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 론
"나를 통째로 복제해 버릴까"
II. 본 론
1. 생명복제란 무엇인가
2. 생명복제연구의 긍정적인 면과 이점
3. 생명복제의 부정적인 면과 수반되는 문제들
4. 생명복제에 대한 국내외의 대응
5. 생명복제의 경제적 활용
III. 결 론
"나를 통째로 복제해 버릴까"
II. 본 론
1. 생명복제란 무엇인가
2. 생명복제연구의 긍정적인 면과 이점
3. 생명복제의 부정적인 면과 수반되는 문제들
4. 생명복제에 대한 국내외의 대응
5. 생명복제의 경제적 활용
III. 결 론
본문내용
로 탈바꿈하고 있다. 양복제 기술은 윤리적인 우려와 논란에도 불구하고 이미 경제적으로 영향력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최근의 보도에 의하면 영국 로슬린 연구소의 양복제 기술을 지원한 영국 PPL 사의 주식이 하루에 15.7% 뛰고 다른 유전공학 기업들의 주식도 동반상승하는 현상을 보였다고 한다. 양복제 기술은 비록 영국에서 처음으로 개발되었지만, 가장 큰 이익을 보는 나라는 아무래도 미국일 것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예측이다. 생명공학 회사는 유럽이 7백여개에 불과한 반면에 미국에는 1천 3백여개의 회사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보통신분야의 신기술과 함께 21세기초를 장식할 생명공학 기술은 세계 각국의 경제지도를 새롭게 그릴만큼의 확실한 파급력을 가지고 있다. 생명공학기술이 의료와 식량, 환경 등 그 응용분야가 무궁함으로써 막대한 경제적 파급력을 갖고 있음을 감안한다면, 생명복제에 따른 우려와 공포에만 젖어 있을 수는 없다. 윤리적, 도덕적 우려와 법적인 문제는 생명공학 기술의 발전과 병행하여 충분한 논의와 법적 사회적 장치를 마련함으로써 과학기술의 발전이 경제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생명복제에 따른 우리 나라의 법적인 장치를 살펴보면(생명공학 육성법) 15조에 "생명공의 연구와 이의 산업화 과정에서 예견될 수 있는 생물학적 위험성,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 및 윤리적 문제 발생의 사전방지에 필요한 조치가 강구되어야하며, 유전적으로 변형된 생물의 이전·취급·사용에 대한 안전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고 규정되어 있는 것이 전부이다. 또한 지해 OECD 가입을 위해 서둘러 만든 "재조합 DNA실험 지침" 이라는 실험규제 지침이 입안 예고되어 97년 7월 1일부터 효력을 발생할 것이라고 하지만, 이를 규제하고 다룰 실질적인 정부산하 기구는 설립되어 있지 않아 그 실효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막대한 파급효과를 가진 생명공학 기술을 감안할 때 윤리적 문제와 안정성을 확보하기에는 너무 미흡한 것이 우리 나라 실정이다. 따라서 생명공학 관련 전문가와 사회각계 각층, 종교계가 포괄적으로 참여하는 '인체복제의 윤리 안전을 위한 모임' 의 구성이 시급히 요청된다.
III. 결 론
지금까지 생명복제에 대하여 전반적이고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영화 '쥬라기 공원'에서처럼 과거에만 존재했던 공룡을 복제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했다. 생명 복제는 식량 문제 등 앞으로 있을 문제를 해결해 주는 열쇠가 될 수도 있지만 아무런 대책 없이 생명을 복제하게 된다면 인류는 또 다른 혼란을 겪게 될지도 모른다. 맹목적인 호기심이나 영웅심리 때문에 인간의 존엄성을 파괴하는 '프랑켄슈타인'같은 과학자는 소설 속에서나 볼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만일을 위해 인간복제에 관한 명백한 금지조치가 필요하겠으나 인간 유전자를 이용한 기타 연구는 가능한 한 허용해야 하고 필요한 경우에만 관련전문가들의 검토를 통해 금지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규제나 금지는 과학연구에 필수적인 창의력에 극약이므로 매우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반면 생명 복제기술 이용에 관한 국가권력이나 상업자본의 역할에 대해서는 엄격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사회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하는 것은 한 사람의 과학자라기보다 조직체일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다. 또한 핵폭탄 제조의 예에서 보듯이 개인적으로는 선량한 시민도 국가권력이나 조직체 안에서는 그 조직이 설정한 목표에 맹목적으로 따라가는 경우가 많다. 과학연구의 창의성을 저해하지 않고 권력자의 욕심이나 상업적인 이익에 의해 유전공학 기술이 남용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규정이 제정되기를 바란다. 이와 같이 생명복제는 옳고 그름의 문제가 아닌 듯 싶다. 많은 이로운 점이 있는 반면에 많은 문제점도 유발할 수 있다. 인간이 이것을 어떻게 이용하는가에 따라 독이 될 수도 약이 될 수도 있는 양면성을 띠고 이다. 인간 복제가 갖는 이러한 양면성에 대한 문제를 논한다면, 끝이 없을 것이다. 이제 인간을 복제하는 기술은 가능 여부가 문제가 아니라 누가 저질러 버리냐의 문제로 대두되었다.
