 전이됨에 따라 가장 유리한 입장에 서게 된 것은, 프리미엄 시장의 선점기업(First Mover)인 ‘팬틴’과 ‘도브’ 라고 볼 수 있다. 프리미엄 시장이 점점 더 커짐에 따라 선점효과(First Mover’s Advantage)를 누릴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반면 국내기업으로서는 처음으로 진출한 LG생활건강의 경우, 기존의 샴푸시장이 침식당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샴푸시장의 1위(M/S 20%)였던 LG생활건강의 ‘더블리치’가 신제품인 ‘엘라스틴’에 의해 잠식당하여, M/S가 7%까지 떨어지는 Cannibalization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도표.3>
4) 프리미엄 시장의 성장
프리미엄 샴푸 시장의 규모가 급속도로 커지고 있다. 전체 샴푸 시장은 6%의 완만한 성장을 보이는 PLC상의 성숙기에 들어간 반면, 프리미엄 샴푸 시장은 36%의 가파른 성장을 보이는 성장기에 있다. 2000년에 전체 샴푸 시장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5%에 불과하던 프리미엄 샴푸 시장이, 2003년에는 전체 샴푸 시장의 52%까지 그 비중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도표.4>
1. 외부환경
1) 여성 경제활동인구의 증가세 지속
한국 여성의 경제활동 인구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1998년 이후 2002년까지 여성 경제활동 인구수는 꾸준히 늘어나 4년 사이에 약 100만 명이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추세라면 2003년에는 여성의 50%이상이 경제활동인구로서, 그 인구는 약 97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도표.1> 여성경제활동의 증가는 여성의 구매력 향상으로 이어질 것이다. 또한 그에 따라 여성의 지출이 증가할 것이고, 특히 여성관련 상품의 소비가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2) 글로벌 브랜드를 선호하는 경향
우리나라 국민들은 글로벌 브랜드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은 선진국의 것을 무조건적으로 동경하는 한국인의 문화적 습성의 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습성은 여러 곳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고급자동차의 광고나 고급의류의 광고에는 대게 외국모델이 등장한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외국모델이 등장할 때 좀 더 고급스러운 느낌을 받기 때문이다. 고가의 외국 명품브랜드를 가지고 다니는 사람을 동경하는 것 또한 이러한 습성과 관련되어 있다. 또한 외국 명품 브랜드들의 이미테이션이 시장에서 널리 팔리고 있는 것을 보면 이러한 습성이 돈 많은 사람들만이 가진 것이 아닌 한국 국민의 보편적인 습성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글로벌 브랜드 선호 현상은 ‘글로벌 제품=고급제품’ 이라는 일반인들의 소비심리로 나타나고 있다.
3) 고급화 시장으로의 전이(Starbuck’s Effect)
출처 : DATABOX
샴푸시장은 93년에 P&G가 ‘팬틴’을, 2000년에 Unilever가 ‘도브’를 출시하면서 고급화«고가격의 프리미엄 시장으로 전이(Switching)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도표.2> 즉, 샴푸시장은 PLC상 성숙기 단계로서 샴푸 보급µ사용율이 약 98%이상인 상태에서 물량의 급격한 신장은 없으나, 제품의 단위가격이 증가하여 금액기준으로 급격하게 신장하고 있다.
이렇게 샴푸시장이 프리미엄 시장으로 급속하게 전이됨에 따라 가장 유리한 입장에 서게 된 것은, 프리미엄 시장의 선점기업(First Mover)인 ‘팬틴’과 ‘도브’ 라고 볼 수 있다. 프리미엄 시장이 점점 더 커짐에 따라 선점효과(First Mover’s Advantage)를 누릴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반면 국내기업으로서는 처음으로 진출한 LG생활건강의 경우, 기존의 샴푸시장이 침식당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샴푸시장의 1위(M/S 20%)였던 LG생활건강의 ‘더블리치’가 신제품인 ‘엘라스틴’에 의해 잠식당하여, M/S가 7%까지 떨어지는 Cannibalization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도표.3>
4) 프리미엄 시장의 성장
프리미엄 샴푸 시장의 규모가 급속도로 커지고 있다. 전체 샴푸 시장은 6%의 완만한 성장을 보이는 PLC상의 성숙기에 들어간 반면, 프리미엄 샴푸 시장은 36%의 가파른 성장을 보이는 성장기에 있다. 2000년에 전체 샴푸 시장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5%에 불과하던 프리미엄 샴푸 시장이, 2003년에는 전체 샴푸 시장의 52%까지 그 비중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도표.4>
추천자료
[노인복지론] 생물학적 노화, 죽음에 대한 교육, 노인의 건강생활
초등학교생활지도의 중요성과 기본, 초등학교생활지도의 학교생활지도와 건강생활지도, 초등...
건강생활, 사회생활, 표현생활, 언어생활, 탐구생활 영역을 통합교육과정운영에 의한 교육계...
인간발달주기에 따른 정신건강과업,개인발달주기와 가족생활주기,대가족생활주기,가족생활주...
[건강][건강교육][유아건강생활][특수교육][건강교육 지도방법]건강의 정의, 건강의 영향요소...
영유아의 건강생활 습관지도 (아동건강교육, 배변훈련, 손씻기, 치아관리, 휴식과낮잠, 식생...
[생활과건강] 건강한 생활양식 중 관련된 내용을 상세히 기술. 제시한 내용 각각에 대한 효과...
[생활과건강 2016]1)건강한 생활양식 중 관련된 내용 3가지 이상 2)건강한 생활양식 내용 3가...
[방송통신대학교 2017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생활과건강,당뇨는 가장 흔한 내분비계 질환...
당뇨의 합병증을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하여 정리 2017 생활과건강 2.제2형 당뇨병 환자를 위...
(방통대 생활과학 건강증진론4A) 제4차 국민건강증진계획의 중점과제인 영양의 건강식생활 실...
방통대 간호학과 4학년 1힉기 생활과건강 과제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