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교육의 변천과정 및 역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민교육의 변천과정 및 역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언

Ⅱ. 본문
1. 고대 시민사회 개념
2. 중세의 시민사회 개념
3. 근대의 시민사회 개념
4. 현대 시민의 개념
5. 한국 시민 사회와 교육의 방향 모색

Ⅲ. 결어

본문내용

주도 교육과 시민사회 주도 교육의 두 가지 축으로 분류하면 아래 표와 같다.
학교 영역
학교 밖 영역
국가주도 교육

(기존의 국가주도 사회과 교과교육)

(새마을 운동과 같은 관(官)주도 성인교육)
시민사회 주도 교육

(학교 시민사회의 요구가 포함된 사회과 시민교육)

(시민사회 구성원들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기관의 시민교육)
기존의 시민교육은 주로 Ⅰ,Ⅱ와 같은 국가 주도의 교육이 대부분이었다. 학교 영역이든 학교 밖 영역이든, 국가가 필요로 하는 인간을 길러내기 위해 국가가 목표를 세우고 교육과정을 수립하였으며, 교사들도 모두 국가에서 정한 것을 가르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진정한 시민교육은, 국가에 의해서가 아니라, 시민사회 속에서 이루어질 때 진정한 '시민사회의 시민교육'이 가능해질 것이다. 따라서 시민교육이 진정한 '시민사회의 시민교육'이 되려면, 국가권력에 의해 주도되던 Ⅰ,Ⅱ의 교육영역에서 벗어나, 시민사회가 주도하는 Ⅲ,Ⅳ의 시민교육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그러나 Ⅲ,Ⅳ영역의 시민 교육에 대해 우리가 좀더 숙고해야 할 몇 가지 사항이 있다. 우선, Ⅲ영역, 즉 학교에서의 시민사회 주도 교육은 국가/시민사회 구도의 중간점이 어디까지인가 아니면 국가 주도 교육과정의 전면개편인가는 논의의 여지가 있다. 그러나 국가와 시민사회는 서로 상호견제 및 보완관계임을 생각할 때, 국가가 폐지되고 시민사회가 교육을 지배하는 정도까지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하며, 국가주도 교육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시민사회 영역이 자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정도의 긴장을 유지하는 시민교육이 요구된다고 본다. 또한 아직 시민사회 주도 시민교육의 실체가 명확하지는 않지만, 국가가 주도하는 획일화된 학교 제도와 교육과정에 대항하여 학생과 교사, 학부모, 지역사회인사 등이 연합한 시민사회의 투쟁이 요구된다는 점은 명확하다.
둘째로 Ⅳ영역, 즉 학교 밖의 시민교육에서는 기존의 평생 교육 혹은 성인교육과 시민교육 을 어떻게 차별화할 것인가의 문제가 제기된다. 기존의 대학 및 여러 기관에서 이루어지던 평생 교육 혹은 성인 교육은 컴퓨터 교육, 영어교육 등 경제논리에 따라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었으므로, 이를 시민교육의 범주에 포함할 수 있는가는 상당한 의문의 여지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들은 앞으로 시민 교육론자들이 해결해야 할 과제일 뿐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명확한 점은, 한국의 시민교육이 국가주도의 공권력과 파괴적 경제영역을 넘어서서 민주적인 공공영역의 시민교육(civil education in civil society)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것이다.
Ⅲ. 결어
지금까지, 고대부터 현대의 시민 사회는 어떠한 양상으로 변모해 왔는지, 또한 그 사회의 요구와 가치체제에 합당하는 시민교육은 어떠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한국만의 시민사회의 발전과 우리나라만의 특수한 상황을 알고, 서양의 시민교육의 개념을 무턱대고 차용하기 보다는, 우리나라의 상황에 맞는 시민 교육의 개념을 형성하고, 앞으로 계속 변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3.21
  • 저작시기200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62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