앨빈 토플러는 '제3의 물결'에서 미래는 다양성이 존중되는 사회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생명 복제 역시 이런 모든 것의 다양성과 존엄성을 유지하는 가운데 이뤄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생명 복제와 그의 남용을 규제할 법과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과학이라는 시계바늘은 거꾸로 가는 법이 없다. 과학이라는 차체에는 후진기어가 없다. 이미 개발된 기술을 되돌릴 수는 없다. 단지 인간에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도록 인간이 과학을 통제하고 조정해야 겠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생명 복제를 하기에 앞서 생명에 대한 윤리 의식을 올바르게 확립하고 사회적인 합의가 있어야 인류의 미래는 밝아질 것이다.
[참고 문헌 및 자료]
http://biowin.kribb.re.kr
http://www.unesco.or.kr
http://kebinara.co.kr/
http://bioedu.snu.ac.kr/bioethics/clone/reading/reading.html
http://borisu.dongguk.ac.kr/magazine/9709/j9709_3.html
http://biowin.kribb.re.kr/pub/51foc1.html
http://biozine.kribb.re.kr/study/kis2000-1-13.html
http://www.donor.or.kr/donor6/data3_data4.htm
http://nie.co.kr/home/T01/t01_99_0309.html
http://www.dongguk.ac.kr/junggak/magazine/9709/j9709_3.html
http://www.kacr.or.kr/create/Data/kwanghun/gul/copy.htm
http://www.kacr.or.kr/create/Data/kwanghun/gul/copy.htm
http://www.writers.co.kr/main/mm14.htm
http://cosmo1.etri.re.kr/sosik/1995/s9504-3.htm
복제인간 허구인가 사실인가 데이비드 로비크-박상철 옮김 사이언스 북스 1997
생명복제에 따른 우리 나라의 법적인 장치를 살펴보면(생명공학 육성법) 15조에 "생명공의 연구와 이의 산업화 과정에서 예견될 수 있는 생물학적 위험성,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 및 윤리적 문제 발생의 사전방지에 필요한 조치가 강구되어야하며, 유전적으로 변형된 생물의 이전·취급·사용에 대한 안전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고 규정되어 있는 것이 전부이다. 또한 지해 OECD 가입을 위해 서둘러 만든 "재조합 DNA실험 지침" 이라는 실험규제 지침이 입안 예고되어 97년 7월 1일부터 효력을 발생할 것이라고 하지만, 이를 규제하고 다룰 실질적인 정부산하 기구는 설립되어 있지 않아 그 실효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막대한 파급효과를 가진 생명공학 기술을 감안할 때 윤리적 문제와 안정성을 확보하기에는 너무 미흡한 것이 우리 나라 실정이다. 따라서 생명공학 관련 전문가와 사회각계 각층, 종교계가 포괄적으로 참여하는 '인체복제의 윤리 안전을 위한 모임' 의 구성이 시급히 요청된다.
III. 결 론
지금까지 생명복제에 대하여 전반적이고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영화 '쥬라기 공원'에서처럼 과거에만 존재했던 공룡을 복제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했다. 생명 복제는 식량 문제 등 앞으로 있을 문제를 해결해 주는 열쇠가 될 수도 있지만 아무런 대책 없이 생명을 복제하게 된다면 인류는 또 다른 혼란을 겪게 될지도 모른다. 맹목적인 호기심이나 영웅심리 때문에 인간의 존엄성을 파괴하는 '프랑켄슈타인'같은 과학자는 소설 속에서나 볼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만일을 위해 인간복제에 관한 명백한 금지조치가 필요하겠으나 인간 유전자를 이용한 기타 연구는 가능한 한 허용해야 하고 필요한 경우에만 관련전문가들의 검토를 통해 금지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규제나 금지는 과학연구에 필수적인 창의력에 극약이므로 매우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반면 생명 복제기술 이용에 관한 국가권력이나 상업자본의 역할에 대해서는 엄격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사회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하는 것은 한 사람의 과학자라기보다 조직체일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다. 또한 핵폭탄 제조의 예에서 보듯이 개인적으로는 선량한 시민도 국가권력이나 조직체 안에서는 그 조직이 설정한 목표에 맹목적으로 따라가는 경우가 많다. 과학연구의 창의성을 저해하지 않고 권력자의 욕심이나 상업적인 이익에 의해 유전공학 기술이 남용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규정이 제정되기를 바란다. 이와 같이 생명복제는 옳고 그름의 문제가 아닌 듯 싶다. 많은 이로운 점이 있는 반면에 많은 문제점도 유발할 수 있다. 인간이 이것을 어떻게 이용하는가에 따라 독이 될 수도 약이 될 수도 있는 양면성을 띠고 이다. 인간 복제가 갖는 이러한 양면성에 대한 문제를 논한다면, 끝이 없을 것이다. 이제 인간을 복제하는 기술은 가능 여부가 문제가 아니라 누가 저질러 버리냐의 문제로 대두되었다.
앨빈 토플러는 '제3의 물결'에서 미래는 다양성이 존중되는 사회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생명 복제 역시 이런 모든 것의 다양성과 존엄성을 유지하는 가운데 이뤄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생명 복제와 그의 남용을 규제할 법과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과학이라는 시계바늘은 거꾸로 가는 법이 없다. 과학이라는 차체에는 후진기어가 없다. 이미 개발된 기술을 되돌릴 수는 없다. 단지 인간에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도록 인간이 과학을 통제하고 조정해야 겠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생명 복제를 하기에 앞서 생명에 대한 윤리 의식을 올바르게 확립하고 사회적인 합의가 있어야 인류의 미래는 밝아질 것이다.
[참고 문헌 및 자료]
http://biowin.kribb.re.kr
http://www.unesco.or.kr
http://kebinara.co.kr/
http://bioedu.snu.ac.kr/bioethics/clone/reading/reading.html
http://borisu.dongguk.ac.kr/magazine/9709/j9709_3.html
http://biowin.kribb.re.kr/pub/51foc1.html
http://biozine.kribb.re.kr/study/kis2000-1-13.html
http://www.donor.or.kr/donor6/data3_data4.htm
http://nie.co.kr/home/T01/t01_99_0309.html
http://www.dongguk.ac.kr/junggak/magazine/9709/j9709_3.html
http://www.kacr.or.kr/create/Data/kwanghun/gul/copy.htm
http://www.kacr.or.kr/create/Data/kwanghun/gul/copy.htm
http://www.writers.co.kr/main/mm14.htm
http://cosmo1.etri.re.kr/sosik/1995/s9504-3.htm
복제인간 허구인가 사실인가 데이비드 로비크-박상철 옮김 사이언스 북스 1997
추천자료
생명공학의 이해와 연구동향
인간복제의 문제점과 해결책, 나아가야 할 방향
인간복제와 생명윤리
인간복제는 영생으로 가는 발판인가?
생명의 기원 - 인간복제에 관해
[정치발전][정치문화][정치기능][정당정치][정치생명][한국정치][한국정치개혁]정치발전, 정...
생명윤리에 관해서(인간복제)
[인간배아복제]인간배아복제의 정의, 인간배아복제의 중요성, 인간배아복제와 배아줄기세포, ...
[인간배아복제]인간배아복제의 의미, 인간배아복제의 내용, 인간배아복제의 이점, 인간배아복...
인간배아복제의 개념, 인간배아복제의 필요성, 인간배아복제의 윤리적 문제, 인간배아복제의 ...
디지털도서관(전자도서관)저작권의 변화, 디지털도서관(전자도서관)저작권의 복제, 디지털도...
보험사기의문제점과_해결방안
[A+] 좀비영화에서의 법적고려사항 - 생명공학, 아일랜드, 인간복제영화, 고질라, 핵실험 유...
[생명과학] 배아복제연구의 도덕성에 관한 고찰 (인간배아복제 정의 & 인간배아복제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